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isting devic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4초

Device for Assisting Grasping Function (2nd Report : Maneuverability Evaluation)

  • Moromugi, S.;Okamoto, A.;Kim, S.H.;Tanaka, H.;Ishimatsu, T.;Koujina, Y.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2665-2669
    • /
    • 2003
  • A wearable device to assist fingering function for disabled is developed in this study. This is the second paper to report the progress in development of this assisting device. The device is developed for a patient who suffers from cervical spinal cord injury. In the first paper, it was reported that the patient could successfully pick up several types of objects with his paralyzed fingers by using this device. As a next step, the maneuverability of the device under grasping operation is discussed in this paper. Maneuverability of the system is experimentally evaluated. The dexterity in controlling finger force is compared between the cases that non-disabled examinees operate their finger with inherent abilities and that a disabled examinee operates his finger by using the assisting device.

  • PDF

의사결정나무기법을 활용한 장기요양 복지용구 권고모형 개발 (A recommendation system for assisting devic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 한은정;박상희;이정석;김동건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6호
    • /
    • pp.693-706
    • /
    • 2018
  • 노인의 신체기능에 부합하는 복지용구를 제공하는 것은 노인이 가능한 한 오랫동안 자신의 집과 지역사회에서 자립하여 생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수급자의 신체 및 인지 기능 상태를 고려하여 개개인에게 적합한 복지용구 품목을 권고할 수 있는 과학적인 복지용구 표준급여모형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모형개발에는 데이터마이닝기법인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하였다. 수급자 8,084명의 장기요양인정조사자료와 파워어세서가 작성한 표준급여계획, 수급자 특성 자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구축하였고, 15개 복지용구 품목별로 표준급여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복지용구 급여계획의 객관성 및 과학성을 확보하고 수급자의 자립생활과 안전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evice for Assisting Grasping Function

  • Jeong, Gu-Young;Yu, Kee-H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년도 ICCAS
    • /
    • pp.77.5-77
    • /
    • 2002
  • A mechanical device was developed for assisting the grasping function of a person whose fingers suffered cervical injury and thus are unable to grasp. This device is composed of a mechanical glove put on the user's hand and a muscle sensor to measure the activity of his or her muscle. The mechanical glove consists of a finger frame, a base and an air cylinder mounted on the base. With the kinematics carefully designed, the finger frame can achieve the grasping motion under the actuation of the air cylinder. For controlling this motion, an innovative sensor was developed to detect the user's motion intention. The sensor measures the change of the muscle stiffness...

  • PDF

Merchant View 촬영 시 환자 편의와 업무 효율성 증대를 위한 새로운 촬영 보조기구 개발 및 유용성 평가 (The Evaluation of Usefulness New Assistant Device to Increase Patient Convenience and Processes Efficiency of Radiographic Procedures for Merchant View)

  • 손상혁;김성규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3-50
    • /
    • 2010
  • The representative study of Patellofemoral Joint Merchant method can show the view for inspection of the sulcus angle, congruence angle and diagnose whether there are the vertical fractures and recognize the degree of dislocation and patella subluxation. However, anatomical correlation about the degree of knee joint curvature changes during position adjustment and distortion of the image reduces reproducibility.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Merchant method needs to use assisting device which reduces the occurrence of repeat projection and effectively to increase unification of examination and the consistency of the image. However, there are disadvantages for patients who take other examinations. For example, they have to change the position for every examination and it might cause the patient's discomfort and increase of examination time. In this study, we newly devised commercial assisting device which improves the reproducibility of the images and reduces inconvenience of patients movement. Further research should be taken to obtain a image without patient's movement and to reduce the time of the examination than existing method.

  • PDF

Application of Vision Sensor to Communication Device for Person with Serious Disability

  • Tanaka, Motohiro;Yamanaka, Yuki;Moromugi, Shunji;Shimomoto, Youichi;Ohgiya, Yasuhiko;Ishimatsu, Takakazu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4년도 ICCAS
    • /
    • pp.1634-1637
    • /
    • 2004
  • We developed a communication device for person with serious disability to use slight movement. This device is developed mainly for patients suffering from ALS or a cerebral infarction. They often have communication difficulty because of deterioration of muscle functions. A feature of this device is that slight movements of user's finger, eyes or lips can be detected by using a vision sensor. Due to the features of the vision sensor, it is quite easy even for person with serious disability to use a communication device. By the field test it is confirmed that the vision sensors have superior performances as an input device for communication device. Experiments to use an EMG (electromyography) sensor and a rotary sensor are also tested to compare the performances.

