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ergillus awamori va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Expression of the Aspergillus niger var. awamori Phytase Gene in Pichia pastoris, and Comparison of Biological Properties

  • CHOI, JAE-MUN;DOO-SANG KIM;MOON-SICK YANG;HYUNG-RAK KIM;JAE-HO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6호
    • /
    • pp.1066-1070
    • /
    • 2001
  • The PhyA gene, encoding myo-inositol hexakisphosphate phosphohydrolase in Aspergillus niger var. awamori (wild-type), was cloned and sequenced. The cDNA was overexpressed by a multicopy gene expression system in Pichia pastoris KM71. Recombinant, wild-type and commercial phytase from Aspergilus ficuum NRRL 3135 (Natuphos) were purified. The PhyA gene of Aspergillus niger var awamori showed perfect homology to the phytase of Aspergillus ficcum and $97\%$ homology to A. niger var awamori (L02421). Wild-type phytase was highly glycosylated and more thermostable than the other two, while deglycosylated farms of three phytases showed identical molecular weight, 507 kDa. After heating at $80^{\circ}C$, wild-type, commercial, and recombinant phytases retained $57\%, 32%,\;and\;8\%$ of their original activities, respectively. In conclusion, glycosylation plays a key role in the thermostability of phytase and its enzymatic characterization.

  • PDF

Aspergillus awamori var. fumeus가 생성하는 효소의 Aflatoxin 분해특성 (Aflatoxin Degradation by an Enzyme from Aspergillus awamori var. fumeus)

  • 이찬;이성택;김영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90-394
    • /
    • 1992
  • Aspergillus awamori var. fumeus가 균체 밖으로 생산하느 aflatoxin 분해인자의 효소적 특성을 조사 하기위하여 그 배양 여액을 aflatoxin B1과 반응시킨 결과 1시간 동안 60의 기질을 분해하였다. 반응속도는 초기에 가장 높았으며 시간이 지날 수록 낮아졌다. 반응속도와 기질농도의 관계는 이중역수 식에서 직선을 보이며 겉보기 $K_m$$10.2{\mu}M$로 측정되었다. 최적온도 및 최적 pH는 각각 $30^{\circ}C$ 및 5로 나타났다. 반응은 분자상 산소를 요구하며 $Co^{2+}$에 의해서 촉진되나 $Fe^{2+}$, $Ca^{2+}$, $Zn^{2+}$, $Cu^{2+}$, 및 $Ba^{2+}$ 등의 이온에 의하여 저해되었다. 또한 KCN과 metyrapone에 의하여 저해되나, $NaIO_4$, cytochrome C 및 NADPH에 의한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Aspergillus awamori var. fumeus에 의한 아플라톡신의 분해 (Aflatoxin Degradation by Aspergillus awamori var. fumeus)

  • 양진오;이성택;김영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2호
    • /
    • pp.182-186
    • /
    • 1988
  • A. flavus ATTC 15517를 A. awamori var. fumeus와 함께 혼합배양 하였을 때 단독배양과 비교하여 aflatoxin의 생성시기는 변하지 않았으나 최대생산량은 $B_1$$97\;{\mu}g/50ml$$G_1$$21\;{\mu}g/50ml$로서, 이는 각각 98% 및 99% 감소한 것이었다. 이는 A. awamori var. fumeus가 균사 성장중 aflatoxin을 분해하는 물질을 배지로 분비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물질은 유안($0{\sim}80%)$포화)에 의하여 침전되었다.

  • PDF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i에 의한 쌀 Koji제조시 당화효소의 생산조건 (Cultur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Saccharogenic Amylase During Rice-Koji Making by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i)

  • 오명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94-300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cultural conditions of koji on the production of saccharogenic amylase during rice-koji making by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i which is now widely used as koji-mold in brewing Tikju and Yakju in Korea. The optimum cultural temperature for the production of saccharogenic amylase by this mold was 36$^{\circ}C$, and at this temperature it needed 40 hours of cultivation for maximum production of this enzyme. It was favorable for high production of both organic acid and saccharogenic amylase to shift the cultural temperature form initial 36$^{\circ}C$ to 32$^{\circ}C$ after 20~25 hours of cultivation. The production of saccharogenic amylase was low when the water content of steamed rice was below 35%, but its production was high at 40~60% of water content. When the quantity of conidial inoculation was too small, the production of saccharogenic amylase was low in initial phase, but it was retrived after 40 hours of cultivation. When koji-thickness was over 3cm, the production of saccharogenic amylase was markedly restricted. The saccharogenic amylase of this koji was stable at pH 2~7, and showed high activity at pH 2~5.

