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hentic learning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5초

교과교육 사조의 고찰에 따라 새로 권장되는 교수학습방법 (Newly proposed points of Teaching - learning methodology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cience Education)

  • 남철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8권1호
    • /
    • pp.75-85
    • /
    • 1999
  • This paper describes some major trends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now. It is a selective views of significant topics with important implication for the future. These trends are summarized as follows, after examining historical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1. Education is seen as part of interdisciplinary world; emphasis is on relating education to the students' world, which is not compartmentalized. 2. Emphasizing students' individual growth with their own goal of lives. 3. Open-education with variable contents and purposes of education. 4. Education for all from that for some. 5. Consructivist based from behavior based. 6. Cooperative learning, peer tutoring, group projects. 7. Authentic assessment; assessment integrated with instruction. 8. The teacher is a facilitator of learning and a learner as well; students are learners and teachers in some situations; networks emerge instead of one-way forms or communication. 9. Spiral curriculum from single exposure.

  • PDF

한국어 교육에서의 인스타그램 활용 가능성 탐색 -미국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Instructional Use of Instagram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 안재린;심윤진
    • 한국어교육
    • /
    • 제29권4호
    • /
    • pp.65-92
    • /
    • 2018
  • This study explored how a particular social media can be used to supplement elementary-level Korean language course in the US public university. The researchers administered a survey measuring students' patterns and habits of social media us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researchers designed six different types of learning materials and uploaded them regularly to Instagram throughout the semester. At the end of the semester,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students' satisfactory level. From the 44 students' responses, the study found out that using Instagram 1) is more accessible to students than any other learning management system, 2) is fun and students are willing to participate, 3) increased the target language exposure and authentic language use, 4) increased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students and even other native speakers, and 5) is helpful to improve listening and other language skills. The study closes with the suggestion for further experimental studies.

작성자 언어적 특성 기반 가짜 리뷰 탐지 딥러닝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Deep Learning Model for Detecting Fake Reviews Using Author Linguistic Features)

  • 신동훈;신우식;김희웅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1권4호
    • /
    • pp.01-2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deep learning-based fake review detection model by combining authors' linguistic features and semantic information of review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used 358,071 review data of Yelp to develop fake review detection model. We employed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 (LIWC) to extract 24 linguistic features of authors. Then we used deep learning architectures such as multilayer perceptron(MLP), long short-term memory(LSTM) and transformer to learn linguistic features and semantic features for fake review detection. Findings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 that detection models using both linguistic and semantic features outperformed other models using single type of features.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differences in linguistic features between fake reviewer and authentic reviewer are significant. That is, we found that linguistic features complement semantic information of reviews and further enhance predictive power of fake detection model.

공과대학에서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 연구 : 요소설계를 중심으로 (Case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PBL in Engineering-School : Focused on an Element Design Class)

  • 이근수;김삼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71-676
    • /
    • 2015
  • 본 논문은 공과대학에서 요소설계 과목에 문제중심학습(PBL : Problem-Based Learning) 활용을 위하여 PBL 문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PBL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협동 학습 능력, 자율적인 학습능력, 통합지식 활용 능력, 창의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대학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습자들에게 문제해결능력 향상과 협동학습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PBL 활동은 이러한 실천을 위한 적합한 학습 방법이다. 연구대상은 요소설계에 해당하는 '공학설계 1'교과목을 수강한 H대학 2학년 학생 32명이었으며, PBL수업은 15주에 5개의 PBL문제를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주어진 문제의 PBL 활동이 끝날 때마다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으며, 5번째 PBL문제의 활동이 끝난 후에 강의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71.87%),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87.5%), 실제적 경험, 문제해결력(90.63%), 프리젠테이션 스킬(96.87%),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자신감(96.87%)과 같은 다양한 PBL의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이 PBL 학습 활동은 현대 산업사회에서 요구하는 미래의 유능한 엔지니어로서의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인식하였다.

개방적 참탐구 활동에서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Authentic Open Inquiries)

  • 김미경;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65-578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개방적 참탐구 활동에서 참과학의 인지과정을 경험함에 따라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인식론적으로 참과학의 특성을 반영하는 개방적 참탐구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들 학생들 가운데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거나 실패한 4명의 학생들을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초점 학생들이 탐구를 수행하면서 제기한 질문들과 사전 사후 과학의 본성 검사지(VNOS-C형) 답변을 분석하고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답변을 정교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개방적 참탐구 활동은 학생들에게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돕는 탐구 상황을 제공한다는 것과 학생들의 인지적 특성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학생들에게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과학적 방법과 연구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고, 정해진 답이 없는 실험에서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결론을 도출해내는 과정에서 과학의 추론적 특성을 경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변칙데이터를 경험하게 됨으로써 과학지식의 형성에서 추론의 역할과 창의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탐구 상황에서는 동료들과 논의를 많이 하게 되는데 이때 반성적 사고 특성을 가진 학생은 실험 설계 및 데이터 해석에서의 타당성에 대해 생각하게 됨으로써 추론의 불확실성, 이론의존성에 대한 이해로 발전하였다. 또한 확산적인 사고 특성을 가진 학생은 유추적인 사고로 연결되어 과학의 창의성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등학교 정규교과에서 로봇활용수업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Instruction Using Robot in Elementary Regular Classes)

