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tronomical information

검색결과 372건 처리시간 0.027초

ON THE INTERNATIONAL RADIO ASTRONOMY OBSERVATORY ON PLATEAU SUFFA

  • HOJAEV A. S.;SHANIN G. I.
    • 천문학회지
    • /
    • 제29권spc1호
    • /
    • pp.411-412
    • /
    • 1996
  • We present the update information on the International Radio Astronomy Observatory Suffa project and describe the original design of new 70-m radiotelescope RT-70 for millimeter astronomy as well. Some oreographic, seeing and climatic features of Suffa are also given.

  • PDF

GRAVITATIONAL MICRO-LENSING EFFECTS AND ASTROPHYSICAL APPLICATIONS

  • Chang, Kyong-Ae
    • 천문학논총
    • /
    • 제7권1호
    • /
    • pp.97-105
    • /
    • 1992
  • The most favourable possibilities to observe the phenomena of gravitational lensing are the high amplification events and the time delay between the images. These effects provide us the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Hubble parameter and the matter distribution in the universe. The image properties due to micro-lensing also is of an importance to find out the size and the structure of the source.

  • PDF

조선시대(1392-1910) 연력표 (ARRANGEMENT OF CHRONOLOGICAL TABLES ON CHOSEON DYNASTY(A.D. 1392-1910))

  • 안영숙;한보식;심경진;송두종
    • 천문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7-183
    • /
    • 2000
  • We arrange Korean ancient calendar with Solar calendar during Choseon Dynasty(A.D. 1392-1910). In this period, we have one representable history books and several books, and most of information for date are found from them, ChoseonWangjosillok(조선왕조실록) and Jeungbomunheonbigo(증보문헌비고), etc. In those books many astronomical data and calendar information data are contained, so we can make chronological tables. Most of the data are arranged based on those several books, and for doubtable data are identified from eclipse, historical events and lunar phase calculations etc. We find that arranged chronological tables during Choseon Dynasty are similar to that of China and somewhat different from that of Japan. In addition we summarize all misrecorded date data in ChoseonWangjosillok

  • PDF

천문 유산을 활용한 천문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가능성 탐색 (Development of Astronomy Education Programs using Astronomical Heritage and Exploring its Educational Possibility)

  • 이지혜;신동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25-343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천문 유산인 앙부일구와 고대 천문 기록을 활용한 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범적용을 통해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앙부일구와 고대 천문 기록의 TSK 구성적 특성, 과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NOS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앙부일구는 초등학생을 위한 핸즈온 활동으로, 고대 천문 기록은 중·고등학생을 위한 과학 탐구 활동으로 개발했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초등과 고등 집단에게 시범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앙부일구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절기별 태양 운동에 대한 오개념을 수정하며 개념 지식을 정교화했고, 이후 천구 좌표계 개념과의 연계 가능성을 확인했다. 학생들은 앙부일구의 과학적 가치를 인식했으며, 과학·기술·사회 간 상호작용의 본성을 이해했다. 고대 천문 기록 활동에서 학생들은 귀납 및 연역적 탐구 방법을 경험했고, 다양한 정보와 전략을 활용했다.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TSK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태도를 발전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