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ter scaber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43초

Cerebrosides and Terpene Glycosides from the Root of Aster scaber

  • Kwon, Hak-Cheol;Cho, Ock-Ryun;Lee, Kang-Choon;Lee, Kang-R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132-137
    • /
    • 2003
  • Three cerebrosides 2, 3, and 5 and two terpene glycosides 1 and 4 have been isol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the root of Aster scaber.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as 3-Ο-$\beta$-D-glucuronopyranosyl-oleanolic acid methyl ester (1), (2S, 3S, 4R, 2 R, 8Z, 15 Z)-N-2 -hydroxy-15 -tetracosenoyl-1-Ο-$\beta$-D-glucopyranosyl-4-hydroxy-8-sphingenine (2), (2S, 3S, 4R, 8Z)-N-octadecanoyl-1-Ο-$\beta$-D-glucopyranosyl-4-hydroxy-8-sphingenine (3), 1$\alpha$-hydroxy-6$\beta$-Ο-$\beta$-D-glucosyl-eudesm-3-ene (4), and (2S, 3S, 4R, 2 R, 8Z)-N-2 -hydroxy-hexadecanoyl-1-Ο-$\beta$-D-glucopyranosyl-4-hydroxy-8-sphingenine (5)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methods.

(-) 3,5-Dicaffeoyl-muco-quinic acid isolated from Aster scaber contributes to the differentiation of PC12 cells: through tyrosine kinase cascade signaling

  • Hur, Jin-Young;Lee, Pyeong-Jae;Kim, Ho-Cheol;Kang, In-Sug;Lee, Kang-Lo;Kim, Sun-Yeou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79.1-79.1
    • /
    • 2003
  • Aster scaber T. (Asteraceae)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medicine to treat bruises, snakebites, headaches and dizziness. (-) 3,5-Dicaffeoyl-muco-quinic acid (DQ) isolated from Aster scaber induced neurite outgrowth in PC12 cell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activation of the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1/2 (Erk 1/2) and phosphoinositide 3 (P13) kinase plays a crucial role in the NGF-induced differentiation of PC12 cells. This study showed that the effect of DQ on neurite outgrowth is mediated via the Erk 1/2 and PI3 kinase-dependent pathways like NGF. (omitted)

  • PDF

데치기 시간에 따른 참취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 (Effect of blanching tim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Aster scaber)

  • 범서우;강귀훈;은종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1-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데치기 시간에 따른 참취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 하였다. 색도 $L^*$값에서는 3분 데치기 한 실험구를 제외한 다른 실험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a^*$값에서는 3분, 5분, 데치기한 실험구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며, $b^*$값에서는 5분 데치기 처리한 실험구가 3분 데치기한 실험구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나 다른 실험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직감에서 경도는 참취를 데치기 처리 2, 3분 한 실험구에서 다른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데치기 1분부터 4분까지는 유의적으로 큰 차이가 없다가 5분 후에는 낮은 함량을 보였다. 관능평가에서는 참취의 색, 향, 외관에서는 2분 데치기 처리한 실험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나,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3분 데치기 처리한 실험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참취의 종자발아에 관한 연구 (The Germination of Aster scaber THUNB)

  • 박석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3-76
    • /
    • 199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raracteristics of seed and effect of Gibberellin and light in ffter rooter.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000 seeds wt. was 1.9g, 1 liter wt. was 41.2g, seed length was 3.6mm, seed width was 1.1mm and seed thickness was 0.8mm.The germination rate was higher with light condition than dark and Gibberellin treatment waseffective.

  • PDF

참취 즙액 첨가가 메밀국수의 조리 특성에 미치는 영향 (Cooking Properties of Buckwheat Noodles Added Aster scaber $T{HUNB}$ Juice)

  • 이상영;이은영;심태흠;오덕환;강일준;정차권;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01-507
    • /
    • 1998
  •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cooking properties of noodles when dfferent concentrations of Aster scaber THUNB(AST) juice were added to the buckwhenat and wheat flours. Also, physicochemical effects of the noodles and compositions of the noodles and compositions of the noodle soup after cooking were determined. Buckwheat flour and AST contained greater amounts of minerals and essential amino acids than wheat flour. The contents of chlorophyll and carotenoids in the buckwheat noodle added AST juice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s of AST juice increased. Hydration capacity of buckwheat flour was higher than that of wheat flour when AST juice was added to flours. The added amounts of AST juice did not affect the volume and the weight of the noodles, but those were increased as cooking time proceeded. The release of proteins and minerals from the buckwheat noodle added AST juice increased as cooking time progressed and also at the added concentrations of AST juice increased. Texture indices showed lower values as the amount of added juice increased. In sensory evaluation, the scores of color,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buckwheat noodle added AST juic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 PDF

참취로부터 추출한 Polyphenol Oxidase의 부분정제 및 성질 (Partial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Polyphenol Oxidase from Aster scaber)

  • 함승시;홍은희;이상영;박귀근;오무라히라히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41-245
    • /
    • 1991
  • 참취로부터 추출한 poluphenol oxidase의 부분정제를 $(NH_4)_2SO_4$ 처리 및 Sephadex G-150 column chromatogaphy에 의해 분리하였다. Polypenol oxidase의 최적pH와 최적온도는 각각 7.0과 $30^{\circ}C$였으며, 효소활성은 $60^{\circ}C$에서 30분간 처리시와 $70^{\circ}C$에서 5분간 처리시 완전실활하였다. 기질특이성에서는 chlorogenic acid의 기질이 높은 특이성을 나타난 반면 DL-dopa는 활성을 억제하였다. Polyphenol oxidase의 Km값은 17.6mM이었다.

