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rial fibrillation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37초

승모판 수술 후 동율동 회복에 관한 임상분석 (A Clinical Analysis on the Restoration of Sinus Rhythm Following Mitral Valve Surgery)

  • 백완기;심상석;김현태;조상록;진성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47-352
    • /
    • 1999
  • 승모판막 질환에 흔히 동반되는 심방세동은 판막수술 후 종종 동율동으로 전환되어지는데 수술 후 동율동의 유지는 술후 불안정한 혈역학을 보이는 환자의 회복에 매우 중요할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술후 혈전색전증의 발생 빈도를 떨구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1986년 6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성남 인하병원 흉부외과에서 시행된 후천성 판막질환 환자에서 승모판막 수술이 포함된 환자 중 184례를 대상으로 술전과 술후 심장율동의 양상 및 변화를 의무기록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관찰 분석하여 술후 동율동으로의 전환과 이의 유지에 관련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술전 율동이 심방세동이었던 환자 139례 중 술후 54례가 술후 동율동으로 전환되어 38.8%의 전환율을 보였으나 퇴원시를 기점으로 41례의 환자에서 다시 심방세동이 재발하여 75.9%의 재발율을 보였다. 심방세동이 재발한 환자들의 평균 동율동 유지기간은 8.2$\pm$5.9 일이었다. 또한 만기추적시 15례의 환자만이 동율동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84.4$\pm$34.7개월이었다. 환자의 연령 및 증상의 기간과 술전 심방세동의 기간, 좌심방 크기 및 술 전 폐동맥압이 술후 동율동의 유지에 관련인자로 생각된 반면, 술전 심방세동의 기간 및 박출계수만이 심방세동 재발의 위험인자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과, 술후 동율동으로의 전환 및 유지의 빈도를 높이기 위하여는 조기수술이 강력히 요망되며, 더 나아가 본 연구의 높은 심방세동의 재발율이 \ulcorner사하는 바와 같이, 판막수술에 더불어 심방세동에 대한 적극적인 수술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ner1례등이 있었다. 결과: 수술사망은 2례로 조기사망률은 6.7%였다. 수술생존자 28명중 4명은 장기추적관찰이 불가능하였으며, 총 2091환자.월(평균 74.7$\pm$68.4개월, 최장 187개월)동안 관찰하였다. 이 기간중 판막의 혈전, 혈전색전증 및 항응고치료에 따른 출혈등의 합병증은 없었으나, 조직판막을 이용한 10례중 8례에서 술후 평균 87.1$\pm$23.6개월에 판막기능부전으로 재수술하였으며(이중 2례는 타 병원에서 수술함), 기계판막을 치환한 1례에서 판막주위누출과 감염으로 술후 3개월째 재수술하였다. 재수술시 사망례는 없었다. 만기사망은 1례로 방실중격결손증 교정술후 잔존 승모판폐쇄부전으로 승모판치환술을 받은 7세환아로 판막치환술후 4개월에 확장성심근염으로 사망하였다. 조직판막의 경우 생명표분석에 의한 판막실패가 없는 장기누적률은 6년째 75.0%, 7년째 50.0%, 8년째 12.5%의 기록을 보여 술후 6년에서 8년에 걸쳐 격감하는 양상을 보였다. 수술사망 2례를 제외한 28명의 장기생존률을 Kaplan-Meiyer법에 의해 분석하였을때 4개월째 생존률이 96.0%로 그 이후로는 사망례가 없었다. 결론:이상의 결과로 보아 소아 심장판막치환술은 비교적 안전하고, 술후 적절한 추적관찰이 행해질 경우 항응고요법에 따른 합병증은 거의 없으나, 5세이하 소아나 판막치환술 이전에 심장수술을 한 경우는 위험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지표들 면에서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고(p>0.05), 육안적으로 광배근을 관찰하였을 때 그룹 A에서는 광배근의 유착 및 염증소견이 모두에서 있었고 그중 2마리에서는 광배근의

  • PDF

Efficacy of Cox Maze IV Procedure Using Argon-Based Cryoablation: A Comparative Study with $N_2O$-Based Cryoablation