  • PDF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i에 의한 쌀 Koji 제조시 유기산의 생산조건 (Cultur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 During)

  • 소경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87-293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cultural conditions of koji on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 during rice-koji making by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i which is now widely used as koji-mold in brewing Takju and Yakju in Korea.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germination of the conidia of the mold was 35'8, and the time required for germination at this temperature was 8 hours. Rapid germination occurred when the water content of steamed rice was above 40%, but germination retardation occurred markedly below 35%. The optimum cultural temperature for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 was 32$^{\circ}C$, and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 was markedly restricted at 36$^{\circ}C$ and 4$0^{\circ}C$. It was effective for the high production of both saccharogenic amylase and organic acid to shift the cultural temperature from initial 36$^{\circ}C$ to 32$^{\circ}C$ after 20~25 hours of cultivation. Initial water content suitable to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 was 40% in steamed rice, but its production was markedly restricted below 30% of water content. When the quantity of conidial inoculation was too small,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 was low in initial phase, but it was retrived at later period. Acid production was markedly restricted together with the increase in koji thickness.

  • PDF

엽연초(葉煙草) 인공(人工) 숙성중(熟成中)의 미생물(微生物)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microorganisms during the tobacco fermentation)

  • 양차범;전재근;김재훈;배효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7권
    • /
    • pp.53-58
    • /
    • 1966
  • 엽연초인공숙성(葉煙草人工熟成)에 관여(關與)하는 미생물(微生物)들을 분리(分離)하고 분리균주(分離菌株)에 대(對)하여 배양(培養), 형태(形態), 생리(生理) 및 회수화물(灰水化物) 발효시험(醱酵試驗)을 행(行)하고 이 결과(結果)들로부터 이들 미생물군(微生物群)을 각각(各各) Asperfillus gavus, A. restrictus, A. nidulans, A. awamori, Oidium sp. Edmundmasonia Sp. spicaria Sp.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var aterrimus, B. licheniformis Flaavobacterium harrisonii, Aerobacter aerogenes으로 동정(同定)하였다. 그리고 이들 균주중(菌株中)에서 발효전기간(醱酵全期間)에 걸쳐, 관여(關與)한 것으는 Aspergillus flavus, A. restriclus.,와 Bacillus subtilis, B. licheniformis이었고 이 곰팡과, 세균(細菌)은 각각(各各) 14, 7 일간(日間)에 최고분포(最高分布)를 이루었으며 기후(其後)에는 뚜렷한 분포(分布)의 변화(變化)를 보이지 않았다.

  • PDF

2, 2'-methylene-bis-(3, 4, 6-trichloroacetoxy benzene)의 nitroaniline 계 mannich bases에 관한 연구 I. 합성 및 항균성 (Studies on Nitroaniline derivative of 2, 2'-methylene-bis-(3, 4, 6-trichloroacetoxy benzene by Mannich reaction Part I. Synthesis and Antimicrobial activity)

  • 유주현;김유삼;김종호;양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11
    • /
    • 1974
  • Four new compounds; 2,2'-methylene-bis [3, 4, 6-trichloro ${{\beta}-(o-nitroanilino)$ propionoxy} benzene]; m.p. $200{\sim}202^{\circ}C,\;C_{31}H_{22}O_8N_4Cl_6$ 2,2'-methylene-bis [3, 4, 6-trichloro ${{\beta}-(p-nitroanilino)$ propionoxy} benzene]; m.p. $168-170^{\circ}C,\;C_{31}H_{22}O_8N_4Cl_6$ : 2,2'-Methylene-bis [3, 4, 6-trichloro ${{\beta}-(o-chloro-p-nitroanilino)$ propionoxy} benzene]; m.p. $170.5-172.5^{\circ}C,\;C_{31}H_{20}O_8N_4Cl_8$ : 2,2'-Methylene-bis [3, 4, 6-trichloro ${{\beta}-(c-methyl-p-nitroanilino)$ propionoxy} benzene]; m.p. $163-164^{\circ}C,\;C_{33}H_{26}O_8N_4Cl_6$-were synthesized by Mannich reaction from 2,2'-Methylene-bis (3, 4, 6-trichloroacetoxy benzene)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the microorganism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Natto, Brevibacterium ammoniagenes, Candida tropicalis, Rhodotorula glutinis, Pseudomonas ovalis, Aspergillus candidus Link, Aspergillus awamori Nakazawa. Aspergillus niger var. Tieghem, Aspergillus usami Sakakuchi, Penicillium notatum-were tested. 2,2'-methylene-bis [3, 4, 6-trichloro ${{\beta}-(o-nitroanilino)$ propionoxy} benzene] showed a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ilus subtilis Natto and Brevibacterium ammoniagenes.

