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4초

황기분말 첨가 설기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 이세희;조성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3-239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he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ulgidduk ranged from 42.03% to 43.38%. The addition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in the Sulgidduk tended to decrease the pH value, but did not change $brix^{\circ}$ values of the samples. the addition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in the Sulgidduk tended to decrease the lightness (L) in Hunter color value, but to increase the redness (a) and yellowness (b). For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addition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decreased the hardness and springiness. In sensory evaluation, the addition of 1.5%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had the best score in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Therefore, this results suggest that adding 1.5%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could be applied for making Astragalus membranaceus Sulgidduk.

황기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on Yeast Bread Baking Quality)

  • 민성희;이보람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8-234
    • /
    • 2008
  • In this study,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was added (3, 6, 9%) during yeast bread preparation and its effect on product quality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ough pH increased as the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content increased. However, dough volume during fermenta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samples. Bread volume decreased (p<0.001)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Also, as the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content increased, the Hunter’s color ‘L’ value of the crust decreased and the ‘a’ value increased, and for the crumb, the ‘L’ value decreased and the ‘a’ value increased. Textural property analysis indicated that hardness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However, up to the 6% level, there were no sensory attribute differences among the samples.

황기가루 첨가량에 따른 양갱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 민성희;박옥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13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prepared with different ratios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 2%, 4%, and 6%. Proximate composition, Hunter's color values, texture profile analysis, and sensory qualities were examined. The lightness of the yanggaeng decreased with increasing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content. For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har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content. In terms of sensory qualities, the 2%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sample did not influence any of the sensory attributes of the yanggaeng.

  • PDF

황기분말을 첨가한 어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sh Paste Prepared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 김동호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362-369
    • /
    • 2011
  • 본 연구는 식품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높고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한 황기분말을 농도별로 첨가(0.5%, 1.0%, 1.5%, 2.0%)하여 어묵을 제조하고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은 황기분말의 첨가여부에 관계없이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pH는 전체적으로 6.75-6.86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L값은 황기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a값은 높아지고 b값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황기분말 첨가 어묵의 절곡 검사 결과는 모든 시료에서 AA로 측정되어 황기분말의 첨가가 어묵의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기계적 조직감 중 강도(strength)는 황기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검성(gumminess), 응집성 (cohesiveness), 파쇄성(brittleness)은 황기분말 2.0% 첨가구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황기분말 첨가 어묵의 관능적특성 중 생선 비린내 정도(fishy smell)는 황기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강도의 정도가 약해졌으며 구수한 냄새의 정도(savory smell)는 황기분말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구수한 맛의 정도(savory taste)는 황기분말 1.0% 첨가구가 6.27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느끼한 맛의 정도(oily taste)는 황기분말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약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황기맛의 정도(Astragalus membranaceus taste)는 황기냄새의 정도와 마찬가지로 황기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강하게 평가되었으며 관능적 조직감의 정도는 각 시료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적 선호도 평가결과, 황기분말 1% 첨가구가 냄새, 맛, 조직감, 전반적인 선호도 항목에서 가장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Effec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root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serum antioxidant and immune response in finishing lambs

  • Hao, Xiaoyan;Wang, Pengju;Ren, Youshe;Liu, Gentang;Zhang, Jianxin;Leury, Brian;Zhang, Chunxi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6호
    • /
    • pp.965-972
    • /
    • 2020
  • Objective: Astragalus membranaceus root is a well-known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with many biological active constitu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root powder (AMP) on growth performance, serum antioxidant and immune response in finishing lambs. Methods: A total of thirty-six Guangling fat-tailed ram lambs (body weight = 19±2 kg, mean±standard deviation)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six treatments for a 40 d feeding period, with the first 10 d for adaptation. Treatments consisted of the lambs' basal diets with addition of 0, 5, 10, 15, 20, and 30 g/kg of diet of AMP. Results: Response to supplementation level of AMP was quadratic (p≤0.032) for final weight and ADG with the greatest at 10 g/kg of diet, but dry matter intake was not affected (p≥0.227) by treatments. The increase of AMP supplementation resulted in a quadratic response in contents of triglyceride and creatinine (p<0.05), with the lowest values for 10 and 20 g/kg of diet, respectively. A linear and quadratic decrease was observed in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in serum of lambs. As the AMP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activities of total superoxide dismutase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y increased linearly (p≤0.018) and hydroxyl radical (OH-) decreased linearly (p = 0.002). For catalase (CAT) and malondialdehyde (MDA), quadratic (p≤0.001) effects were observed among treatments, with the greatest CAT and lowest MDA values at 10 g/kg AMP. Additionally, supplementing AMP up to a level of 10 or 15 g/kg of diet quadratically increased immunoglobulin and interleukin contents in the serum.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P can be used as natural feed additive in the ration of lambs to improve ADG, antioxidant status, and immune functions, and the optimal dose was 10 g/kg of diet under the condition of this experiment.

