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tragalus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22초

산수유, 황기, 감초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orni fructus, Astragalus membranaceus and Glycyrrhiza uralensis)

  • 박찬성;김동한;김미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3-101
    • /
    • 2008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y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medicinal herbs. Methods : Three kinds of medicinal herbs(Corni fructus, Astragalus membranaceus and Glycyrrhiza uralensis)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nd 70% ethanol, and the extracts were tested for their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Results :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s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medicinal herbs were 342.14 mg and 435.62 mg per 100 g of Cornus officinalis, respectively. The highest electron donating abilities (EDA)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Glycyrrhiza uralensis were 88% and 91% at 1,000 ppm, respectively.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had the highest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NSA) at 1,000 ppm. The highest anticancer activity of the extracts were from Glycyrrhiza uralensis against both of MDA and A549 cell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dicinal herbs can be used as natural antioxidant to prevent oxidative damage in normal cells probably because of their antioxidant characteristics.

  • PDF

건조유무에 따른 황기 추출물의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w and Dried Astragalus membranaceus Extracts)

  • 민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5-71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vailability of raw Astragalus membranaceus as a food ingredient. Methods: Raw and dried A. membranaceus water extracts were used to examin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Also,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each water extracts were evaluated. Result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raw A. membranaceus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dried A. membranaceus extract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aw and dried A. membranaceus extracts were examined against several food borne illness-causing microorganisms using the paper disc diffusion method. Inhibition zones were observed in 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Bacillus subtilis, Pseudomonas aeruglnosa,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cereus treated with raw extracts. Inhibition zones were observed in B. subtilis, P. aeruglnosa and S. enterica subsp. enterica treated with dried extracts. Raw A. membranaceus extracts had higher scores than dried extracts in sensory evaluation. Conclusion: Raw A. membranaceus was better in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an dried one.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자운영 흰비단병의 발생 (Occurrence of Stem Rot of Astragalus sinicus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권진혁;이흥수;김태성;송원두;조현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98-200
    • /
    • 2009
  • From 2008 to 2009, the stem rot of Astragalus sinicus L.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occurred sporadically in Gyeongnam area, Korea. The typical symptom is water-soaking, rotting and wilting on the stem. The infected plants were eventually died. White mycelial mats were spread over lesions, and then sclerotia were formed on stems and near soil line. The sclerotia were globoid in shape, white to brown in color, 1-3 mm in size and the hyphal width was 3-9 μm.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and sclerotial formation on PDA was 30oC. The typical clamp connections were observed in the hyphae of the fungus grown on PDA. On the basis of my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to host plants, this fungus was identified as Sclerotium rolfsii Saccardo.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stem rot of A. sinicus caused by S. rolfsii in Korea.

Fingerprinting Differentiation of Astragalus membranaceus Roots According to Ages Using 1H-NMR Spectroscopy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 Shin, Yoo-Soo;Bang, Kyong-Hwan;In, Dong-Su;Sung, Jung-Sook;Kim, Seon-Young;Ku, Bon-Cho;Kim, Suk-Weon;Lee, Dong-Ho;Choi, Hyung-Ky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7권2호
    • /
    • pp.133-137
    • /
    • 2009
  • The root of Astragalus membranaceus is a traditional folk medicine that has been used for many therapeutic purposes in Asia. It reportedly acts as an immunostimulant, tonic, hepatoprotective, diuretic, antidiabetic, analgesic, expectorant, sedative, and anticancer drug. In this study, metabolomic profiling was applied to the roots of A. membranaceus of different ages using NMR coupled with two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such as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 and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CDA). This allowed various metabolites to be assigned in NMR spectra, includin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aspartic acid, succinic acid, glutamic acid, glutamine, N-acetyl aspartic acid, acetic acid, arginine, alanine, threonine, lactic acid, and valine. The score plot from PCA and also CDA allowed a clear separation between samples according to age.

