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istive technology device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1초

QUEST 2.0의 한국어 번안 및 심리측정학적 특징 (Korean Translation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 2.0)

  • 이상헌;정봉근;박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284-3292
    • /
    • 2013
  • 본 연구는 보조공학기기(보조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측정도구인 QUEST 2.0(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 2.0)을 한국어로 번안 후 심리측정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한국어 번안과정은 6단계로 진행되었다. 내적일치도는 Cronbach's ${\alph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스피어만 순위 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QUEST는 보조기구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8개 항목과 보조기구 서비스 영역을 알아보기 위한 4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영역의 내적일치도는 '보조기구' 영역에서는 .88, '보조기구 서비스' 영역에서는 .93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에서 보조기구 및 보조기구 서비스의 상관계수는 각각 .64와 .66으로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측정 결과의 안정성, 일관성, 예측가능성을 반영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한국어로 번역된 K-QUEST 2.0은 보조공학서비스 수혜자의 만족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소아물리치료사와 소아작업치료사의 보조공학 교육훈련 실태 및 요구 분석 (Analysis on the Status and Needs of Training in Assistive Technology of Pediatric Physical Therapist and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

  • 김경아;정동훈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9-109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current state of training in assistive technology(AT) for pediatric physical therapists(PPTs) and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POTs), in addition, investigate therapists' preferred training methods and contents. The eventual purpose was to suggest the essential fundamental factors to adapt the assistive technology in clinics.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67 therapists(98 PPTs and 69 POTs) who work at general hospitals, welfare center,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special education school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d test were used. RESULTS: Significant numbers of PPTs(66 therapists, 67.3%) and POTs(50 therapists, 72.5%) answered that they had received training in AT. More than 48% answered no training experience or low adequacy in each classification scheme for questions. The most difficulty in the training was indicated by lack of education opportunity(90 therapists, 53.9%). The most required device training was seating and position device training(43 therapists, 21.9%) for PPTs and orthosis and prosthesis device training(29 therapists, 21.0%) for POTs. I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PPTs needed evaluation to AT device training(69 therapists, 35.2%) and POTs needed evaluation to disabilities for AT training(41 therapists, 29.7%). Both therapists answered that the most effective training is continuous education(52 therapists, 31.1%) and college education(48 therapists, 28.7%). CONCLUS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PPTs and POTs need more opportunities for training in AT. For effective clinical app lication of AT, there should be continuous education such as on-the-job training, mentoring program, technical manual, and college education.

장애인을 위한 데이지 도서 기반 독서보조기기 개발의 경제적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Feasibility of Developing Daisy Book Based Reading Assistive De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임순범;박주현;이종우;육주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9-285
    • /
    • 2017
  • 본 연구는 데이지 독서보조기기 개발 사업 추진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과 효과를 추정하여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필수 기능만을 탑재한 저가의 데이지플레이어기기의 경우 하드웨어/시제품 및 소프트웨어 개발비용은 총 \307,101,664원으로 추정 되며, 생산비는 대당 \112,000원이 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데이지뷰어소프트웨어 및 입출력 보조기기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개발비용은 총 \284,294,080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입출력보조기기는 대당 \6,600원에 구매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경제적 파급 효과를 파악하여 데이지 독서보조기기 개발 사업 추진이 장애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사업의 추진여부에 대한 검토의 근거 자료로 향후 사업 진행 시 환경 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처를 위해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기대한다.

재활복지기기의 전망: 보조기기와 로봇장치를 중심으로 (Prospects of Rehabilitation Welfare Devices: Based on Assistive and Robotic Devices)

  • 송원경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9
    • /
    • 2015
  • 국외의 재활보조기기 추세를 분석하였다. 접어지는 기능이 강화되고, 기존의 동력이 없는 장치에 전동구동 보조모듈이 추가되고, 전반적인 보조기기의 완성도가 향상되고 있다. 특히, 접어지는 기능을 포함한 휴대 및 보관하기 용이한 이동 보조기기가 증가하고 있다. 동력 보조 휠 및 상지보조 모듈이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성숙된 최신기술을 적용한 신개념의 휠체어가 시장이 나오고 있다. 최신 로봇기술을 응용한 하지 외골격 로봇이 경쟁체제에 돌입하였다. 기립형 휠체어, 경사로, 간단한 계단 이동보조장치가 보편화 되고 있다. 보조기기와 다양한 스마트기기가 결합되고 있다. 이외에도 멋진 디자인, 소재, 가공기술 등에 의한 완성도가 제고 되고 있다.

  • PDF

적외선 센서와 압력센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보행보조신발 (Walking Assistive Shoes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Infrared Sensor and Pressure Sensor)

  • 양창민;정지용;김정자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47-156
    • /
    • 2017
  • 시각장애인의 보행보조도구인 흰 지팡이는 보행에 필요한 정보인 장애물의 유무를 직접 접촉해야만 인식할 수 있으며 지면의 낮은 장애물을 탐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보행보조도구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개발된 도구들의 외형과 높은 가격으로 인해 많이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센서와 압력 센서, 진동 모터를 사용하여 두 가지 유형의 보행보조신발을 제작하였다. 두 가지 유형의 보행보조신발은 장착된 적외선 센서의 개수에 따라 단일 센서 (SS)와 이중 센서 유형(DS)으로 분류하였다. 유효성 평가를 위해 장애물이 배치된 공간에서 보행 보조 신발과 흰 지팡이를 가지고 보행할 때 나타나는 보행 소요 시간과 충돌 횟수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개발된 보행보조신발 사용 시 지팡이에 비해 소요시간이 증가하였으나 충돌 횟수는 감소하였다. 또한, 보행보조신발 사용 시 흰 지팡이에 비해 이동시간과 충돌횟수가 더욱 크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개발된 보행보조신발이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 환경을 제공하고 새로운 형태의 보행보조도구에 적응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미국과 한국의 AAC 서비스 전달체계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AC Service Delivery System between the U.S. and Korea)

