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itude towards cultural art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어린이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사회적 효과 측정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Social Impact of Cultural Programs of the Children's Library)

  • 강정아;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33-265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어린이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사회적 효과를 측정하여 어린이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어린이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사회적 효과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적 영역의 표현력/창의력, 자존감, 즐거움/기쁨/행복과 사회적 영역의 문화예술태도와 문화예술경험변화 및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친구관계 증대, 지역커뮤니티 생성과 강화, 지역사회 소속감/공동체성, 지역사회참여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어린이도서관은 어린이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의 향상, 지역사회 공동체 유지 및 지역커뮤니티 생성과 강화, 지역애착과 지역 활동 참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회자본으로 가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공연예술에 대한 가치가 태도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he value of performing art on attitude and customer satisfaction)

  • 구은자;박수진;안성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543-551
    • /
    • 2016
  • 최근 문화산업은 한류의 성장과 더불어 발전가능성과 함께 극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는 매력적인 산업이다. 특히 대중성을 겸비한 공연예술 산업이 유망산업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공연예술 시장의 마케팅 기법도 다른 상품 시장처럼 소비자의 욕구와 수요에 맞추어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소비자들의 요구가 점점 다양해지고 개성화되며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충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행동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공연예술 시장에서는 관객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적합한 마케팅 기법을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연예술 관람객들이 가치에 대하여 지각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지각된 가치가 공연예술에 대한 태도형성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공연예술에 대한 가치가 태도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측정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적인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공연예술에 대한 지각된 가치와 태도가 고객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공연을 기획하는 단체입장에서는 공연을 보러오는 관객을 중심으로 마케팅과 홍보를 진행할 수 있는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어 앞으로 보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질 것을 기대해본다.

분자미식학의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 (The Current Trends and the Prospective View of the Molecular Gastronomy)

  • 이은정;안정석;최정윤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6-72
    • /
    • 2008
  • Molecular gastronomy is a science that deconstructs the classic haute cuisine and applies science knowledge and laboratory techniques to create textures and flavors in unusual ways. The term 'Molecular Gastronomy' was introduced in 1988 by French chemist 'Herve This' and Oxford physicist 'Nicholas Kurti'. It has since been adopted by both world culinary establishments and scientists, from 'El Bulli' to 'Harold McGee'. Since most world-top prestigious restaurants and chefs were enthralled by this revolunary culinary movement, molecular gastronomy and molecular cooking have drawn a growing interest of lots of Korean people in the food industry until now. However, Korean foodservice industry is unlikely to be ready to develop this advent-garde culinary movement because molecular gastronomy is still an insufficiently established concept of culinary science and philosophy in Korea. Besides, there are many clumsy abuses of putative and clinically unproven bio-chemical components in kitchens and restaurants in the name of culinary science or culinary arts. Such a careless approach and attitude towards an important exercise like a cooking is highly deplorable. Thus it is still too far early to expect the prospective path of molecular gastronomy in Korea without understanding the core principle of molecular gastronomy and having any cultural support.

  • PDF

영화배우 최민식의 스크린 퍼포먼스 (Screen Performance of the Korean Actor Choi Min-sik)

  • 김종국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31-140
    • /
    • 2020
  • 이 글은 사회문화적 의미를 지향하는 퍼포먼스로서의 영화연기라는 방법론을 최민식의 연기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영화배우 최민식의 인터뷰 구술에 언급된 신체, 얼굴, 오디오, 연출과의 관계, 영화기술에 대한 태도 등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최민식의 연기는 메소드 액팅으로만 규정할 수 없고, 스타니슬랍스키, 스트라스버그, 메이어홀드, 브레히트, 그로토프스키 등의 전형적이거나 전위적인 연기론을 함축하거나 통합하며, 무엇보다 크라카우어가 제시한 움직임으로 재현되는 생명의 흐름을 명시하는 표상이다. 최민식 스스로가 강조하는 연민의 정서가 생명의 흐름을 재현하는 영화의 본질과 맞닿아 있고, 그것은 어떤 목적을 갖는 의도된 스크린 퍼포먼스로 확장된다. 연민과 생명의 흐름으로 압축할 수 있는 스크린 퍼포먼스는 최민식의 다양한 페르소나로 표출된다. 선악을 넘나드는 그의 페르소나는 한국사회의 현재를 반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