희귀식물 제주황기의 미세번식 (Micropropagation of a rare plant species,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var. alpinus N.)

  • 한무석;노설아;곽명철;문흥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2호
    • /
    • pp.100-106
    • /
    • 2014
  • 희귀 식물 제주황기의 기내번식법 확립을 목적으로 줄기증식 및 발근을 시험하고 배양과정에서 나타나는 잎의 과수화 현상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줄기유도 시 BA 및 kinetin의 처리는 다경유도 효과가 뚜렷하지 않았으며 대부분 단일 줄기로 자랐다. 하지만 BA 처리는 마디 수의 증가를, kinetin 처리는 줄기의 신장을 각각 촉진하는 효과가 있었다. 과수화(hyperhydration)된 잎은 정상 잎에 비하여 세포의 크기가 크고 책상조직의 발달이 부진하였으며, 세포의 배열이 불규칙하였다. 특히 과수화 잎의 세포는 세포 내 전분의 축적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내발근은 세 가지 배지(B5, MS, WPM) 가운데 B5 배지가 양호하였으며, 0.1 mg/L IBA 처리 시 최고의 발근율을 보였다. 발근에 미치는 절편체 위치효과(정아지 혹은 액아지)는 통계적 유의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외삽목 발근은 0.5% IBA 분말 처리로 65%까지 발근되어 기내발근 보다 저조하였으나, 차후 생존율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제주황기의 기내번식이 가능함을 시사하며, 이 식물의 기내 및 기외보존의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방초콩환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체중 및 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Pills of Chokong (Pickled Black Soybeans) with Medicinal Herbs on Body Weight Gain and Lipid Profiles in Rats Fed High-fat Diet)

  • 박찬성;김동한;김미림;석장미;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27-135
    • /
    • 2007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bese effects of mixed pills of pickled black soybeans with herbs(herbal Chokong pill, hereafter HCKP) in rats fed high-fat diet. It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changes of body weight, adipose tissues weight and lipid profiles in serum. Methods : Black soybeans were pickled in vinegar for 15 days to prepare Chokong, at room temperature. For treatment group, HCKP was prepared, which five kinds of medicinal herbs(Rhynchosia nulubilis, Glycyrrhiza uralensis, Zizyphus vulgaris, Atractylodes macrocephala K, Astragalus membranaceus and Cornus officinalis) were added to dried Chokong. Four groups of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different diets during 9 weeks: normal diet containing 5%(w/w) com oil, high-fat diet containing 10%(w/w) lard plus 5%(w/w) corn oil (HF),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1%(T1) and 5%(T5) HCKP powder, respectively. Results : The T5 group had markedly lower body weight gain and weights of epididymal adipose tissue when compared with HF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sceral adipose tissue weights,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between the HF and T5 group. Then, the efficacy of powered HCKP on body weight and lipid profiles change in rats fed high-fat diet were induced dose dependantly.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ssibility of HCKP, as an antiobese functional formula, by suppression of body weight gain and improved lipid profiles.

  • PDF

뼈 발달에 관한 성장인자를 가진 한약재가 성장기 흰쥐 동물모델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the Effect of Oriental Medicinal Herbs with Growth Factors on Bone Development using the SD Strain Rat Model in the Growth Period)

  • 심재원;안희영;심소연;김희영;조용주;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14-620
    • /
    • 2019
  • 본 연구는 성장 유도 인자가 포함된 여러 가지의 한약재의 조성물을 활용하여 성장기 흰쥐에서 골성장판 길이, 대퇴부 길이,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및 혈액분석을 통해 키 성장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먼저, 골성장판 길이 분석 결과, N군에 비해 PC군과 Gh-199군 및 Sh-188군의 골성장판 길이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Gh-199군의 경우 PC군보다 더 우수한 골성장판 길이 성장률을 보였다. 대퇴부 길이 및 골밀도 경우 Gh-199군에서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황기분말을 급여한 PC군의 경우, Gh-199군 및 Sh-188군과 달리 높은 혈중 AST 및 ALT 수치를 나타내었다. 성장호르몬 인자 중 하나인 IGF-1의 결과, PC군과 Sh-188군은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Gh-199군에서 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 골성장판, 대퇴부길이, 골밀도 및 혈액분석 결과 모두 Gh-199군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어 본 실험에 사용한 한약재 조성물은 키 성장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지방식이 섭식 횐쥐의 간조직에 미치는 한방초콩환의 영향 (Effect of Herbal Chokong Pill on the Microstructure of Liver Cell in Rats Fed High Fat Diet)