  • Lee, Kyung-Hak;Min, Jooncheol;Kim, Kyung-Hwan;Hwang, Ho Young;Kim, Jun S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4호
    • /
    • pp.367-372
    • /
    • 2014
  • Background: We compared the mid-term results of the Cox maze IV procedure using argon-based cryoablation with a procedure using $N_2O$-based cryoablation. Methods: From May 2006 to June 2012, 138 patients (mean age, $58.2{\pm}11.0$ years) underwent the Cox maze IV procedure. Eighty-five patients underwent the maze procedure using an $N_2O$-based cryoprobe (group N), and 53 patients underwent the maze procedure using an argon-based cryoprobe (group A). Bipolar radiofrequency ablation was concomitantly used in 131 patients. The presence of atrial fibrillation immediately, 6 months, 1 year, and 2 years after surgery was compared. Results: Early mortality occurred in 6 patients (4.3%).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arly mortality 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Nineteen of 115 patients (16.5%) remained in atrial fibrillation at postoperative 12 months (14 of 80 patients (17.5%) in group N and 5 of 35 patients (14.3%) in group A, p=0.669).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patients who remained in atrial fibrillation at any of the time periods except i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A multivariable analysis revealed that the energy source of cryoabl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atrial fibrillation at 1 year (p=0.862) and that a fine F wave (<0.1 mV) was the only risk factor predicting the presence of atrial fibrillation at 1 year (p<0.001, odds ratio=20.287). Conclusion: The Cox maze IV procedure using an argon-based cryoprobe was safe and effective compared with the maze procedure using an $N_2O$-based cryoprobe in terms of operative outcomes and the restoration of sinus rhythm for up to 2 years after surgery.

심방세동 환자의 증상경험 및 삶의 질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 백경화;손연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85-494
    • /
    • 2008
  • Purpose: In this study, relationships between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a cross-sectional sample of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F) were investigated.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involved a convenience sample of AF patients from S university hospital, C city. One hundred and two AF patients completed psychometric validated measures of AF related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 WIN 14.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Of 16 atrial arrhythmia-related symptoms, the patients reported 'tiredness' as the most frequent and 'shortness of breath' as the most severe. The level of overall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AF was 53.9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mptom frequency according to religion, New York Heart Association (NYHA) classification an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 symptom severity according to monthly income and stroke ;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age, job, alcohol intake, NYHA class and stroke. Quality of life for these patien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ymptom frequency and symptom severity.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atients with more frequent and severe symptoms perceive poorer quality of life than patients with less frequent and less severe symptoms. Symptom experience should be assessed early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 PDF

심장질환 치료를 위한 체내삽입형 저전력 Pacemaker에 관한 연구 (Implantable low-power Pacemaker for Heart Disease Therapy)

  • 김교석;이상원;조준동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473-474
    • /
    • 2007
  • 본 연구는 체내 이식형 Pacemaker를 연구하면서 심장 질환을 Therapy 해 주는 방법에 대해 저전력 및 성능향상에 중점을 두고 연구 및 실험을 하였다. 우선적으로 심장의 심박동을 연산량이 적은 Peak_detection에서 체크하여 전력소모를 줄이고 나오는 각 심실 및 심방의 Interval을 Disease_episode 에서 받는다. 여기서 5가지 심실 및 심방에 관한 질환들 (VF : Ventricular Fibrillation, VT : Ventricular Tachycardia, FVT : Fast Ventricular Tachycardia, FAT_AF : Fast Atrial Tachycardia/Atrial Fibrillation, AT_AF : Atrial Tachycardia AT_AF : Atrial Fibrillation)을 판별한 후 각 병증에 맞는 Therapy 값을 출력하게 하였다. 그 외에 남아있는 병증에 대해서도 Therapy가 저전력 및 성능향상 되도록 설계하였다. 기존에 적용되어 있는 Detection 기법에서는 각각의 병증에 대해서 각 Detection이 있어 VF와 VT 사이에 있는 FVT와 같은 병증을 치료할 때 FVT 같은 경우에는 VF와 VT사이에 있는 질병이기 때문에 FVT_VF 및 FVT_VT와 같이 각각의 Detection을 두어 전력 소모가 있었다. 심장에서는 여러 질병이 한번에 나을 수 없다는 것에 착안하여 (심박동 Interval에 의해 질병이 판단되므로) 다른 병증이지만 같은 진단 기준을 쓰는 Detection을 통합함으로써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Gate수를 줄이고 저전력을 구현하였다. 또한 병증을 판별하는 진단 기준 모듈 중 Onset_Criterion 재설계하여 좀더 성능 향상에 중점을 두었다.

