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ack on Routing Protocol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8초

A Sinkhole Detection Method based on Incremental Learning in Wireless Ad Hoc Networks

  • Kim, Ki-Sung;Kim, Se-Hun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77-382
    • /
    • 2007
  • Mobile ad hoc network(MANET) is a kind of wireless network which has no infrastructure. Each component node of MANET can move freely and communicate based on wireless peer to peer mode. Because of its vulnerable routing protocols, MANET is exposed to many kinds of attacks. A sinkhole attack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attacks in MANET caused by attempts to draw all network traffic to a sinkhole node. This paper focuses on the sinkhole problem on Dynamic Source Routing(DSR) protocol in MANET. To detect the sinkhole node, we extract several useful sinkhole indicators through analyzing the sinkhole problem, then propose an efficient detection method based on an incremental learning algorithm.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and reliable for detecting sinkhole intrusion.

  • PDF

Multi-level 구조를 이용한 보안 라우팅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e Routing Protocol using Multi-level Architecture in Mobile Ad Hoc Network)

  • 양환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7-22
    • /
    • 2014
  • MANET은 빠르게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의 특성과 노드들의 이동으로 인해 많은 보안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그중에서도 라우팅 프로토콜의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피해 또한 매우 증가하고 있는 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라우팅 프로토콜 제공을 위한 two-level 인증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에서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에 대하여 신뢰도를 기반으로 한 인증 평가를 실시하여 인증서를 발급해주며, 인증서를 발급받은 노드만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인증서를 발급받은 노드가 데이터 전송시 제어 패킷의 정보와 자신이 관리하는 PIT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악의적인 노드들에 대한 탐지를 수행하게 된다. Ns-2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애드혹 센서 네트워크에서 AODV 라우팅 정보변조 공격노드 탐지 및 추출기법 (Method of Detecting and Isolating an Attacker Node that Falsified AODV Routing Information in Ad-hoc Sensor Network)

  • 이재현;김진희;권경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293-2300
    • /
    • 2008
  • 애드 혹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라우팅 방식인 AODV(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는 무선보안 메커니즘의 부재로 라우팅 정보가 모든 노드에게 노출되어 있다. AODV방식의 문제점은 공격자가 네트워크 내부에 침입하여 임의대로 라우팅 경로를 수정하여 자신을 통과하는 경로를 최단경로로 판단하게 하는 라우팅 정보 변조공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AODV 라우팅 정보 중 공격자가 RREQ(Route Request) 패킷의 소스 시퀀스 번호와 홉 카운트를 변조하여 사용하는 공격을 설계했다. 그리고 설계한 공격을 보안 암호화 및 인증방식이 아닌 AODV의 메커니즘 안에서 공격자를 발견하고 발견된 공격자를 고립시켜 네트워크 성능저하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과도한 보안 알고리즘의 도입으로 생기는 오버헤드를 네트워크 메커니즘을 통하여 줄이고자 한다. 제안된 메커니즘의 성능 평가는 NS-2를 이용하였으며 정상적인 네트워크 상황, 공격 시 네트워크 상황 그리고 제안 메커니즘이 적용된 네트워크 상황하에서 목적지 노드의 데이터 총 수신량을 통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을 도입하였을 경우 데이터의 총 수신량이 정상적인 네트워크 상황과 거의 동일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센서 네트워크에서 AODV 라우팅 정보 변조공격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Bogus Routing Information Attacks in Sensor Networks)

  • 이명진;김미희;채기준;김호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4C권3호
    • /
    • pp.229-238
    • /
    • 2007
  • 센서 네트워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구현을 위한 기반 네트워크 중의 하나로 그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으며, 네트워크 특성상 보안 기술 또한 기반 기술과 함께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현재까지 진행된 센서 네트워크 보안 기술은 암호화에 의존하는 인증 구조나 키 관리 구조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센서 노드는 쉽게 포획이 가능하고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는 환경에서도 키가 외부에 노출되기 쉽다. 공격자는 이를 이용하여 합법적인 노드로 가장하여 내부에서 네트워크를 공격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실행 가능한 내부 공격 및 그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내부 공격에 대비한 안전한 메커니즘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애드 혹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이며, 센서 네트워크에서도 적용 가능한 AODV (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라우팅시 가능한 내부 공격을 모델링하고 이를 탐지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모델링한 공격은 AODV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메시지를 변조하여 정상 노드들이 공격자를 통한 경로를 선택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공격은 패킷스니핑 및 선택적 혹은 전 트래픽의 필터링과 변조 공격의 기본이 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내부 공격이 정상 트래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흡수 정보를 이용한 간단한 탐지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신뢰 모델을 이용한 보안 라우팅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e Routing Technique using Trust Model in Mobile Ad-hoc Network)

