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itude Determination System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7초

정밀도 향상을 위한 2축 소형 정밀 태양센서의 모델링 (Modeling of Two-axis Miniature Fine Sun Sensor for Accuracy Improvement)

  • 윤미연;최정원;장영근;이병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71-78
    • /
    • 2006
  • 태양센서는 제작이 용이하고 가벼워 위성의 자세센서로 많이 사용되며 센서 모델의 정밀도는 위성의 자세결정 정밀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밀도 향상을 위한 2축 소형 태양센서 모델링 방식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제안된 센서 모델링 방식은 기존 수학적 모델링 방식에서는 고려되지 않았던 슬릿 두께가 센서 출력에 영향을 주는 그림자 효과(shadow effect)를 고려한 물리적 모델링 방식이다. 또한 기존의 수학적 모델링 방식과의 비교를 통해 제안된 방식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새롭게 제안된 모델을 사용하면 기존 방식보다 정밀도가 약 29%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안된 센서 모델은 현재 한국항공대학교 우주시스템연구실에서 개발 중인 HAUSAT-2 위성에 탑재될 ${\pm}60^{\circ}$의 시야각을 갖는 2축 고정밀 태양센서를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DEVELOPMENT OF ULTRA-LIGHT 2-AXES SUN SENSOR FOR SMALL SATELLITE

  • Kim, Su-Jeoung;Kim, Sun-Ok;Moon, Byoung-Young;Chang, Young-Keun;Oh, Hwa-Suk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47-58
    • /
    • 2005
  • This paper addresses development of the ultra-light analog sun sensors for small satellite applications. The sun sensor is suitable for attitude determination for small satellite because of its small, light, low-cost, and low pow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The sun sensor is designed, manufactured and characteristic-tested with the target requirements of ${\pm}60^{\circ}$ FOV (Field of View) and pointing accuracy of ${\pm}2^{\circ}$. Since the sun sensor has nonlinear characteristics between output measurement voltage and incident angle of sunlight, a higher order calibration equation is required for error correction. The error was calculated by using a polynomial calibration equation that was computed by the least square method obtained from the measured voltages vs. angles characteristics. Finally, the accuracies of 1-axis and 2-axes sun sensors, which consist of 2 detectors, are compared.

Development of Precision Attitude Determination System for KOMPSAT-2

  • Yoon Jae-Cheol;Shin Dongseok;Lee Hungu;Lee Young-Ran;Lee Hyunjae;Bang Hyo-Choong;Cheon Yee-Jin;Shin Jae-Min;Moon Hong-Youl;Lee Sang-Ryool;Jeun Gab-Ho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4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3권2호
    • /
    • pp.75-75
    • /
    • 2004
  • PDF

Behavioral Analysis Zero-Trust Architecture Relying on Adaptive Multifactor and Threat Determination

  • Chit-Jie Chew;Po-Yao Wang;Jung-San Lee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9호
    • /
    • pp.2529-2549
    • /
    • 2023
  • For effectively lowering down the risk of cyber threating, the zero-trust architecture (ZTA) has been gradually deployed to the fields of smart city, Internet of Things, and cloud computing. The main concept of ZTA is to maintain a distrustful attitude towards all devices, identities, and communication requests, which only offering the minimum access and validity. Unfortunately, adopting the most secure and complex multifactor authentication has brought enterprise and employee a troublesome and unfriendly burden. Thus, authors aim to incorporate machine learning technology to build an employee behavior analysis ZTA. The new framework is characterized by the ability of adjusting the difficulty of identity verification through the user behavioral patterns and the risk degree of the resource. In particular, three key factors, including one-time password, face feature, and authorization code, have been applied to design the adaptive multifactor continuous authentication system. Simulations have demonstrated that the new work can eliminate the necessity of maintaining a heavy authentication and ensure an employee-friendly experience.