  • 박정호;조혜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67-76
    • /
    • 2011
  • 본 논문은 초등학교 정규교과에서 로봇활용수업의 효과 분석을 위해 교과별 목표 달성에 적합한 로봇 및 PC연동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수업적용을 통해 학습자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후 이미지 프로파일의 대부분의 항목에서 로봇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으며 특히, '이론적-실천적', '비협동적-협동적' 두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p<.05). 또한 학습자가 그린 사후 이미지 분석 결과 사전에 비해 구체적인 학습상황과 연계된 로봇 이미지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로봇활용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면담결과 로봇의 직 간접 체험 모두 긍정적인 학습참여를 유도하고 실제적 학습경험을 제공하였다고 나타내었다. 또한 로봇활용수업을 통해 모둠 구성원과 자연스러운 협력활동이 관찰되었고 학생들도 동료와 협력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로봇활용 교육이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유치원에서의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 연구 (Efficient Portfolio Assessment Methods in Kindergarten)

  • 황윤세;양옥승
    • 아동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1-211
    • /
    • 2001
  • This in-depth study of portfolio method centered on efficient methods of application, including teacher education.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2 public kindergartens in Taegu. The efficient portfolio assessment method was developed by revisions after successive applications, observations, and discussions with the teachers of both kindergartens. The resulting efficient portfolio method is composed of step 1: portfolio conference and planning; step 2: development of the portfolio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step 3: selection of the materials for the portfolio; step 4: analysis of the portfolio; and step 5: use of the portfolio metho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ortfolio assessment is included in the forms used for teachers' observations of children's play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Teachers' interventions include verbal interaction, presentation of materials, and participating as partners. This teaching-learning method consists of teaching and assessment by sensitive and instant responses to children's needs.

  • PDF

영어 시제의 효율적인 교수.학습 전략 (An effective strategy on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tense in the EFL education)

  • 강문구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3호
    • /
    • pp.133-156
    • /
    • 2007
  • Although the understanding of English tense system is a crucial factor for communicative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for EFL students, it has been neglected over the years. As with other areas of the grammar, difficulties may arise from the nature of the system itself or from differences between time, tense and aspect. Consequently, many learners face a considerable difficulty with the English tense system as they are more often unable to grasp the basic conceptual differences of present/present continuous, past/present perfect, will/be going to along with many others. More concerning fact is that lots of instructors or so-called native English teachers seem not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eaching English tens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examine various theories and practical usages of tense in order to establish and/or present better methods for teaching tenses. This paper is focused on comparatively exact distinction of time, physical notion from tense, grammatical category as well as sequences of tenses in view of school grammar and communicative function. At the end or middle of each chapter,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techniques or strategies on tenses are suggested to help instructors or learners who relentlessly face confusions in understanding tense and its usage for communicative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This study attempts to influence learners' ability to recognize and write tense in authentic contexts not to mention spoken English.

  • PDF

공과대학에서 PBL 적용을 위한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Methods for Implementing PBL in Engineering School)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605-610
    • /
    • 2018
  • 본 논문의 목적은 효율적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기 위한 평가방법을 개발한다. 연구 대상은 창의공학설계 교과목을 수강한 H대학 1학년 학생 68명 이었으며, PBL수업은 12주에 4개의 PBL문제를 적용하였다. PBL의 효율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학생들은 주어진 문제의 PBL 활동 과정에서 평가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다. 또한 PBL 활동이 끝날 때 마다 평가지와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PBL에 대한 이해,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 자아성찰, 실제적 경험, 창의문제 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의사소통 능력, 문서작성 능력, 프리젠테이션 능력, 관찰 능력, 평가 능력과 같은 다양한 PBL의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PBL 활동에 대해서는 지난 학기에 비하여 자신감, 만족감, 성취감도 높았으며, PBL 수업이 매우 유용했다고 응답했으며, 수업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다. 그러나 PBL 활동 과정에서 팀원들 간의 의사소통문제, 함께 모이는 문제,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팀원 문제, 시간이 소용되는 문제가 나타났다.

과학의 본성 지도자료 개발과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한 시험적용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the Nature of Science and Pilot Application to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 박종원;김두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9-17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과학의 본성을 진술하는 총 42개의 진술문 각각에 대해서 1년간에 걸쳐 과학의 본성 지도자료 46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자료는 구체적인 과학적 상황에서 과학의 본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과학개념과 탐구기능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각 자료는 학생용 활동지와 교사용 안내서로 개발되어 현장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자료 중, 과학적 사고의 본성에 대한 11개 자료를 과학 영재 3명을 대상으로 시험 적용하였다. 시험 적용 결과, 난이도는 적절했으며, 학생들은 과학개념이나 탐구활동 경험보다는 과학적 사고 자체에 대해 배웠다고 반응하였고, 마찬가지로 과학적 사고 자체가 흥미로운 내용이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학생의 반응과 교사의 관찰로부터 과학적 사고의 본성 이해가 과학적 탐구활동을 보다 참답게(authentic)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과학적 사고의 본성 이해가 과학적 창의성 개발에도 도움을 준다고 하였으며, 그러한 반응이 이전의 이론적인 논의(박종원, 2007a)와도 일치하여 과학적 사고의 본성 이해가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