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ter hispidu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긴쑥부쟁이(국화과): 우리나라 미기록식물 (Aster hispidus Thunb. var. leptocladus (Makino) Mot. Ito et Soejima (Compositae): unrecorded plant to Korea)

  • 이강협;선은미;김별아;임형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88-190
    • /
    • 2014
  • 대구광역시 팔공산에서 국화과 참취속의 1종인 Aster hispidus var. lleptocladus를 발견하여 긴쑥부쟁이로 명명하였다. 일본의 사문암지대에 유존적으로 분포하는 일본 고유종으로 알려져 온 긴쑥부쟁이는 모종인 갯쑥부쟁이와는 하부 경생엽이 좁고 선형이며 예두로써 털이 없으며, 두화와 총포의 지름이 좁고, 통상화의 관모 길이가 1-2 mm인 점이 다르다.

LC-MS/MS-Based Comparative Investigation on Chemical Constituents of Six Aster Species Occurring in Korea

  • Kang, Kyo Bin;Lee, Dong Young;Sung, Sang 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7권4호
    • /
    • pp.257-263
    • /
    • 2021
  • Aster species (Asteraceae) are widely distributed edible and medicinal plants, known to contain various specialized metabolites including polyphenols and saponins. However, systemic analysis on the chemical profiles of these plants have rarely been made. Here we analyzed the phytochemical constituents in leaves of 6 Aster species occurring in Korea, A. ageratoides, A. altaicus var. uchiyamae, A. glehnii, A. hispidus, A. incisus, and A. yomena, by applying a LC-MS/MS-based untargeted metabolomics approach. The analysis revealed that A. ageratoides, A. hispidus, and A. yomena are relatively rich in saponins most of which are expected to be previously unknown.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the Aerial Parts from Aster hispidus

  • Lee, Sung-Ok;Choi, Sang-Zin;Choi, Sang-Un;Ryu, Shi-Yong;Lee, Kang-R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0권6호
    • /
    • pp.335-340
    • /
    • 2004
  • The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the MeOH extract of the aerial parts from Aster hispidus (Compositae) led to the isolation of eight compounds. Their structures were established by spectroscopic methods to be ${\beta}-amyrin$ (1), oleanolic acid (2), (2R)-1, 2-O-(9Z, 12Z, $15Z-dioctadecatrienoyl)-3-O-{\beta}-D-galactopyranosyl\;glycerol$ (3), trans-phytol (4), 9, 12, 15-octadecatrienoic acid (5), kaempferol (6), 3,5-dicaffeoyl quinic acid (7), 3,4-dicaffeoyl quinic acid (8) and kaempferol-3-O-rutinoside (9). Compounds 1, $3{\sim}6$ and 9 showed non-specific moderate cytotoxicity against five human tumor cell lines $(5.44{\sim}23.51\;{\mu}g/ml)$. The other compounds were of marginal activity against tested five human cancer cell lines $(9.05{\sim}>30.0\;{\mu}g/ml)$.

Disaccordance of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Randomly Amplyfied Polymorphic DNA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Aster

  • Hong Su-Young;Cho Kwang-Soo;Suh Jong-Taek;Yoo Ki-Oug
    • Plant Resources
    • /
    • 제8권1호
    • /
    • pp.36-43
    • /
    • 2005
  • This study were focused on the genetic relationship using RAPDs a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eleven taxa Aster collected in Korea. Twenty random primers were selected, a total 216 DNA bands were generated and 213 bands were shown polymorphism among species. The collected eleven taxa were clustered into five groups at 0.609 similarity index. The first group was A. glehni, A. ageratoides, A. maackii and A. scaber was clustered at 0.713 of genetic distance. The second group was A. tataricus and A. koraiensis and the third group was A. spathulifolius, the forth group was A. yomena, A. hayatae and A. hispidus and the fifth was A. tripolium.

  • PDF

ITS 염기서열을 이용한 한국산 참취속 식물의 유연관계분석 (Phylogenetic Analysis of Korean Native Aster Plants Based o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s)

  • 홍수영;조광수;유기억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178-184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산 참취속 식물의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Kalimeris$, $Gymnaster$, $Heteropappus$ 속 식물들간의 유연관계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섬쑥부쟁이($A.$ $glehnii$) 등을 포함한 11종의 참취속 식물의 ITS 염기서열을 결정하였으며 유전자 은행에 등록된 $Kalimeris$ 속 식물의 ITS 염기서열을 포함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ITS1의 길이는 249-253bp로, ITS2의 길이는 181-217bp로 나타났으며 G + C 함량은 47-54%의 변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다룬 16종의 18개체간 염기 치환율은 한 site당 ITS1의 경우는 9%, ITS2는 10%로 나타나 ITS1과 2 부위간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의의 참취속($Aster$ sensu strict) 식물과 $Kalimeris$ 속 식물의 치환율을 비교한 결과 ITS1과 ITS2 지역 모두 $Kalimeris$ 속 식물이 낮게 나타났다. 계통분석결과, 갯개미취는 군외군으로부터 가장 먼저 분지하였으며, 일본산 $A.$ $bellidiastrum$이 나머지 분류군들을 위한 자매군으로 유집되었다. 참취는 다른 참취속 식물들과 분리되어 독립적인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갯쑥부쟁이($A.$ $hispidus$)를 제외한 $Kalimeris$ 속 식물은 91%의 높은 지지율을 가지고 광의의 참취속내로 유집되었으며 $Gymnaster$$Heteropappus$ 속 식물 역시 광의의 참취속으로 유집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Kalimeris$, $Gymnaster$$Heteropappus$로 세분되었던 참취속을 ITS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통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민통선.비무장지대(DMZ)일대의 식생에 관한 연구 - 동해 북부선 지역을 중심으로 - (Study of Vegetation of Civilian Control Line.DMZ Area - Focusing on the Donghae Bukbu Line -)