  • PDF

Outcome of Concomitant Cox Maze Procedure with Narrow Mazes and Left Atrial Volume Reduction

  • Choi, Jong Bum;Kim, Jong Hun;Cha, Byong Ki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4호
    • /
    • pp.358-366
    • /
    • 2014
  • Background: To improve sinus rhythm conversion, the Cox maze III procedure with narrow mazes (width: ${\leq}3.0cm$) was performed in combination with left atrial volume reduction. Methods: From October 2007 to April 2013, 87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paroxysmal in 3, persistent in 14, and permanent in 70) underwent the Cox maze procedure concomitant with another cardiac procedure. They were followed-up with serial electrocardiographic and echocardiographic studies. We used 24-hour Holter monitoring tests to evaluate postoperatively symptomatic patients. Results: At the mean follow-up time of 36.4 months, 81 patients (94.2%) had sinus rhythm and two were on anti-arrhythmic medication (one on a beta-blocker and the other on amiodarone). Five patients (5.8%) with postoperative recurrent and persistent atrial fibrillation never experienced sinus rhythm conversion; however, they did not require any medication for rate control. On postoperative echocardiography, the left atrial A waves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after concomitant mitral valve repair than after concomitant mitral valve replacement (82.4% vs. 40.4%, respectively; p<0.001). Conclusion: For the Cox maze procedure, narrow mazes and atrial volume reduction resulted in excellent sinus rhythm conversion without the preventive use of anti-arrhythmic drugs, and they did not affect the presence of the left atrial A waves on echocardiography.

절개봉합법을 이용한 심방세동 수술의 중단기 결과 (The Influence of Simplified Surgical Procedures on the Surgical Treatment for Atrial Fibrillation with using the Cut-and-Sew Technique)

  • 최종범;김종헌;이미경;이삼윤;김민호;김공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3호
    • /
    • pp.313-319
    • /
    • 2008
  • 배경: 심방세동의 외과적 치료방법으로는 Cox maze-III 수술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러나 수술시간이 길고 합병증이 증가할 수 있어서 수술시간을 단축하고자 좌측 심방의 maze수술이나 폐정맥분리술만을 시행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절개-봉합법을 이용한 심방세동 수술방법의 변형이 심방세동의 수술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2월부터 2005년 6월까지 기존 심장질환과 심방세동을 동반한 40예(남 17예; 여 23예)에서 심방세동 수술을 시행하였다. 23예에서 Cox maze-III 수술을, 10예에서 좌심방 maze 수술을, 7예에서 폐정맥 분리술을 시행하였다. 심방에 전도차단 병변을 만들기 위해 절개봉합법이 이용되었으나, 폐분리절개선에서 승모판륜까지의 심방벽과 관상정맥동의 전도차단에는 냉동프로브가 사용되었다. 결과: 심방세동 수술 후 $50.0{\pm}21.6$개월의 추적결과 Cox maze-III 수술을 받은 23예는 모두 정규리듬(동리듬이나 심방리듬)으로 전환되었고, 좌심방 maze 수술을 받은 10예 중 7예(70%)에서, 폐정맥 분리술을 받은 7예 중 4예(57.1%)에서 각각 정규리듬으로 전환되었다(p=0.002). 결론: 심방세동 수술에서 동리듬이나 심방리듬으로 높은 전환율을 얻기 위해서는 양심방에 Cox maze-III 수술을 시행해야 하며, 좌심방 maze 수술이나 폐정맥 분리술 같은 국한적인 수술방법은 심방세동의 치료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Efficacy of the Maze Procedure for Atrial Fibrillation Associated with Atrial Septal Defect

  • Shim, Hunbo;Yang, Ji-Hyuk;Park, Pyo-Won;Jeong, Dong Seop;Jun, Tae-Goo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2호
    • /
    • pp.98-103
    • /
    • 2013
  • Background: Atrial fibrillation (AF) is a common complica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atrial septal defect (AS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acy of the maze procedure in thes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ruary 2000 and May 2011, 46 patients underwent the maze procedure as a concomitant operation with ASD closure. Three patients who underwent a right-sided maze were excluded, and one patient was lost to follow-up.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3.2{\pm}2.5$ years. Electrocardiography was performed 1 month,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after surgery, and checked annually after that. Results: AF persisted in 4 patients after surgery. One year after surgery, among 38 patients, 55.3% remained in sinus rhythm without antiarrhythmic drugs. However, when including the patients who took antiarrhythmic drugs, 92.1% were in sinus rhythm. Freedom from AF recurrence at 3 months, 6 months, 1 year, 2 years, 3 years, and 5 years after surgery were $97.4{\pm}2.6$, $94.4{\pm}3.8$, $91.2{\pm}4.9$, $87.8{\pm}5.8$, $79.5{\pm}7.6$, and $68.2{\pm}12.4$, respectively. There was no early mortality after operation. Conclusion: Concomitant treatment with the maze procedure and ASD closure is safe and effective for restoring the sinus rhythm.