  • 양환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1-16
    • /
    • 2017
  • 이동 노드로만 구성된 MANET은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노드들의 이동으로 인한 동적 토폴로지와 링크 실패는 많은 라우팅 취약점을 노출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성능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신뢰 모델을 기반으로 한 안전한 라우팅 프로토콜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에서는 노드들에 대한 효율적인 신뢰 평가 및 관리를 위해 영역 기반 네트워크 구조를 이용하였다. 노드들의 신뢰 평가는 노드들의 제어 패킷과 데이터 패킷의 폐기 비율 측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라우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트래픽 검사를 실시하고 과도한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경로에 존재하는 노드들에 대한 DSN 검사하여 비정상행위 노드를 탐지하였다. 제안한 기법을 통해 경로상에 공격이 존재하더라도 안전하게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Ad Hoc Network에서 블랙 홀 노드 탐지 향상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ction Improvement Technique of Black Hole Node in Ad Hoc Network)

  • 양환석;유승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1-16
    • /
    • 2013
  • 이동 노드는 임의로 이동을 하며, 라우터와 호스트 기능을 동시에 수행해야 한다. 노드들의 이러한 특성은 다양한 공격의 잠재적 위협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그중에서도 악의적인 노드가 패킷 손실을 유발시키는 블랙 홀 공격은 가장 중요한 문제 중에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블랙 홀 공격의 효율적인 탐지를 위하여 모든 노드에서 감시 테이블을 이용한 분산적 탐지와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한 협업 탐지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공격 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4단계의 과정으로 이루어진 로컬 탐지와 협업 탐지 과정으로 나누어 수행한다. 협업 탐지를 위해 클러스터 헤드는 블랙 홀 리스트를 이용하였다. Ns-2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실험결과에서 제안한 기법의 우수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trusion Detection for Black Hole and Gray Hole in MANETs

  • She, Chundong;Yi, Ping;Wang, Junfeng;Yang, Hongshe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7호
    • /
    • pp.1721-1736
    • /
    • 2013
  • Black and gray hole attack is one kind of routing disturbing attacks and can bring great damage to the network. As a result, an efficient algorithm to detect black and gray attack is important. This paper demonstrate an adaptive approach to detecting black and gray hole attacks in ad hoc network based on a cross layer design. In network layer, we proposed a path-based method to overhear the next hop's action. This scheme does not send out extra control packets and saves the system resources of the detecting node. In MAC layer, a collision rate reporting system is established to estimate dynamic detecting threshold so as to lower the false positive rate under high network overload. We choose DSR protocol to test our algorithm and ns-2 as our simulation tool. Our experiment result verifies our theory: the average detection rate is above 90% and the false positive rate is below 10%. Moreover, the adaptive threshold strategy contributes to decrease the false positive rate.

그레이홀 공격이 있는 MANET에서 IDS 성능 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IDS on MANET under Grayhole Attack)

  • 김영동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077-1082
    • /
    • 2016
  • MANET 라우팅 기능에 혼란을 초래하여 네트워크 전송기능을 저하시키는 악성공격에 대한 대응수단으로 IDS가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송패킷의 일부를 공격대상으로 하는 그레이홀 공격이 있는 MANET에서 IDS가 전송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레이홀 공격에 대한 효과적인 IDS 조건을 살펴본다. 성능분석은 NS-2를 기반으로 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사용하며, VoIP를 응용서비스로 하여 전송성능을 측정한다. 음성전송의 표준전송품질척도인 MOS, CCR, 종단간지연 등을 성능측정 및 분석 파라미터로 사용한다.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Token Escrow 트리 기반의 보안 라우팅 프로토콜 (An Efficient Secure Routing Protocol Based on Token Escrow Tree for Wireless Ad Hoc Networks)

  • 이재식;김성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23-626
    • /
    • 2010
  • 최근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점차 각광을 받으면서 다양한 애드 혹 환경에서의 라우팅 프로토콜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애드 혹 네트워크라는 환경의 특성 상 보안상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제안되었던 보안 라우팅 프로토콜을 적용시키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보안성을 보완한 새로운 애드 혹 라우팅 프로토콜이 제안되었지만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응하기 힘들고 보안적인 측면에 집중을 한 나머지 에너지소모 측면에서는 단점을 노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 가능하고, 기존의 보안 라우팅 프로토콜에 비해 에너지 효율적인 보안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보안 정보의 보호를 위해 Tree 구조를 도입하고 보안 단계를 통한 Multi-path를 구성하여 악의적인 노드의 Dropping Attack에 대비하고, 예기치 못한 Data Packet의 손실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대처하게 하였다. 실험 결과 악의적인 노드가 존재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존의 애드 혹 네트워크 보안 라우팅 프로토콜보다 21%정도의 패킷 전송 성공률을 높일 수 있었으며 또한 각 노드의 에너지를 균등하게 소모함으로써 전체적인 네트워크의 생존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