• Title/Summary/Keyword: Authentication Key

검색결과 1,205건 처리시간 0.031초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OTA(One Time Authentication)키를 이용한 DA_UDC(Double Authentication User.Device.Cross) 모듈 설계 (A Design of DA_UDC(Double Authentication User.Device.Cross) Module using OTA(One Time Authentication) Key in Home Network Environment)

  • 정은희;이병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4B호
    • /
    • pp.419-42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OTA(One Time Authentication)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디바이스 인증 그리고 상호 인증 모듈을 사용하여 공인인증서 비용과 도용문제를 해결하고, 홈 네트워크 사업지석 서비스에 가입할 필요가 없는 이중 인증 기법인 DA-UDC(Double Authentication User Device Cross) 모듈을 설계하였다. 홈 서버는 사용자 아이디, 디바이스 아이디 그리고 세션키를 확인하는 1단계 인증 과정을 통과한 사용자에 대해 OTA키 생성에 필요한 홈서버 공개키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생성한 OTA키를 확인하는 2단계 인증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생성되는 DA-UDC 모듈의 OTA키는 생성될 때마다 변경되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DA-UDC 모듈은 이중 인증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아이디 및 디바이스 아이디 노출을 대비하였고 OTA키 사용으로 악의의 사용자로부터 홈 네트워크의 인증 보안을 강화시켰다. 또한, BA-UDC 모듈은 단 1회의 인증 연산 횟수를 가지므로 기존의 인증 시스템보다 처리 속도가 빠르며, 별도의 인증키를 사용하므로 데이터 전송량은 많지만 보안측면에 강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A Study on Mobile IPv4 Authentication Mechanisms

  • Lim, Jung-Muk;Lim, Hyung-Jin;Chung, Tai-Myoung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5년도 6th 200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s, Communications and System
    • /
    • pp.277-280
    • /
    • 2005
  • With the proliferation of mobile terminals, use of the Internet in mobile environments is becoming more common. To support mobility in these terminals, Mobile IPv4 is proposed and represents the standard in IPv4 environments. Authentication should be mandatory, because mobile terminals can utilize Internet services in any foreign domain. Mobile IPv4 provides symmetric key based authentication using the default HMAC-MD5. However, symmetric key based authentication creates a key distribution problem. To solve this problem, public key based authentication mechanisms have been proposed.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each of these mechanisms is evaluated. The results present that, among these mechanisms, partial certificate based authentication has superior performance, and certificate based authentication has the worst performance. Although current public key based authentication mechanisms have lower performance than symmetric key based authentic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possibility that public key based authentication mechanisms may be used for future mobile terminal authentication.

  • PDF

초기인증에서 키 분배 및 복구를 지원하는 공개키 암호 인증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blic Key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System Providing Key Distribution and Recovery in the Initial Authentication)

  • 신광철;조성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83-9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인증서를 사용하는 모든 암호시스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인증 및 키 복원 프로토콜로 PKINIT를 응용한 안전한 초기인증 공개키 암호시스템 모델을 연구하였다. 멤버들에 대한 인증은 서버와 사용자간에 인증서를 기반으로 공개 키 암호에 의한 초기인증과 세션 키 분배, 응용자원 서버들과의 비밀통신에서 키의 유실을 고려한 키 복구지원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 PDF

S/KEY를 개선한 일회용 패스워드 메커니즘 개발 (The Development of a One-time Password Mechanism Improving on S/KEY)

  • 박중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5-36
    • /
    • 1999
  • 이 논문에서는 S/KEY 메커니즘에서 사용 횟수 제한과 사전에 키를 만들어 저장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점을 해결한 일회용 패스워드 메커니즘을 제안하다. 제안한 일회용 패스워드로부터 인증용키를 생성함으로써 인증용 키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인증과 더불어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 세션키의 분배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제안한 메커니즘은 스마트 카드를 이용함으로 인증 정보의 보호 및 관리가 용이하며, 서버의 challenge가 없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의 단방향 인증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 바로 적용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one-time password mechanism that solves the problems of the S/KEY: the limitation of a usage and the need of storage for keys. because of using a cryptographic algorithm the proposed mechanism has no the limitation of a usage. Also because of producing the key for an authentication from a user's password it is easy to manage the authentication key and is possible to share the session key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after the authentic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proposed mechanism is easy to protect and manag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because of using a smart card and is adopted by the system that needs a noe-way authentication from a client to a server without the challenge of a server.

TETRA 인증 프로토콜 분석 (The Analysis of the TETRA Authentication Protocol)

  • 박용석;안재환;정창호;안정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070-1075
    • /
    • 2006
  • TETRA 시스템에서는 Challenge-response 프로토콜에 의해 단말기와 인증 센터간에 사전에 공유된 인증키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인증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인가된 단말기만 망에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TETRA 표준 인증 프로토콜은 단말기 식별자인 ISSI(Individual Short Subscriber Identity)가 복제된 단말기의 망 접속은 차단할 수 있지만, ISSI와 인증키가 모두 복제된 경우 복제단말기의 불법 사용을 막을 수 없는 취약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TETRA 표준인 ETSI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인증 프로토콜을 간략히 설명하고 인증 과정에서 사용되는 인증키의 생성/분배/주입 모델을 설명 한 후, 인증키가 인증 센터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노출되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복제단말기의 위협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ISSI와 인증키가 복제된 단말기의 망 접속을 차단할 수 있는 새로운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Cross-Realm 환경에서 패스워드기반 키교환 프로토콜 (Password-Based Key Exchange Protocols for Cross-Realm)