GPS/INS 통합에 의한 고정밀 장기선 동적 측위를 위한 다중 기준국 네트워크 데이터 처리 알고리즘 (Multiple Reference Network Data Processing Algorithms for High Precision of Long-Baseline Kinematic Positioning by GPS/INS Integration)

  • 이흥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1D호
    • /
    • pp.135-143
    • /
    • 2009
  • GPS 반송파를 사용하는 GPS/INS 통합 측위 기술은 서로가 가지는 기술적 한계를 상호 극복하여 그 성능을 최대화 할 수 있어 측량과 항법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GPS/INS 통합 측위을 통하여 수 센티미터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준국과 이동국 수신기 사이의 간격이 10~20Km 이내로 제한되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두 시스템 관측데이터를 통합 처리하더라도 그 정확도는 여전히 GPS 위성궤도 오차, 전리층 영향 그리고 대류권 지연과 같은 기선장에 따른 오차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것은 3대 이상의 기준국 관측데이터를 사용하여 기선장에 따른 오차 보정량을 추정하여 이동국 관측데이터에서 그 영향을 최소화하여 극복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중의 기준국 관측데이터를 사용하여 기선장에 따른 오차 보정량 결정을 위한 기준국 반송파 미지정수 결정, 칼만필터에 의한 기선장에 따른 오차 추정 그리고 기준국과 이동국의 기하관계에 의한 오차 보간을 통한 보정량 산출 알고리즘 제안하고 실제 관측데이터 처리를 통해 그 성능을 평가 하였다.

DGPS/IMU 결합에 의한 동적위치결정의 정확도 향상 (Improvement of Accuracy on Dynamic Position Determination Using Combined DGPS/IMU)

  • 백기석;박운용;홍순헌
    • 지구물리
    • /
    • 제9권4호
    • /
    • pp.361-36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AHRS IMU 센서를 이용하여 동적 위치 결정을 위해 초기화 시험을 실시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시간에 대한 이동체의 자세 보정각에 대해 유도하였으며, 동체 방향(Heading)각의 경우 60sec를 지난 후 1°이내의 변동률로 안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개할지와 준개할지로 구분하여 각 시스템 단독으로 동적 위치결정을 실험한 결과 개할지의 DGPS 단독 시스템인 경우 정확도 면에서는 우수하였지만 데이터 취득이 미비하여 이동간 거리가 12m 내외임을 알 수 있었으며, DGPS/IMU 결합 시스템의 경우 정확도와 데이터 취득 및 이동간 거리가 0.3m 내외임을 알 수 있었다. 준개할지에서 DGPS 단독 시스템의 경우 데이터 취득이 불가능한 곳을 제외하고 평균과 표준 오차를 구한 결과 DGPS〈 FIMU〈 DGPS/IMU 순으로 정확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동간 거리는 개할지와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DGPS의 경우 데이터 취득이 불가능한 곳을 여러 구간으로 비교하였을 때 DGPS 단독 시스템의 경우 최대 41.5m 가량 궤적에서 벗어나지만 결합 시스템의 경우 최대 2.2m 이내에 궤적을 구할 수 있었으며, 평균과 표준 오차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항법 시스템을 결합하여 측량분야에 응용해 수치도화 작업내규의 지도에서 위치오차 0.2mm 오차와 비교하였을 때 축척 1 : 1,000 수치지도 작업까지도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Two-antenna 자세 결정용 GPS 수신기와 DR 센서의 통합 시스템 (A Two-antenna GPS Receiver Integrated with Dead Reckoning Sensors)

  • 이재호;서홍석;성태경;박찬식;이상정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0년도 제15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186-186
    • /
    • 2000
  • In the GPS/DR integrated system, the GPS position(or velocity) is used to compensate the DR output and to calibrate errors in the DR sensor. This synergistic relationship ensures that the calibrated DR accuracy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GPS signal is blocked. Because of the observability problem, however, the DR sensors are not sufficiently calibrated when the vehicle speed is low. This problem can be solved if we use a multi-antenna GPS receiver for attitude determination instead of conventional one. This paper designs a two-antenna GPS receiver integrated with DR sensors. The proposed integration system has three remarkable features. First, the DR sensor can be calibrated regardless of the vehicle speed with the aid of two-antenna GPS receiver. Secondly, the search space of integer ambiguities in GPS carrier-phase measurements is reduced to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sphere using DR heading. Thirdly, the detection resolution of cycle-slips in GPS carrier-phase measurements is improved with the aid of DR heading.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it is shown that the search grace is drastically reduced to about 3120 of the non-aided case and the cycle-slips of 1 or half cycle can be detected.