  • PDF

국부치료를 위한 Retractor용 LED 광섬유 의료보조조명 장치 개발 (LED Fiber-Optic Lighting Devices Developed for Medical Assistance for the Local Treatment Retractor)

  • 어익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666-671
    • /
    • 2016
  •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기기는 병의원의 수술실에서 수술전용조명인 무영등만으로는 직접 조명할 수 없는 수술부위의 환부에 근접 국부조명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임상의들이 인체 깊숙한 환부의 질환 치료를 안전하게 시술하도록 한다. 이 의료 보조조명 장치는 종양제거나 혈관봉합과 같은 미세한 수술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인 수술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장치이다. 광원 및 전원부 등의 구성요소는 저전력, 소형화로 설계되었으며, 협각렌즈를 사용하여 광확산 효과의 증가와 집중 조명에 용이하도록 하였다. 광케이블을 사용한 조명전송과 조명장치의 Endcap은 사용 후 다음 환자를 위하여 소독이 가능하도록 방수형으로 설계되었다. 리트렉터 조명장치 개발 후 이루어진 광원특성 측정 결과, 조도 490lux, 휘도 $11,550cd/m^2$, 연색성 78, 색온도 11,000K 및 고른 조도분포도를 보여 국부 의료보조조명으로서 적합하였음이 확인되었다.

투명 유리 사무소 건물의 냉방부하 감소를 위한 적정 외부차양 배치에 관한연구 (A Study on Designing a Proper External Shading Device to Diminish the Cooling Load of a Transparent Glazing Office Building)

  • 임상준;서혜수;김병선
    • KIEAE Journal
    • /
    • 제2권4호
    • /
    • pp.21-26
    • /
    • 2002
  • Modem architecture represent a great capitalistic, polishing, high-technology image to the public by design. As a result, glass architecture which show 'transmittance' in desinging play a leading part, consequently a role of machine is increasing in controlling an internal environment of building. These movement look like assisting an universal standard building disregarding a each nation's climate peculiarity, if glass building is applied by a proper external shading device. the shading device has a great effect on the reduction of cooling load energy, this research to propose the proper designing scheme of the fixed external shading device. The effect of proper external shading device on the cooling load is evaluated by the numeric simulation.

장애우 및 자원봉사자를 위한 정보 제공 애플리케이션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offering application for the handicapped and the volunteer)

  • 김대일;양현태;박수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42-544
    • /
    • 2014
  • 장애우는 타인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지만, 도움을 요청할 곳이 많지 않다. 장애우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복지사의 숫자는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그 숫자가 장애우의 숫자에 비해 많이 부족하여 자원봉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자원봉사를 원하는 사람들이 어떤 시설과 어떤 절차에 의해 자원봉사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회적 취약 계층인 장애우의 복지 정보와 도움 제공을 위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설계 및 구현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장애우 사용자와 장애우를 도와주길 자원하는 자원봉사자에 맞추어 구현했다. 기본적으로 사용자를 중심으로 복지관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한다. 도움이 필요한 장애우 사용자에게는 도움 요청 시 간단한 메시지와 자신의 위치를 표시하고, 일반 사용자에게는 자신이 도와줄 수 있는 장애우의 위치를 표시해 준다. 그 외에도 장애우에게 필요한 보장구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며 거래 및 의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 PDF

연료 활성화를 위한 디젤 미립화 장치의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Study of Diesel Atomization Device for Fuel Activation)

  • 최상인;;서호석;김상범;조영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06-318
    • /
    • 2017
  • Heavy diesel vehicles are one of major sources of urban fine dust in Korea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In this study, an auxiliary device assisting fuel atomization, which is called FAD (Fuel Activation Device), was closely review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 As calculated, the diesel flow velocity passing across FAD increased up to 1.68 times, and it enhanced the cavitation effect which could improve the injected fuel atomization. Super cavitation phenomeno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nozzle injection, has occurred until the cavitation number (${\sigma}$) decreased from 1.15 to 1.09, and atomized droplets via a nozzle of which opening was $500{\mu}m$ distributed less than $200{\mu}m$ in sauter mean diameter (SMD).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 충전소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Plan of Powered Wheelchair and Electric Scooter Charging Station)

  • 김승언;김경식;강정배;송병섭
    • 재활복지
    • /
    • 제21권2호
    • /
    • pp.191-216
    • /
    • 2017
  • 최근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에 대한 요구에 따라 전동보장구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고, 이동권 확대 및 보조기기 사용편리를 위한 전동보장구의 충전 시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는 이들 충전 시설에 대한 기준이 없어 효율적인 설치 및 운영이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전동보장구 충전소 설치 및 운영을 위해 이에 대한 국내외 규정 및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장애인 당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충전소 사용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국내 충전소 설치 및 운영방안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충전소에 보급된 충전기로는 효과적인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기기적인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의 개선안을 제시하였고 국가, 지방자치단체의 건물 또는 도서관, 극장, 체육시설, 백화점, 박물관 등 일정 이상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공용시설에서는 충전소 설치를 의무화하도록 제시하였다. 한편 충전소를 설치할 경우 독립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여 충전소를 이용하는 사람의 사생활을 보호하도록 하고 충전소 내 여러 가지 편의장비를 갖추도록 권고하여 이용자의 편리를 높이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