  • 김창환;김귀곤;최영은;김상식;신중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63-74
    • /
    • 2010
  • In this study, wetlands and forest vegetation surrounding rail, road of DMZ area and Civilian Control Line were studied as follows: Plant communities hierarchical system of forest veget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hytosociological methods of Braun-Blanquet (1964) a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mongolic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Quercus acutissima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etland vegetation major communities; Scirpus wichurae community, Scirpus fluviatilis community,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community, Typha orientalis community, Typha angustata community, Juncus alatus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Hragmites communis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Alnus japonica community, Alnus japonica community,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Salix koreensis community, Prunus padus community, Alnus japonica community, Zizania latifolia community and Amorpha fruticosa community were surveyed.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in a DMZ area and the Civilian Control Line was mainly characterized by; Carex pumila, Elymus mollis, Carex kobomugi, Rosa rugosa, Calystegia soldanella, Lathyrus japonica and Aster hispidus, species that are of typically sand dune vegetation.

제주도 갯금불초(Wedelia prostrata Hemsl.) 자생지의 환경특성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edelia prostrata Hemsl. Habitats in Jeju-do)

  • 김경아;한준수;천경식;유기억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0
    • /
    • 2013
  • 본 연구는 산림청의 희귀식물 중 취약종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제주도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갯금불초의 자생지 환경을 조사하여 보전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갯금불초의 자생지는 경사 $1-40^{\circ}$의 해안사구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전사구를 중심으로 띠모양의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식생분석결과 7개 지역의 19개 방형구 내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38분류군이었다. 중요치는 갯금불초가 44.7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순비기나무(13.32%), 좀보리사초(6.75%), 갯메꽃(4.24%), 갯쑥부쟁이(2.54%), 사철쑥(2.43%) 등이 높은 값을 보여 이 분류군들이 갯금불초와 친화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종다양도는 평균 0.79로 산출되었으며,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25와 0.67이었다. 토양분석결과 포장용수량은 4.51%, 유기물함량은 3.37%, pH는 8.17, 유효인산함량은 $1.33{\mu}g/g$, 그리고 전기전도도는 $802.01{\mu}s/cm$로 측정되었다.

제주도(濟州道) 농경지(農耕地) 및 그 주변(周邊)에 발생(發生)하는 잡초종(雜草種) (Weed Flora of Cultivated Land and Its Surrounding Area in Cheju Island)

  • 김길웅;김진협;백경환;이인중;김상호;최용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01-213
    • /
    • 1989
  • 제주도(濟州道)의 농경지(農耕地)와 농경지(農耕地) 주변(周邊)에 발생(發生)하는 하계잡초(夏季雜草)를 조사(調査)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조사(調査)된 총(總) 잡초종(雜草種) 수(數)는 54과(科) 233여종(餘種)이었으며 국화과(菊花科)가 41종(種)으로 가장 많고 벼과(科) 28종(種), 꿀풀과(科)14종(種), 콩과(科) 13종(種), 마디풀과科) 12종순(種順)으로 많이 발생(發生)하였다. 2. 전작지(田作地)에서는 39과(科) 126종(種)이 조사(調査)되었으며, 여우구슬, 제주진득찰 등(等)의 군락(群落)과 바랭, 주깨풀 등(等)의 군락(群落)이 형성(形成)되어 있었고 쇠비름, 바랭이, 방동사니 순(順)으로 우점(優占)하고 있었다. 3. 전작지(田作地)에서는 20과(科)38종(種)이 조사(調査)되었으며 미나리, 쇠털골의 군락(群落)이 형성(形成)되어 있었고, 물달개비, 방동사니, 여뀌 순(順)으로 우점(優占)하고 있었다. 4. 과수원(果樹園)에서는 36과(科) 108종(種)이 조사(調査)되었으며 쇠별꽃, 제비꽃 등(等)의 군락(群落)과 쥐꼬리망초, 외풀 등(等)의 군락(群落)이 형성(形成)뇌어 있었고, 우점도(優占度)는 쇠비름, 바랭이, 석류풀 순(順)으로 높았다. 5. 농경지(農耕地) 주변(周邊)에서는 50과(科) 214종(種)의 잡초(雜草)가 조사(調査)되었으며 새콩, 왕고들빼기 등(等)의 군락(群落)과 사위질빵, 갯쭉부쟁이 등(等)의 군락(群落)이 형성(形成)되어 있었고, 바랭이, 쑥, 쇠비름 순(順)로 우점도(優占度)가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