  • 이근민;임성빈;나대영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99-10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효과적인 AAC 서비스 전달체계 수립방안 논의를 위해 미국과 한국의 AAC 서비스 전달체계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을 통해 본문에서 제안한 'AAC 서비스 전달체계 모델'은 현재 정부나 각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AAC 서비스 전달체계 관련 공적급여의 방식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AAC 지원체계의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현재의 방식에서 부족한 부분을 추가 보완하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제언 및 시사점으로는 현재 공적급여에서 제한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AAC 보조기기 품목을 대폭 확대하고 전국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기기센터, 특수교육 지원센터, 발달장애인 지원센터, 언어치료실 등을 활용한 인프라 구축을 통해 사각지대가 없는 보편적인 AAC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며. 관련 협회 및 학회 차원에서 AAC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 연수 및 보수교육과 같은 인력 관리에도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 나침반 개발 (Development of a Voice Compass Device to Guide the Person who are Blind)

  • 김창걸;최미나;송병섭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7-11
    • /
    • 2007
  • 시각장애인이 보행 및 이동시 올바른 방향 정립을 통해 목적지에 쉽게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음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방향을 알려줄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음성안내 나침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음성안내 나침반은 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지자계를 인식함으로써 방향을 인지할 수 있는 센서부와 소리를 녹음하는 보이스레코더 IC, 방향정보를 소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스피커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다. 개발된 음성안내 나침반은 32방향의 방향 분해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시간 간격으로 계속적으로 진행하는 방향을 알려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개발된 음성안내 나침반은 시각장애인의 이동뿐만 아니라 각종 스포츠와 레저에도 이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시각장애인을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입증하였다.

  • PDF

스웨덴 장애인 보조기구 제공 시스템에 대한 소고 (A Report of th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Operating System for the Disabled in Sweden)

  • 최영순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25-4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스웨덴의 장애인 보조기구 제공 시스템을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장애인 보장구건강보험 급여정책 대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하였다. 스웨덴에서는 장애인구의 약 10%가 보조기구를 사용하고 있는데, 보조기구 제공을 위해서 중앙정부, 지역정부(란스팅 21개)와 지방정부(콤뮨 290개)의 역할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보건사회부 산하의 보건복지국가위원회에서는 지식기반 지침을 개발하고, 장애인정책개발국에서는 장애인 보조기구 정책을 모니터링하며, 장애인 보조기구기술연구소에서는 보조기구 개발연구 및 평가와 보조기구 전시장을 운영한다. 또한, 지역정부(란스팅)와 지방정부(콤뮨)는 보조기구 대여 및 추후관리를 담당하는데, 지역정부(란스팅)별로 보조기구센터를 운영하며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심리치료사, 간호사가 처방을 담당한다. 특기할 점은 장애인 보조기구를 무료로 대여하고 추후 관리를 하고 있다는 것과 사용이 끝난 보조기구는 회수하여 재활용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처방자격자가 장애진단 담당의(우리나라 시스템)가 아니라 지역 및 지방정부에서 고용한 전문 인력이므로 대상자의 상태를 잘 파악하여 처방을 하고 추후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심폐기능 허약자를 위한 보행보조장치 제어기 개발 (Development of Walking Assistant Controller for Patients with Weakness in Cardiopulmonary System)

  • 강성재;김규석;박세훈;문무성;서수원;김진국;류제청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23-28
    • /
    • 2010
  • 심폐기능 허약자의 경우 다른 보행기능은 정상이지만 산소 공급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로서, 에너지 소모를 최소한으로 줄여주는 보행보조 시스템이 필요하다. 심폐기능 허약자의 보행을 원활히 보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관절에 부착된 DC모터를 이용하여, 보행시 고관절 굴곡 및 신전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고안하였다. 두 개의 모터를 좌우 고관절에 부착되어 정상 보행패턴을 기준으로 고관절의 굴곡과 신전의 설정각도를 정의하고 보행을 보조한다. 실험결과 보행보조에 의한 에너지 소모도 감소는 14.8%이었다.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과 사용자 및 관리자 인식 조사를 통한 국산 의료기기 개선 방안 (Suggest Improvement for Medical Device Made in Korea by the Investigation of Domestic Medical Device Percentage and Survey of Medical Device Users and Manager)

  • 이정현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99-306
    • /
    • 2017
  • 국산 의료기기 산업에 대한 다양한 투자와 신기술 도입에 따라 국내의료기기 산업은 비약적인 증가를 하고 있으나 국내 대형의료기관의 국산의료기기 사용률은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대형병원에서의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과 사용자 및 관리자의 인식조사를 수행하여 국산의료기기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곳의 국립대학교병원을 대상으로 전체 의료기기의 종류와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료기기 중 중점조사 대상 의료기기를 선정하였다. 중점조사대상 의료기를 대상으로 고장통계와 사용자 인식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점조사대상 의료기기의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