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ergillus flavus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8초

산란계에서의 전신 다발성 육아종성 Aspergillosis 발생 (Multisystemic Aspergillosis with Granulomas in Layer Chickens)

  • 김지예;김종만;모인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5-50
    • /
    • 2011
  • 본 증례는 국내의 산란계 농장에서 사육 중이던 39일령 산란계 중추계군에서 신경 증상을 동반한 폐사를 나타내며, 부검 시 폐를 포함한 뇌, 간, 신장 등의 실질장기에서 직경 1~5 mm 크기의 황백색 결절이 다수 관찰되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다발성의 육아종성 병변이 폐, 뇌, 신장, 비장 등에서 관찰되었으며, 특히 폐의 결절 형성 및 건락성 육아종성 병변이 심한 정도로 나타나 호흡기를 통해 1차 감염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육아종성 결절을 SDA에 배양하여 집락의 색을 확인하고, 균사체의 Giemsa 염색 및 조직학적 병변상에서 PAS 염색 결과를 통해 Aspergillus 속 곰팡이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배양된 균사에 대한 유전학적 검사 결과 Aspergillus flavus로 동정되었다. A. flavus 균사는 폐, 뇌, 신장 및 선위에서 병변 중심부 및 변연부 모두에서 관찰되었고, 다핵 거대세포 및 섬유아세포가 염증세포들과 함께 둘러싸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대뇌에서의 육아종성 병변 및 그로 인한 신경 증상이 임상 증상으로 발현된 것이 본 증례의 특징적인 소견이다.

영남지방 농산물에 대한 위생학적 연구 (제1보) Aflatoxin 생성균의 분리 (Hygienic Studies on Agricultural Products in Yungnam District (part I) Isolation of Aflactoxin producing Strains)

  • 정덕화;강호조;하기수;김성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65-170
    • /
    • 1989
  • 영남지방의 농산물로부터 Aflactoxin 생성균을 분리하기 위해 쌀 59점, 메주 30점, 옥수수 32 점 , 보리 58점, 토양 33점, 땅콩 30점, 대두 45점 및 겉보리 60점을 1989년 3월에서 7월 사이에 수집하였다. 총 342 시료로부터 280종의 Asperigllus속 균주를 분리하였고, 그 중에서 29균주가 형광성을 나타내었으나 4균주가 표준 Aflactoxin과 Rf치가 같은 물질을 생산하여 전체시료의 1.3%가 Aflactoxin 생성균에 오염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균학적 성질을 관찰한 결과 4균주 모두 Asp. flavus group으로 추정되었다.

  • PDF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Aspergillus Species의 연구 (Study of Aspergillus Species from Clinical Specimen Isolate)

  • 이장호;구본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5-21
    • /
    • 2016
  • Aspergillus는 가장 흔하게 감염을 일으키는 기회 감염균이다. 검사실에서 Aspergillus의 동정은 대부분 형태학적으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형태학적으로 동정이 안 되거나, 속 수준까지만 동정이 되는 까다로운 균들 동정하기 위하여 분자유전학적인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임상검체에서 분리한 475건의 Aspergillus는 Aspergillus fumigatus 257주(54.1%), A. niger 101주(21.3%), A. flavus 43주(9.1%), A. terreus 29주(6.1%), Aspergillus nidulans 2주(0.4%), 그리고 Aspergillus clavatus 1주(0.2%), 그리고 Aspergillus species는 42주(8.8%)이었다. 미동정 균주와 종 구분을 위한 11건의 염기서열분석에서는 Aspergillus fumigatus 5주, Aspergillus falvus 1주, Aspergillus terreus 1주, Aspergillus lentulus 1주 동정되었다. Aspergillus versicolor 2주, 그리고 1주는 Emericella parvathecia로 동정되었다. Aspergillus의 92.2%는 형태학적으로 동정이 가능하였고, 8.8%는 종 수준의 동정이 불가능하였다. 종 수준의 동정을 하기 위해서는 ITS와 D1D2를 이용한 염기서열분석이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STUDY ON AFLATOXINS IN SOME FOODSTUFFS WITH SPECIAL REFERENCE TO PUBLIC HEALTH HAZARD IN EGYPT