  • 박찬성;김동한;김미림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0-205
    • /
    • 2008
  • 본 연구는 한방초콩환의 고지방식이를 섭식한 흰쥐의 간조직 지방제거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서목태(Rhynchosia nulubilis)를 식초에 15일간 절인 후, 5종류의 한약재(감초, 산조인, 백출, 황기, 산수유)를 첨가하여 한방초콩환을 제조하고, 고지방식이로 흰쥐의 비만을 유도하면서 고지방식이에 한방초콩환을 1%와 5% 첨가하여 9주 동안 투여한 후 간장의 무게, 혈청 효소활성도 및 간세포의 미세구조를 투과형전자현미경(TEM)으로 관찰하였다. HF군은 정상군의 간 무게에 비하여 약 35% 증가된 반면에 T5군의 경우는 HF군에 비하여 약 13% 감소하였다. 혈청 중 GOT 활성도는 정상군과 HF군이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T1군과 T5군에서는 HF군에 비하여 각각, 6.1%, 17.8% 감소하였으며 혈청 중 GPT 활성도 역시 정상군과 HF군이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T1군과 T5군에서는 HF군에 비하여 각각 25.4, 32.4% 감소하였다. 간세포조직의 지방축적 정도 및 형태적 특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정상군의 모양은 원형 내지 다각형을 나타내고 핵은 크고 둥글며 세포의 중앙에 위치해 핵질이 고르게 발달해 있을 뿐만 아니라 세포질에는 미토콘드리아를 비롯한 각종 세포 소기관이 고루 분포되어 있었으며 세포 전반에 걸쳐 지방구는 보이지 않았다. HF군은 세포전반에 걸쳐 지방구에 뒤덮여 세포의 형태 관찰이 불가능할 정도였으며 지방의 과잉 축적으로 인한 전자밀도가 낮아 백색을 나타내어 세포소기관의 막과 형태가 불분명한 지방간의 심각한 양상을 볼 수 있었다. T1군은 HF군에 비하여 지방구가 많이 소멸되었으며, T5군은 T1군에 비하여 지방세포의 크기와 수가 현저히 줄어든 것이 관찰 되었고, 더욱더 선명한 핵과 핵막 및 세포질의 전자밀도가 높아 지방질의 감소를 볼 수 있었다.

Db/db 마우스 모델에 있어서 한약재조성물의 혈당 및 혈장 콜레스테롤 개선효과 (Amelioration of Plasma Glucose and Cholesterol levels in Db/db Mice by a Mixture of Chinese Herbs)

  • 이재헌;조창우;한상복;황지연;강민정;주희정;김미은;서영주;김정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25-230
    • /
    • 2008
  • 흰양삼, 황기, 감초, 구기자, 뽕나무잎, 갈근, 하고초, 오갈피,오미자, 황금, 산약, 황정, 작약, 생지를 1 : 0.7 : 0.4 : 0.7 : 0.4 :0.7 : 1.1 : 0.9 : 0.4 : 0.4 : 0.7 : 0.7 : 0.9 : 0.9의 비율로 함유한 한약재 조성물의 혈당 및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제2형 당뇨동물 모델인 db/db 마우스에 있어서 조사하였다. In vitro에서 한약 재조성물 메탄올 추출물의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경구 혈당강하제로 사용중인 아카보스 (20.7%)에 비해 높은 저해활성 (25.2%)을 나타내었다. 4주령의 수컷 db/db 마우스 (C57BL/KsJ, n = 14)를 1주간의 적응기간이 지난 후 2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에게는 AIN-93G diet를 기본으로 한 basal diet를, 실험군에게는 동결건조된 한약재조성물 가루를 식이의 10% 수준으로 함유한 식이를 6주간 제공하였다. 한약 재조성물의 섭취는 실험동물의 체중 및 식이 섭취량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공복 혈당 (442.5 ${\pm}$ 36.0mg/dL)을 대조군 (489.8 ${\pm}$ 34.6mg/dL)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p < 0.05). 또한 한약재조성물 섭취군의 혈장 콜레스테롤 (159.2 ${\pm}$ 18.4mg/dL) 농도는 대조군 (185.4 ${\pm}$ 13.7mg/dL)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p < 0.05), 혈장 중성지방 농도는 한약재 조성물 섭취군 (99.4 ${\pm}$ 15.0mg/dL)이 대조군 (108.8 ${\pm}$11.0mg/dL)에 비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한약 재조성물의 섭취는 당뇨동물모델에 있어서 혈당 및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켜, 당뇨병 개선 및 당뇨합병증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