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itude Tracking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초

사용자 운용 편의성을 위한 수중로봇 MR-1의 수조실험에 관한 연구 (A Basic Study of Water Basin Experiment for Underwater Robot with Improving usability)

  • 남건석;류제두;하경남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2-38
    • /
    • 2020
  • This paper describes a method for tracking attitude and position of underwater robots. Underwater work with underwater robots is subject to differences in work efficiency depending on the skill of the operator and the utilization of additional sensor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 underwater robot that can operate autonomously and maintain a certain attitude when working underwater to reduce difference of work efficiency. The developed underwater robot uses 8 thrusters to control 6 degrees of freedom motion,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DVL (Doppler Velocity Log) and PS (Pressure Sensor) to measure attitude and position. In addition, the thruster allocation algorithm was designed to follow the control desired value using 8 thrusters, and the motion contro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he engineering water basin using the thruster allocation method.

40% 축소형 스마트 무인기 비행제어기 설계 (Attitude SCAS Design for 40% Scaled Smart UAV)

  • 이장호;황태원;최지영;김응태
    • 항공우주기술
    • /
    • 제6권2호
    • /
    • pp.1-7
    • /
    • 2007
  • 40% 축소형 스마트 무인기의 자율비행을 위한 자세 및 자세각속도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19개 설계점에서 축약된 시스템 운동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운동방정식으로부터 설계요구 조건인 시간 응답을 만족 할 수 있는 제어기 이득을 해석적인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각 설계 점마다 구동기 및 통신 시간 지연을 고려한 안정도 여유를 구하였다 또한, 슬라이딩 모드 제어이론을 적용한 강건 제어기를 설계하여 선형 제어기와 성능 비교를 하였다. 설계된 제어기를 비선형 모델에 적용한 응답 결과로부터 제어 로직의 성능 및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PDF

A method for image processing by use of inertial data of camera

  • Kaba, K.;Kashiwagi, H.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8년도 제13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221-225
    • /
    • 1998
  • This paper is to present a method for recognizing an image of a tracking object by processing the image from a camera, whose attitude is controlled in inertial space with inertial co-ordinate system. In order to recognize an object, a pseudo-random M-array is attached on the object and it is observed by the camera which is controlled on inertial coordinate basis by inertial stabilization unit. When the attitude of the camera is changed, the observed image of M-array is transformed by use of affine transformation to the image in inertial coordinate system. Taking the cross-correlation function between the affine-transformed image and the original image, we can recognize the object. As parameters of the attitude of the camera, we used the azimuth angle of camera, which is de-fected by gyroscope of an inertial sensor, and elevation an91e of camera which is calculated from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detected by servo accelerometer.

  • PDF

GPS를 이용한 옥외용 증강현실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Outdoor Augmented Reality System by GPS)

  • 최태종;장병태;한상휘;김정국;허웅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3)
    • /
    • pp.153-156
    • /
    • 2000
  •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 outdoor augmented reality system which has remote real scenes acquisition ability. The real scenes acquisition system consists of Image acquisition system, tracking system, wireless data transceiver and power supply. The tracking system consists of Tans Vector and RT-20 which measures a position and attitude of the CCD camera that attached to the remote control helicopter. Wireless data transceiver system is utilized for data transmission of remote system that of attitude, position information, and real scenes data that acquired by the CCD camera. Maximum propelling power of remote control helicopter is 15Kg, so we used 7.2V li-ion cell as a power supply for system minimize. As the results of experiment, the developing system presented application possibility of remote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such as construction simulation & estimation, broadcasting, tour guide.

  • PDF

해양 소방 안전을 위한 자율수상로봇 개발 (Development of Autonomous Surface Robot for Marine Fire Safety)

  • 정진석;사영민;김현식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8-142
    • /
    • 2018
  • The marine industry is rapidly developing as a result of the increase in various needs in the marine environment. In addition, accidents involving ship fires and explosions and the resulting casualties are increasing. Generally, manpower and safety problems exist in fire fighting. A fire fighter in the form of an autonomous surface robot would be ideal for marine fire safety, because it has no manpower and safety problems. Therefore, an autonomous surface robot with the abilities of fire recognition and tracking, nozzle selection, position and attitude control, and fire fighting was developed and is discussed in this paper. The test and evaluation results of this robot showed the possibility of real-size applications and the need for additional studies.