  • EL-GOHARY, A.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8권6호
    • /
    • pp.571-575
    • /
    • 1995
  • A total of 455 food samples representing 22 different food types were collected from several localities at Alexandria province in Egypt. Aflatoxin B1 and aflatoxin M1 were detected in 5 out of 455 (1.1%) of these food samples. From the same samples 206 fungal isolates were obtained. Thirty two of these isolates (15.5%) were found to be aflatoxin producers. Aspergillus flavus was the dominant isolate, while Aspergillus parasaticus was also isolated from a few other food samples. Among locally consumed foodstuffs. Peanut (7.5%) and Milk powder (6.6%) were found to be a suitable substrates for aflatoxin production. The hygienic and public health significance of the isolated aflatoxigenic strains were discussed.

Mycotoxin분비 수종균주들의 배양여과액으로 처리된 HeLa세포의 전자현미경적 관찰 (Electron Microscopec Observations on the HeLa Cells treated with culture Filtrates of Mycotoxin-Producing Fungi)

  • 고춘명;최대경;등영건
    • 미생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01-114
    • /
    • 1974
  • The fine structure of HeLa cells treated with several mycotoxin-producing fungi (Aspergillus flavus ATCC 15517, Aspergillus parastiticus RIB 1037, Penicillium toxicarium RIB 4002, Penicillium cirinum SWU)238, Penicillium islandicum IFO 5235, Penicillium tadum IFO 5787 and Pencillium brunneum RIB 1172) has been examined and some details have been descried. The normal HeLa cell have numerous microvilli, large ovoid nucleus, pleomorphic mitochondria, electron-dense body, Golgi complex, mid-body and endoplasmic reticulum etc. Certain specific structural changes induced by culture filtrates of several mycotoxin-producing fungi have been noted. These alterations induced disappearance of Golgi complex, rER vacuolization, nucleolus attachment to the nuclear envelope nad appearance of certain vacuoles. There were not any changes by the treatment of culture filtrates of non-toxic fungi and only cell debris of some specimens can be observed by the injury of culture filtrates. The experimental animals treated with mycotoxin-producing fungi (Aspergillus flavus ATCC 15517, Aspergillus parasilicus RIB 1037, Penicillum citrinum SWU 238, Penicillium toxicarium RIB 4002, and Penicillium islandicum IFO 5235) were mal cells treated with culture filtrates.

  • PDF

곤포사일리지에 발생하는 곰팡이가 생산하는 진균 독소 (Mycotoxins Produced by Fungi Contaminated on the Round Bale Silage)

  • 노환국;서성;김민경;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4권1호
    • /
    • pp.85-92
    • /
    • 2012
  • 곤포 사일리지에서 분리한 Penicillium, Aspergillus, Fusarium속 균의 곰팡이독소 생산 여부를 조사한 결과, Penicillium paneum 균주의 배양여액에서 citrin과 patulin이 검출되었고, Aspergillus flavus 균주의 배양여액에서는 아프라톡신이 검출되었으나 A. fumigatus가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글리오톡신은 검출되지 않았다. Fusarium proliferatum 균주는 Fusarium속 균이 일반적으로 많이 생산하는 fumonisin, zearalenone, deoxynivalenol 등 곰팡이 독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Aspergillus flavus Y2H001의 식물생육촉진과 Gibberellin A3의 생산 (Plant Growth Promotion and Gibberellin A3 Production by Aspergillus flavus Y2H001)