  • PDF

스트랩다운 관성항법시스템 성능평가 시험

  • 이상종;유창선;심요한;김종철
    • 항공우주기술
    • /
    • 제1권1호
    • /
    • pp.28-41
    • /
    • 2002
  • 본 논문의 목적은 실제 관성항법센서를 사용하여 개발된 스트랩다운형 관성항법시스템 및 이용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 및 오차를 평가하는 것이다. 시험은 관성항법센서의 조합을 두가지로 나누어 수행하였는데, 서로 다른 바이어스를 갖는 중급의 가속도계와 저급의 가 속도계가 사용되었으며, 자이로의 경우는 FOG(Fiber Optic Gyro)를 사용하였다(SDINS-1, SDINS-2). 관성항법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두가지의 시험이 수행되었으며, 3축 운동 시험대를 이용한 지상정지시험과 차량을 이용한 단거리 주행시험을 수행하였다. 단거 리 주행시험의 결과는 정확도 20 mm를 갖는 DGPS(Differential GPS)의 시험결과와 비교 하였으며, 결과 및 오차를 나타내었다.

  • PDF

고정밀 INS를 이용한 GAK(GPS Adapter Kit) 항법 모듈의 차량 시험 (Van Test for GAK NM (GPS Adapter Kit Navigation Module) Using High Performance INS)

  • 오상헌;손석보;권승복;신동호;이상정;박찬식;황동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60-267
    • /
    • 2007
  • GAK(GPS adapter kit)은 GPS/INS 항법 모듈을 내장한 사거리 연장 키트의 일종으로 자유 낙하식 폭탄에 장착하여 투하 정확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GAK 항법 모듈의 차량 시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항법 모듈은 상용의 MEMS IMU, 내장형 GPS 수신기 및 항법 컴퓨터로 구성된다. GPS 수신기는 위성 가시성 향상 및 자세 측정을 위하여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구조로 설계하였다. 실시간 항법 소프트웨어는 모듈화 구조로 설계하여 유지보수성 및 확장성을 고려하였다. 항법 모듈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고성능 INS인 Honeywell H-726 MAPS를 탑재한 차량 시험을 수행하였다. 차량 시험 결과 GPS 자세 결과를 사용한 GAK 통합 합법 모듈이 일반적인 GPS/INS 통합의 경우에 비하여 더 나은 항법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재밍 환경을 고려한 경우에도 순수 항법에 비하여 우수한 coasting 성능을 제공하였다.

실시간 DGPS를 이용한 헬리콥터 착륙 시스템 개발 (Flight Test of Helicopter Landing System Using Real-time DGPS)

  • 박성민;김정한;황덕호;장재규;기창돈;박형택;박홍만;이창효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08-119
    • /
    • 1999
  • 최근 수년간, GPS와 관련된 연구들이 항공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었다. 특히, GPS를 항공기의 착륙 유도 시스템에 이용하려는 연구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들은 GPS의 경제성, 신뢰성, 정확성 등의 장점들을 십분 활용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서울대학교 GPS 실험실에서도 이러한 경향에 보조를 맞추어, GPS를 기반으로 하는 항공기 착륙 시스템을 개발하고, 헬리콥터를 이용한 비행실험을 수행하고 있다. 그 동안 누적된 실시간 DGPS 시스템 개발기술들을 바탕으로 항공기 착륙 시스템을 확장, 보강하여 최근의 비행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새롭게 구성된 항공기 착륙 시스템을 소개하고 이를 이용한 비행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기본적인 실시간 DGPS 시스템에서 추가, 발전된 부분은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단일 GPS 안테나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자세를 추정하는 부분이고, 두 번째는, 통합적인 cockpit display이다. 이 display는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조종사에게 기존의 ILS 정보와 그 이외의 다양한 정보들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공항의 기상상태에 관계없이 조종사가 공항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전자지도를 삽입하여 안전한 착륙을 시도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렇게 새롭게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김해 국제공항에서 비행실험을 수행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시스템이 정확도 측면에서, CAT-I을 충분히 만족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신뢰도 높은 자세결정이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