  • 이영숙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39-150
    • /
    • 2009
  • Authentication and key exchange are fundamental for establishing secure communication channels over public insecure networks. Password-based protocols for authenticated key exchange are designed to work even when user authentication is done via the use of passwords drawn from a small known set of values. There have been many protocols proposed over the years for password authenticated key exchange in the three-party scenario, in which two clients attempt to establish a secret key interacting with one same authentication server. However, little has been done for password authenticated key exchange in the more general and realistic four-party setting, where two clients trying to establish a secret key are registered with different authentication servers. In fact, the recent protocol by Yeh and Sun seems to be the only password authenticated key exchange protocol in the four-party setting. But, the Yeh-Sun protocol adopts the so called "hybrid model", in which each client needs not only to remember a password shared with the server but also to store and manage the server's public key. In some sense, this hybrid approach obviates the reason for considering password authenticated protocols in the first place; it is difficult for humans to securely manage long cryptographic keys. In this work, we introduce a key agreement protocol and a key distribution protocol, respectively, that requires each client only to remember a password shared with its authentication server.

공개키를 이용한 커버로스 기반의 강력한 인증 메커니즘 설계 (Design of a Strong Authentication Mechanism using Public-Key based on Kerberos)

  • 김은환;전문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67-76
    • /
    • 2002
  •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 커버로스는 사용자와 응용 서버 사이에 인증을 위해서 대칭키를 사용하고 있으며 다른 영역의 시스템을 신뢰할 것을 가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커버로스에 공개키/개인키를 적용하여 효율적이고 강력한 인증 메커니즘을 설계하였다. 제안하고 있는 메커니즘에서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미리 정해진 long-term 키와 공개키를 통해 교환한 랜덤 수에 MAC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암호화에 사용하는 세션키 값을 매번 바꾸어주기 때문에 안전성을 높였다. 또한, 영역간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전자 서명 기반의 시도-응답(challenge-response) 기법을 통한 상호 인증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인증 절차를 간소화하여 사용하는 키의 수를 줄였다.

MANET 기반 원타임 패스워드 키교환 인증기법 (One time password key exchange Authentication technique based on MANET)

  • 이철승;이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367-1372
    • /
    • 2007
  • 본 논문은 MANET의 무선 보안의 취약성과 현재 활용되고 있는 인증기법을 분석하여, MANET 기반 강력한 인증을 위해 원타임 패스워드 키교환 인증기법을 제안한다. 제안기법은 라우팅, 등록, 실행 단계로 구성하며, 라우팅 단계에서는 AODV 프로토콜을 이용하였다. 등록 및 실행 단계에서는 적법한 소스노드 인증을 위해 원타임 패스워드 S/key와 패스워드 기반 DH-EKE를 적용하였다. 제안 인증 기법의 안전한 패킷 데이터 전송과 데이터 암호화를 위한 세션키 설정 시 H(pwd) 검증자로 암호화하여 키교환을 수행하고, 원타임 패스워드는 소스노드의 패스워드 소유 검증과 효율성 향상을 위해 사용한다. EKE는 식별자를 해쉬함수에 모듈라 지수승 하는 DH-EKE 방식을 이용하여 단대단 세션키를 설정하고 키교환 단계에서는 H(pwd) 검증자로 암호화함으로써 안전한 세션키 교환을 한다. 제안 기법은 지수승 연산이 소요되고 키 공유를 위한 데이터를 한꺼번에 전송하기 때문에 무선 환경에 활용 가능성이 높으며, 안전한 MANET 기반의 강력하고 신뢰성 있는 인증기법 이다.

A New Roaming Authentication Framework For Wireless Communication

  • Li, Xiaowei;Zhang, Yuqing;Liu, Xuefeng;Cao, Jin;Zhao, Qianqi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8호
    • /
    • pp.2061-2080
    • /
    • 2013
  • Roaming authentication protocol is widely used in wireless network which can enable a seamless service for the mobile users. However, the classical approach requires the home server's participation during the authentication between the mobile user and the foreign server. So the more the roaming requests are performed the heavier burden will be on the home serv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roaming authentication framework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out the home server's participation. The new roaming authentication protocol in the new framework takes advantage of the ID-based cryptography and provides user anonymity. It has good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roaming authentication protocols whose authentication do not need the home server's participation in terms of security and computation costs. Moreover, a new User-to-User authentication protocol in the new framework is also present. All the authentications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regarded as a common construction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wireless networks such as Cellular Networks, Wireless Mesh Networks and Vehicle Networks.

(t, n) 임계치 기법을 이용한 센서네트워크에서의 공개키 인증 (Public Key Authentication using(t, n) Threshold Scheme for WSN)

  • 김준엽;김완주;이수진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8-70
    • /
    • 2008
  • Earlier researches on Sensor Networks preferred symmetric key-based authentication schemes in consideration of limitations in network resources. However, recent advancements in cryptographic algorithms and sensor-node manufacturing techniques have opened suggestion to public key-based solutions such as Merkle tree-based schemes. These previous schemes, however, must perform the authentication process one-by-one in hierarchical manner and thus are not fit to be used as primary authentication methods in sensor networks which require mass of multiple authentications at any given time. This paper proposes a new concept of public key-based authentication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sensor networks. This scheme is based on exponential distributed data concept, a derivative from Shamir's (t, n) threshold scheme, in which the authentication of neighbouring nodes are done simultaneously while minimising resources of sensor nodes and providing network scalability. The performance advantages of this scheme on memory usage, communication overload and scalability compared to Merkle tree-based authentication are clearly demonstrated using performance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