  • 유영현;박종명;강상모;박종한;이인중;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00-205
    • /
    • 2015
  • 경상북도 성주군의 농경지에서 자생하는 들깨를 채집하여 이로부터 형태학적으로 상이한 15개의 내생진균을 순수 분리하였다. 이들의 배양여과액을 이용하여 난장이벼의 유묘에 처리하여 식물생장촉진 활성을 조사한 결과, 이들 중 Y2H001균주가 식물생장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Y2H001균주의 ITS영역 염기서열과 ${\beta}$-tubulin 유전자 염기서열을 사용하여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분자계통학적 분석 및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 Aspergillus flavus로 동정되었다. 또한 A. flavus Y2H001균주의 배양여과액을 GC/MS를 통하여 분석하였고 식물생장을 촉진하는 원인물질로 $GA_3$ (1.954 ng/mL)를 생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spergillus flavus에 의한 쌀에서의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고오지 곰팡이의 영향 (Influence of Koji Molds on the Production of Aflatoxins by Aspergillus flavus in Rice)

  • 이철준;김영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21-725
    • /
    • 1989
  • Aspergillus kawachii 혹은 A. shirousamii는 저장 중인 쌀에서 A. flavus에 의한 aflatoxin의 시발생성시기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생성속도와 생성량은 현저하게 감소시키었다. 백미를 A. flavus로 접종하여 상대습도 85%, $28^{\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 aflatoxin $B_1$은 35일 후에 최고 $40{\mu}g/50g$ 생성되었다. 같은 조건에서 A. kawachii 동시접종한 경우에는 45일 후 최고 $25{\mu}g/50g$ 생성되었으나 A. shirousamii를 동시접종한 경우에는 60일 동안 흔적 정도만이 검출되었다. Aflatoxin을 첨가한 쌀에 A. kawachii 및 A. shirousamii를 7일간 키우면 각각 97% 및 98%의 aflatoxin이 감소되었다. 또한 aflatoxin을 첨가한 쌀을 A. kawachii 및 A. shirousamii로 만든 쌀 고오지로 48시간 당화시키는 동안 각각 30-67% 및 16-57%의 aflatoxin이 감소되었다.

  • PDF

홍삼(紅蔘) 사포닌이 Aspergillus flavus의 발육(發育)과 Aflatoxin 생산(生産)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s of Red Ginseng Saponins on Growth of and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flavus)

  • 박효진;박재림;송동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9-156
    • /
    • 1985
  • A. flavus NRRL 3357의 발육(發育)과 발암물질(發癌物質)인 aflatoxin 생산(生産)에 최적 조건(條件)을 부여하여 홍삼(紅蔘) 사포닌을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서 배양한 균체(菌體)의 발육(發育)과 aflatoxin 생산능력(生産能力)을 조사하였다. Aflatoxin 정량은 HPLC를 이용하였고 균체발육(菌體發育)은 건조균체(乾燥菌體) 측정법(測定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홍삼(紅蔘) 사포닌 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균체발육(菌體發育)은 대조군(對照群)과 큰 차이가 없었고 배양 4일째에 최대 발육을 나타내었다. Aflatoxin 생산능력(生産能力)은 홍삼(紅蔘) 사포닌 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aflatoxin $B_1$$G_1$이 각각 대조군(對照群)의 31.6%, 2.12%로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나타내었다. 균체발육(菌體發育) 및 독소생산(毒素生産)에 의한 배지(培地)의 변화(變化)는 거의 대등한 차이를 보이나 대조군(對照.群)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전기영동(電氣泳動)은 SDS/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하였으며 홍삼(紅蔘) 사포닌 첨가배지(添加培地)에 발육(發育)한 균체(菌體)단백질 패턴의 intensity는 대조군(對照群)보다 낮게 나타났다. A. flavus 균체(菌體)단백질은 비교적 낮은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들의 생성이 많았다. 따라서 홍삼(紅蔘) saponin은 invitro 실험(實驗)에서 aflatoxin $B_1$$G_1$의 생성(生成)을 효과적(效果的)으로 억제(抑制)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