  • PDF

벌꿀을 이용한 고액분리 숙성 탁주의 주질 향상과 고형분의 조절에 따른 품질유지기간 증대 (Improvement of Takju Quality by a Ripening-Fermentation Process Using Honey and Extension of Shelf Life by Control of Takju Mash Sediment)

  • 정승진;신태선;김진만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0-86
    • /
    • 2012
  • 우리 나라 전통술인 탁주의 주질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천연성과 기능성을 가진 벌꿀을 사용하였고 저장기간의 연장을 위하여 술액의 침전물 양을 조절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발효방식은 주모발효 후 3단담금 방식으로 하였고, 입국균은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 원료는 100% 백미, 알코올 발효 효모는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하였다. 제성액의 고형분과 술액을 분리하여 벌꿀을 최종농도 5%(w/v) 첨가하여 5, 10, $15^{\circ}C$에서 23일간 숙성하였을 때 온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숙성기간 동안 알코올이 미소하게 감소했을 뿐 pH, 산도 및 총당량은 거의 일정하였다. 이와 같이 특징적인 술액의 차이는 없었지만 벌꿀숙성으로 제조한 탁주가 벌꿀 첨가 직후의 미숙성 탁주와 비교할 때 우수한 관능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었다. 추가적으로 냉동 보관한 고형분을 100%, 50% 및 25% 비율로 벌꿀첨가 숙성된 술액과 혼합한 후 물을 보충하여 알코올 8%의 탁주를 제조하고 37일간 $10^{\circ}C$에서 날짜 별로 분석하였다. pH는 모든 탁주에서 4.5~4.8 사이를 큰 차이 없이 유지하였으며 고형분 첨가량이 많을수록 효모 세포수, 산도 및 알코올 함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고 총당량은 감소함을 보여 주었다. 즉 고형분의 양이 소량일수록 탁주의 주질이 안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발효 후 고액 분리하여 상층액에 벌꿀을 첨가함으로써 저온 숙성기간 동안 주질의 큰 변화를 주지 않고 관능적으로 우수한 술액을 만들 수 있었으며, 고형분의 재혼합 비율을 조절할 경우 저장기간이 증대된 탁주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 구기자 탁주의 제조 및 품질 특성 (Manufactur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Gugija(Lycii fructus) Tagju)

  • 송정화;이지수;이은나;이승환;김재호;이종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6-91
    • /
    • 2009
  • To develop a new traditional Gugija tagju, various koji were prepared using several starch sources along with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 and then their effects on the quality of the tagju were investigated. Ethanol contents(11.1${\sim}$13.8%)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ugija tagju made from the various types of koji, whereas the tagju made using non-glutinous rice koji had the best total acceptability. The addition of 1% Gugija extracts into the mash increased its total acceptability and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inhibitory activity, and the optimal fermentation period for brewing the Gugija tagju was 10 days.

엉겅퀴 추출물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원성 및 항암활성 효과 (An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ITAMURA)

  • 이희경;김주성;김나영;박상언;김명조;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3-61
    • /
    • 2003
  • 엉겅퀴 부위별 메탄을 추출 수율을 구한 결과 뿌리 및 잎 추출물은 10% 정도의 수율을 보였으나 줄기 추출물은 2.8%의 낮은 수율을 보였다. 항산화활성 실험 결과 부위별 ethyl acetate 분획물과 butanol분획물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뿌리의 ethyl acetate 분획물$(RC_{50}:11{\mu}g/m{\ell})$과 butanol 분획물$(RC_{50}:14{\mu}g/m{\ell})$, 잎의 butanol 분획물$(RC_{50}:15{\mu}g/m{\ell})$에서 대조구인 ${\alpha}-tocopherol(RC_{50}:12{\mu}g/m{\ell})$이나 $BHA(RC_{50}:14{\mu}g/m{\ell})$정도의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곰팡이에 대한 포자발아 억제시험에서는 전반적으로 물분획물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Yeasts에 대한 실험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대조구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냈다.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시험은 역시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활성을 나타냈다. Ames test결과 $MNNG(0.4{\mu}g/plate)$의 경우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서 시료농도 $1000{\mu}g/plate$에서 핵산 분획물이 88.18%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4NQO(0.15{\mu}g/plate)$에 대한 S. typhymurium TA98 균주에서 시료농도 $1000{\mu}g/plate$에서는 엉겅퀴 뿌리 추출물 및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이 77, 75.8%의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TA100 균주에서도 엉겅퀴 뿌리 추출물 및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이 72.5, 74.3%의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Trp-P-1(0.15{\mu}g/plate)$을 사용한 S. typhimurium TA98 균주에서는 시료농도 $1000{\mu}g/plate$에서 엉겅퀴 뿌리 추출물$(1000{\mu}g/plate)$에서 82.25%의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TA100균주의 경우, 시료농도 $1000{\mu}g/plate$에서 부탄을 분획물에서 77.75%의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엉겅퀴 뿌리 추출물 및 용매 극성을 이용한 분획물을 대상으로 암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A549, Hep3B, MCF-7 세포주에서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인간유래의 정상 간세포 293에 대하여 시료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효과는$1000{\mu}g/ml$ 시료 첨가 시 암세포에 대하여 대부분 60% 전후의 억제율을 보이는데 반해 293에 대해서는 25% 이하의 생육억제율을 보였다. 이는 암세포에 대한 높은 억제효과에 비해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독성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