포텐셜함수 기반 초공동 수중운동체 플레이닝 회피 제어 연구 (Planing Avoidance Control for a Supercavitating Underwater Vehicle Based on Potential Functions)

  • 김선홍;김낙완;김민재;김종혁;이건철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8-212
    • /
    • 2018
  • In this paper, we focus on planing avoidance control for a supercavitating underwater vehicle based on the potential function method. The planing margin can be calculated using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cavity center and vehicle center at the end of the vehicle. The planing margin was transformed into a limit variable such as the pitch angle and yaw angle limit. To prevent the vehicle attitude from exceeding the limit variable, a potential function based planing envelope protection method was proposed. The planing envelope protection system overrides commands from the tracking controller, and the vehicle attitude converges to a desired angle, in which the potential function is minimized. Numerical simulation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physical feasi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s eliminated the planing, allowing the vehicle to follow tracking commands.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헬리콥터 궤적추종제어 연구 (A Study on Helicopter Trajectory Tracking Control using Neural Networks)

  • 김영일;이상철;김병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0-57
    • /
    • 2003
  • 본 연구에서 헬리콥더의 궤적추종을 위한 제어기의 설계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제어시스템의 알고리즘은 선형 되먹임 기법과 두 단계 시간분리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헬리콥터 동특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결핍으로 인한 모델 역변화 오차를 보상하기 위해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실시간 적응제어 구조를 자세제어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제어 시스템의 궤적추종성능은 아파치 헬기의 동측성을 나타내는TMAN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단순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시간 신경회로망 적응제어 구조가 동특성 정보의 부족으로 이한 궤도 추종 제어의 성능 저하 문제에 매우 효과적으로 기여함을 보였다.

모바일매핑시스템에서의 이동객체 추적을 위한 연구 (Tracking of Moving Objects for Mobile Mapping System)

  • 정재승;박재민;김병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235-244
    • /
    • 2006
  • 모바일매핑시스템은 차량에 GPS, IMU, CCD 카메라 등을 장착하여 대상물의 위치 및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도로 시설물의 유지 관리, 수치 지도의 갱신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매핑시스템은 CCD 카메라 영상과 차량의 위치 및 자세정보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 영상안의 객체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바일매핑시스템에서의 위치 및 자세정보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이동객체를 대상으로 위치 추적 기술을 적용하여 보았다. 이러한 이동객체 추적 시스템은 모바일매핑시스템에서 획득된 다양한 지리정보 중에서 필요한 특정 객체만을 추출하여 정보에 대한 활용성을 증대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전자광학 추적장비의 정보 전송지연에 따른 좌표지향 오차보상 (Compensation of Geo-Pointing Error due to Information Transport Delay for Electro-Optical Tracking System)

  • 임정빈;문성만;유준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8권5호
    • /
    • pp.1-7
    • /
    • 2011
  • 전자광학추적장비는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목표물을 추적하며 안정화된 영상을 제공하는 장비이다. 또한, 특정 위치를 자동으로 관측하는 좌표지향 기능을 수행한다. 좌표지향은 항공기의 급격한 기동이나 외란 등의 외적 요인에 방해받지않고 시선을 지향점에 고정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본 논문에서 좌표지향시의 주요 오차 요소들의 영향을 검토하여 항법정보의 전송지연이 주요 오차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연된 항법정보로부터 현재 항공기의 항법정보를 추정하기 위해 병합칼만필터를 설계하였다. 실제 항공기의 비행데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전송지연으로 인한 좌표지향 오차를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음을 보였다.

발사체 안테나 이득패턴을 이용한 팔라우추적소 링크버짓 분석 (Linkbudget Analysis of Palau Tracking Station Using Antenna Gain of Launch Vehicle)

  • 김춘원;권순호;이태진;김동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8호
    • /
    • pp.591-59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팔라우추적소 원격자료수신장비 링크버짓 결과를 예측하고 실제 신호수신레벨과 비교 분석하였다. 팔라우추적소는 발사 임무에 처음으로 참여하였으며, 지리적 특성상 비행시험 등 안테나 추적 및 신호 수신 성능에 대한 검증 시험에 어려움이 있어 발사체 궤도 및 자세각에 따른 송신 안테나 편파별 이득 값의 변화를 예측하여 보다 정확하게 링크버짓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팔라우추적소 신호 수신 가능 구간, 안테나 구동각도와 좌현/우현 편파 예상 수신레벨 분석에 활용되었고, 발사임무 운용 결과 안테나 실제 수신레벨은 링크버짓 결과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