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ertive training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삼, 사십대 기혼 남녀의 성적 의사소통과 결혼의 질 (Sexual Communication and Marital Quality of the Korean Married People in their 30s and 40s)

  • 남영주;옥선화;김지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3-126
    • /
    • 2006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communication and marital quality.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tructured questionnaires completed by 695 married men and women aged in their 30s and 40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or the interaction coordination and postsexual inter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that men had more interaction coordination and postsexual interaction than women. The results show the stereotype of sexuality in Korean society that men should be more active, and assertive while women should be passive and dependent. For both men and women, those who had more dyadic sexual communication, more interaction coordination, and more postsexual interaction had a higher level of marital quality. That is, sexual communication can function significantly in increasing marital quality. The study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training to improve sexual communication skills. For example, in educational programs for couple enrichment, it will be useful to include skills such as expressing ones' desire, affect, and feelings explicitly.

조현병 환자를 위한 정신사회적 중재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김성완
    • 신경정신의학
    • /
    • 제57권3호
    • /
    • pp.235-243
    • /
    • 2018
  • Treatment of schizophrenia has as its ultimate goals, the functional recovery of the patients and improvement of their quality of life. While antipsychotic medication is the fundamental method for treating schizophrenia, it has certain limitations in terms of treating the illness beyond its positive symptoms. Therefore, psychosocial intervention should be used in tandem with pharmacological methods in treating schizophrenia. The efficacy of several mode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improving outcomes in schizophrenia is well attested. Approximately 10 mode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have been recommended based on existing evidence, including family interventi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upported employment, early intervention services, lifestyle intervention for physical health enhancement, treatment of comorbid substance abuse,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cognitive remediation, social skills training, and peer support. Ideally, these interventions are offered to patients in combination with one another. Over the last decade, increased emphasis has been placed on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with particular focus on long-term recovery. Early intervention with comprehensive psychosocial interventions should be enacted promptly from the initial detection of schizophrenia.

중국소비자 조사에서 휴대폰의 원산국 효과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Chinese consumers' lifestyle by country of origin effect of mobile phone)

  • 김성주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6호
    • /
    • pp.1565-1571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중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휴대폰의 원산국 효과에 따라 라이프스타일에서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실증 분석해 보고자 한다. 분석 데이터는 Kim 등 (2006, 2007)에 의해 선행연구 된 바 있다. 그룹 멤버십은 휴대폰의 원산국 효과에 대한 응답을 바탕으로 응답자를 4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즉, 4개 그룹은 한국산 휴대폰을 선호하는 그룹 K, 일본산 휴대폰을 선호하는 그룹 J, 미국산 휴대폰을 선호하는 그룹 U, 그리고 중국산 휴대폰을 선호하는 그룹 C이다. 이러한 그룹 멤버십을 바탕으로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단계적 판별분석을 이용하여 89개 라이프스타일 변수와 2개 개인정보로 이루어진 학습표본 (training sample)을 4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휴대폰을 선호하는 그룹 K는 중국산 휴대폰을 선호하는 그룹 C에 비해 개방적이고, 진보적이고, 적극적이고, 그리고 개성이 강한 것으로 보였다.

감정표현 평가 시스템 개발 및 실험적 적용 (Development of Emotional Expression Assessment System and a Clinical Pilot Test)

  • 한기완;김광욱;구정훈;장희정;박준영;김인영;김재진;김찬형;김선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099-1106
    • /
    • 2006
  • 정신질환자들은 자기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의 결손을 보인다. 이러한 자기 감정표현기술은 정신질환자들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Social Skill Training) 과정 중 하나로서 정상적인 사회생활로의 복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자기감정표현 훈련 및 평가 방법은 치료자 능력의 차이에 따른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가상현실 (Virtual Reality)은 컴퓨터를 이용한 최신의 방법으로, 최근 자폐증이나 공포증 등의 정신질환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다. VR 을 사용하면 상호작용을 할 수 있고, 다양한 환경과 자극을 제시할 수 있으며, 3 차원 랜더링을 통해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파라미터들을 바탕으로 객관적 판단을 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으며, 안전하고 시간과 공간적 제약이 적은 환경 내에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감정표현기술의 객관적 평가를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을 개발하고 정신분열증 환자와 정상인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가상현실은 크게 긍정적 상황과 부정적 상황으로 이루어 지는데 집, 카페, 빵집, 길거리 등 다양한 환경에서 가족, 친구, 직장동료 등의 아바타가 실험 참가자에게 말을 건네고 참가자는 적절한 시기에 자신의 감정표현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실험을 하면서 정서 (긍정적 상황 Vs. 부정적 상황)에 따른 자기감정표현에 대한 파라미터로서 아바타가 말하는 동안 참가자가 아바타의 말에 주목을 하는 정도 (아바타가 말하는 동안 참가자가 아바타의 얼굴을 쳐다보는 시간)와 자기감정을 표현을 하는 시간 (아바타의 말이 끝난 후 감정표현을 시작하는 시간과 감정표현시간)과 상대방 아바타를 주목하는 정도 (참가자가 자기감정을 표현하는 중 아바타를 쳐다보는 시간) 등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정상인이 정신분열병 환자에 비해 아바타를 주목하는 시간이나 자기감정표현을 하는 시간이 더 긴 경향이 있었다. 또한 부정적 상황에서 정신분열병 환자와 정상인 모두가 긍정적 상황에 비해 말하는 아바타에 더 잘 주목하였고, 자기감정을 표현하는 시간도 더 긴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파라미터는 실험 참가자의 자기감정표현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기 감정표현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