  • PDF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Contents of Korean Wild Leaf Vegetables

  • Ahn, Hee-Jung;Cho, Mun-Jung;Cho, Youn-Ok
    • Nutritional Sciences
    • /
    • 제3권2호
    • /
    • pp.98-10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potential of Korean wild leaf vegetables. Antixoidative activity of chamchwi (Aster scaber), nurucchwi (Pleurospermum kamtschaticum) sumssukbujengee (Aster glheni), moshidae (Adenophora remotiflora), spinach (Spinacia oleracea)k was evaluated as a reference for commonly used synthetic antioxidant, BHA. We compared the content of $\beta$-carotene, vitamin C and vitamin E as antioxidant vitamins, and total phenolic compound including flavonoid as non-vitamin compounds in Korean wild leaf vegetables and spinach.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of Pleurospermum kamtschaticum, Aster scaber and Adenophora remotiflor was only 18-20% of control. TBA value of Aster glheni was 40% of control. On the basis of moles, the high level of vitamin C is the major contributor to the total antioxidant vitamin contents of Pleurospermum kamschaticum and Adenophora remotiflor. The amounts of flavonoid as well as total phenolic compound in Pleurospermum kamtschaticum and Adenophora remotiflor were also much higher than those of spinach. The amounts of flavonoid as well as total phenolic compound in Aster glheni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spinach while total amount of antioxidant vitamin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pinach. These results suggest that Pleurospermum kamtschaticum and Adenophora remotiflor could have antioxidative potency in food. Because of the higher content of antioxidant vitamins in Pleurospermum kamtschaticum and Adenophora remotiflor, these Korean wild leaf vegetables may have preventive effects on degenerative diseases, which have been associated with free radical mediated events.

  • PDF

참취뿌리 에탄올추출물의 유전독성 억제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ster scaber Root on Genotoxicity)

  • 함승시;황보현주;최승필;이의용;조미애;이득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66-471
    • /
    • 2001
  • 염색체 이상유발물질인 benzo($\alpha$)yrene(B($\alpha$)P) 을 마우스에 50, 100, 그리고 150 mg/kg으로 투여한 경우의 소핵생성은 각각 6.6$\pm$0.6, 9.2$\pm$0.6 그리고 10.4$\pm$0.9로서 농도증가에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1.4$\pm$0.4의 소핵생성을 나타내었다. B($\alpha$ )P을 150 mg/kg과 참취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50. 100, 150 그리고 200 mg/kg으로 동시에 투여한 경우 각각 24.50, 22.55, 59.80 그리고 79.41%의 소핵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참취뿌리 용매분획물 실험에서는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분획물이 시료농도인 10 mg/kg의 투여군에서 양성대조군에 비해 각각 3.9, 35.3, 40.2, 11.8 및 49.0%의 소핵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시료농도 80 mg/kg의 투여군에서는 양성대조군에 비해 각각 78.4. 65.7. 75.5, 68.6 그리고 77.5%의 소핵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참취뿌리 에탄올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은 80 mg/kg의 투여농도에서 비교적 높게 소핵생성 억제율이 나타났다.

  • PDF

추출방법에 따른 참취(Aster scaber Thunb.)의 페놀화합물 함량과 생리활성 및 소화효소 저해 효과 (Polyphenolic Compounds,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Digestive Enzyme Inhibitory Effect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 김재원;윤광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701-1708
    • /
    • 2014
  • 참취의 활용 및 생리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적정 추출방법을 알아보고자 상온교반, 환류냉각, 가압가열, 저온고압 및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두벌 째 수확 참취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추출 수율은 환류냉각추출, 초음파추출, 가압가열추출, 상온추출, 저온고압추출 순으로 높았다.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저온고압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상압가열, 고온고압, 초음파추출에서는 대등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페놀화합물 정량의 경우 chlorogenic acid 함량은 가압가열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cynarin 함량의 경우 환류냉각, 저온고압 및 초음파 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astragalin 함량의 경우 저온고압추출에서 높은 함량이 검출되었다. Xanthine oxidase(XO),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의 경우 저온고압추출 및 초음파 추출물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소화효소 저해활성(${\alpha}$-amylase, trypsin, lipase)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저온고압 및 초음파 추출물에서 소재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증진을 위한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블랜칭 및 용질 처리에 따른 참취(Aster scaber Thunb.)의 phytochemical 성분 및 품질특성 (Phytochemical compound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ster scaber Thunb. in response to blanching conditions and treatment with solutes)

  • 김재원;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94-701
    • /
    • 2014
  • 블랜칭 처리조건 확립을 위하여 시간(1, 3, 5 min) 및 용질의 종류[0.1% soluble Ca(Sol-Ca), 0.1% soium bicarbonate($NaHCO_3$), 0.1% magnesium sulfate($MgSO_4$)]를 달리한 참취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블랜칭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녹색도와 chroma 값은 감소되고 색차는 증가하였으며, polyphenol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블랜칭 처리시간이 3분 이상 경과될 시 급격히 저하되었다. Carotenoid 함량의 경우 적정 블랜칭 처리 시 함량은 증가하는 반면 ascorbic acid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열적 손실이 동반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경도 및 절단력은 처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pectinesterase와 polygalacturonase 저해활성은 3분 이후부터는 불활성화 수치가 증가하여 효소활성을 저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균수 및 대장균군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의 경우 5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블랜칭 처리한 처리구에서는 2~4 log CFU/g 수준으로 미생물이 감소하였으며, 대장균군수는 검출되지 않았다. Chlorophyll 함량은 증가하는 반면 chlorophyll a 및 b의 비율(Ca/Cb)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관능적 기호특성에서는 외관 및 색상의 경우 블랜칭 처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블랜칭 처리에 의하여 기호특성이 증가하였다가 점차 감소하였으며, 전반적으로 3분간 블랜칭 처리 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