냉동절제 없이 시행한 Maze III 술식의 조기 결과 (Early Results of Maze III Operation Without Cryoablation)

  • 김형수;이원용;오동진;지현근;홍기우;두영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255-261
    • /
    • 1999
  • 배경: 심방세동은 모든 부정맥중에서 가장 흔하고 승모판질환을 가진 환자의 79%를 차지한다. 이 연구에서는 승모판 수술을 시행하는 환자의 심방세동이 냉동절제 없이 시행한 Maze 술식으로 제거되는지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5월에서 1998년 4월까지 승모판 질환과 심방세동이 있는 14명의 환자에서 냉동절제 없이 Maze III 술식을 시행하였다. 남자는 6례, 여자는 8례였고, 평균 나이는 46.2$\pm$10.7세 였다. 승모판막 협착증 11례, 그리고 승모판막 폐쇄부전 3례였다. 동반 질환으로 대동맥판막 질환 4례, 삼첨판막 폐쇄부전이 1례, 그리고 심방중격결손증이 2례였다. 경흉적 심초음파 검사상 좌심방의 평균 크기는 54.7$\pm$5.3 mm였고, 좌심방내에서 혈전이 관찰된 경우는 2례였다. 수술후 심초음파 검사상 승모판막을 통과하는 혈류를 측정함으로써 초기 충전파의 최고 속도와 심방수축파의 최고 속도 사이의 비(A/E ratio)를 계산하였다. 수술은 대동맥판막 치환술 4례, DeVega 판륜성형술 1례, 그리고 심방중격결손 폐쇄술 2례를 동반하여 승모판막 치환술을 13례에서 시행하였고, 나머지 1례는 Maze III 술식만 시행하였다. 결과: 5례(38%)의 경우에서 일시적인 심방세동이 재발하였고, 수술후 평균 38.8$\pm$23.5일에 flecainide 또는 amiodarone의 투여로 정상동방결절율동으로 전환되었다. 수술후 합병증은 일시적인 접합부율동 6례, 일시적인 심방세동 5례, 출혈로 인한 재수술 3례, , 술후 심막절개증후군 1례, 편측 성대마비 1례, 정신증 1례, 그리고 심근경색이 1례였다. 수술후 A/E비는 0.43$\pm$0.22였고, A파가 9(64%)례에서 양성이었다. 수술후 3개월에서 14개월(평균 추적관찰, 8.1개월)동안 14례에서 모두 정상 동방결절율동으로 전환되었고, 9례(64%)에서 좌심방의 수축을 관찰할수 있었으며, 11례(79%)에서는 항부정맥제를 투여하지 않고 있다. 결론: Maze III 술식에서 냉동절제를 시행하지 않더라도 승모판막 질환과 동반된 심방세동에 효과적인 수술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확장된 경중격 접근방식을 통한 승모판수술 (Mitral Valve Operation Via Extended Transseptal Approach)

  • 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12호
    • /
    • pp.909-914
    • /
    • 1993
  • Complete and optimal visualization of the mitral apparatus is a prerequisite for accurate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mitral valve. A vertical left atriotomy just posterior to the interatrial groove is the most commonly used approach. However,exposure can be difficult under certain circumstances,such as small left atrium or reoperation. Other approaches have been advocated to deal with this difficult situations. We used an extended transseptal approach in 10 patients and good clinical results and excellent educational effects were obtained. The extended transseptal approach combines two semicircular atrial incisions circumscribing the tricuspid and mitral annuli anteriorly and superiorly,allowing exposure of the mitral valve by deflecting the ventricular side using stay sutures. The right atrium is opened anteriorly along the atrioventricular sulcus. The atrial septum is incised vertically through the fossa ovalis. Right atrial and septal incisions are joined at the superior end of the interatrial septum and extended across the dome of the left atrium to the left atrial appendage. The mitral valve was replaced in all 10 patients. Four of 10 patients had other simultaneous valve procedure: one had aortic valve replacement: 2 underwent tricuspid annuloplasty: 1 had aortic valve replacement and tricuspid annuloplasty. There was no hospital death and complication. Among the 5 patients who had atrial fibrillation preoperatively,4 had atrial fibrillation postoperatively,1 converted to sinus rhythm. The five patients who were in normal sinus rhythm preoperatively remained in sinus rhythm after replacement. A review of our results with this approach confirms the efficacy and safty of this method. So we recommanded this approach for routine mitral valve procedure,especially difficult situations,such as a small left atrium or the redo ope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