네트워크 약리학을 통한 황기의 항비만 효능 및 작용기전 예측 연구 (Prediction of functional molecular machanism of Astragalus membranaceus on obesity via network pharmacology analysis)

  • 김미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5-53
    • /
    • 2023
  • Objectives : Network pharmacology-based research is one of useful tool to predict the possible efficacy and molecular mechanisms of natural materials with multi compounds-multi targeting effe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unctional underlying mechanism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AM) on its anti-obesity effects using a network pharmacology analysis. Methods : The constituents of AM were collected from public databases and its target genes were gathered from PubChem database. The target genes of AM were compared with the gene set of obesity to find the correlation. Then, the network was constructed by Cytoscape 3.9.1. and functional enrichm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most relevant pathway of AM. Results : The result showed that AM network contained the 707 nodes and 6867 edges, and 525 intersecting genes were exhibited between AM and obesity gene set, indicating that high correlation with the effects of AM on obesity. Based on GO biological process and KEGG Pathway, 'Response to lipid', 'Cellular response to lipid', 'Lipid metabolic process', 'Regulation of chemokine production', 'Regulation of lipase activity', 'Chemokine signaling pathway', 'Regulation of lipolysis in adipocytes' and 'PPAR signaling pathway' were predicted as functional pathways of AM on obesity. Conclusions : AM showed high relevance with the lipid metabolism related with the chemokine production and lipolysis pathways. This study could be a basis that AM has promising effects on obesity via network pharmacology analysis.

황기 줄기 바이오차를 활용한 카드뮴과 망간 이온의 제거 (Removal of Cadmium and Manganese Ions Utilizing Astragalus uliginosus L.-Stem Biochar)

  • 최석순;하정협;김승수
    • 공업화학
    • /
    • 제31권1호
    • /
    • pp.7-12
    • /
    • 2020
  • 충북의 북부지역에서 한약재 부산물로서 황기 줄기가 대량 생산되고 있으나, 이러한 부산물들은 특별한 수요처가 없이 밭에 폐기물로 버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폐기물을 재활용하고자, 황기 줄기를 사용하여 바이오차를 제조하였다. 이 바이오차를 사용하여 물속에 용해된 카드뮴과 망간 이온의 제거특성을 고찰하였다. 50과 100 mg/L 카드뮴 이온을 처리하기 위하여 흡착 평형 실험이 이루어졌을 때, 카드뮴의 제거효율은 각각 100과 95%를 나타내었다. 또한, 50과 100 mg/L 망간 이온을 제거하기 위하여 5 h의 반응이 이루어졌을 때, 각각 36.1과 37.9 mg/g 최대 흡착량을 얻을 수 있었다. 위의 실험 결과, 카드뮴과 망간 이온의 제거공정에서 황기 줄기 바이오차는 활성탄보다 4배 이상의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황기 줄기 바이오차와 활성탄 표면의 화학 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를 분석한 결과, 황기 줄기 바이오차는 활성탄과 비교하여 산소 함량과 O/C의 비율이 각각 2.1과 2.4배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망간 이온의 제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온도 변화에 의한 운전이 이루어졌으며, 45 ℃로 4 h에서 흡착 평형에 도달하였으며 50과 100 mg/L 망간 이온은 각각 92, 53%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물속에 용해된 카드뮴과 망간 이온을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으로 처리하는 새로운 제거 기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황기추출물의 보습 및 항산화 효과 (Moisturizing and Anti-oxidation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

  • 정택규;김미진;임경란;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3-200
    • /
    • 2006
  • 화장품 원료로서 황기추출물을 산지 및 추출방법에 따라서 추출한 후, 보습효과 및 항산화효과를 시험하였다. 황기는 산지별로서 제천산, 정선산, 영주산, 태백산 및 중국산 1년 근을 사용하였다. 황기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한 지표성분으로서 선정한 formononetin을 HPLC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항산화능 평가로서 자유라디칼 및 활성산소 소거효과의 경우에 75% 에탄을 수용액을 이용한 황기추출물은 정제수를 이용한 황기추출물과 비교하여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75% 에탄을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는 50% 소거효율에 대한 농도($IC_{50}$)가 2.162 mg/mL이었으며, 활성산소 소거효과의 경우는 $IC_{50}$ 값이 2.981 mg/mL로 나타났다.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에 포함되어 있는 이소플라보노이드는 항산화제로 알려진 제니스테인과 유사한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를 나타냈다. 황기추출물의 보습효과는 제천산 황기추출물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초음파추출을 이용한 황기추출물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였다.

감초, 황기 추출물로 블랜칭 처리한 신선편이 연근의 갈변 억제 (Browning inhibition of fresh-cut lotus roots by blanching in Glycyrrhiza glabra L. and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extracts)

  • 김한빛;정헌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1-156
    • /
    • 2014
  • 신선편이 연근의 갈변을 저해하기 위해 감초, 황기 추출물로 블랜칭 처리하여 색도, 경도, DPPH radical 소거능, pH 및 가용성 고형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갈변의 지표인 색도 $50^{\circ}C$ 값의 결과, 감초 또는 황기 추출물을 처리한 구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경도의 경우 모든 구에서 유의적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모든 구에서 저장 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감초 추출물 처리구의 활성이 가장 높게 유지되었다. pH는 저장 기간에 따라 모든 구에서 감소하였으나 대조구가 가장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의 경우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처리구의 함량은 증가하고 대조구는 그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처리구 사이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감초와 황기 열수 추출물의 블랜칭 처리가 신선편이 연근의 품질 열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갈변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기 발아 및 생장에 미치는 감마선 조사 효과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Astragalus membranaceus)

  • 김동휘;박희운;박춘근;성정숙;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8-241
    • /
    • 2008
  • 황기는 한국의 중요 약용작물로 한약재 및 식품의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재배시 가장 중요한 조건은 병해 및 각종 재해 등에 대한 안정성의 확보이다. 본 연구에서는 황기의 돌연변이 육종체계 확립 및 유용변이체를 육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Y-선 처리에 의한 발아, 출현 및 생존율 등에 대한 감수성을 구명하여 각종 병해 및 재해에 안정성을 지닌 돌연변이체를 육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시험재료로는 포천 재래종을 이용하였고 파종 후 4일째부터의 발아율은 무처리에 비하여 고선량 (300 Gy 이상)에서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마선량별 생존율은 무처리 대비 100 Gy 32%, 200Gy 43%, 300 Gy 63%, 400 Gy 이상에서는 72${\sim}$89%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감마선에 민감한 형질은 초장과 분지수였고, 둔감한 형질은 엽폭, 엽장, 엽수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초장, 분지수 및 생존율을 대상으로 한 황기의 생육 및 생존 반감 ($LD_{50}$)에 해당하는 선량은 $200{\sim}300$ Gy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감마선 처리구의 발아, 생존율 및 생육차이를 감안해 보았을 때 황기 돌연변이 유기를 위한 적정 감마선량은 $200{\sim}300$ Gy로 판단되었다.

천연 추출물 처리가 박피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 Extracts on the Quality of Peeled Chestnut)

  • 오성일;김철우;박윤미;이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1호
    • /
    • pp.26-32
    • /
    • 2017
  • 박피한 '대보' 밤을 천연 추출물(녹차, 당귀, 황기, 감초 : 각각 1% 추출물)에 침지 처리한 후 $5{\mu}m$ 두께의 PE+ Nylon재질의 7-layer 필름으로 진공포장하여 $4^{\circ}C$에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동안 박피밤의 갈변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갈변도는 무처리구보다 천연 추출물 처리구에서 다소 적게 갈변되었고, 특히 황기와 감초 추출물 처리가 갈변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35일 후 박피밤의 색차(${\Delta}E$)는 무처리구에서 5.6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인 반면, 황기 추출물 처리구에서는 3.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저장기간 동안 천연 추출물 처리는 박피밤의 중량 및 수분감소율과 경도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저장 35일 후 부패율은 무처리구에서 9.0%, 녹차 추출물 처리구에서 9.0%, 당귀 추출물 처리구에서 9.0%, 황기 추출물 처리구에서 21.0%, 감초 추출물 처리구에서 7.0%로 나타났다. 종합적 관능평가에서는 황기 추출물 처리가 향 때문에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감초 추출물 처리구가 저장기간 중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박피밤의 천연 추출물 처리는 갈변을 억제시킴으로써 박피밤의 관능적 품질유지에 효과적이였고, 특히 감초 추출물 처리 후 진공포장하는 것이 박피밤의 품질유지와 갈변억제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