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 niger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9초

Aspergillus niger ATCC 16513과 대두(Glycine max. L) $\alpha$-galactosidase의 kinetic 성질 (Kinetic Properties of $\alpha$-Galactosidase from Aspergillus niger ATCC 16513 and Soybean(Glycine max. L))

  • 금종화;이종수;신철승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53-57
    • /
    • 1992
  • Aspergillus niger ATCC 16513과 대두(Glycine max. L)의 정제 $\alpha$-galactosidase를 사용 하여 몇가지 이들의 kinetic성질을 조사 하였다. Asp. niger $\alpha$-galactosidase의 raffinose와 stachyose에 대한 Km값은 각각 37.0mM과 55.5mM, 대두 $\alpha$-galactosidase는 50.0mM과 55.5mM로서 PNPG보다 이들에 대한 친화성이 적었다. 또한 galactose는 ASP. niger와 대두 $\alpha$-galactosidase 모두의 활성을 저해 하였으나 2-mereaptoethanol과 L-cystene은 대두 $\alpha$-galatosidase의 활성만을 약간 저해 하였다. Asp. niger와 대두 $\alpha$-galactosidase의 활성에 관여하는 아미노산은 diethyl pyrocarbonate에 의한 화학수식에 의하여 histidine임이 확인 되었고 Asp. niger $\alpha$-galactosidase의 1mole당 아미노산 잔기수는 모두 902개, 대두$\alpha$-galactosidase는 286개 이었다.

  • PDF

Aspergillus niger group의 dextrinogenic amylas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xtrinogenic amylase in the aspergillus niger group)

  • 김상재;이배함;이용욱
    • 미생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55-162
    • /
    • 1971
  • A comparison of dextrinogenic amylase activities in the Asp. niger group was made with their crude and ethanol dialized enzymes before and after heating at high temperature (60-$65^{\circ}C$).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dextrinogenic amylase activity of crude enzymes of Asp. kawachii and Asp. foetidus was strong, but Asp. phoernicis, Asp. carbonarius and Asp.japonicus showed weak activity. The others showed medial grades of activity. 2. The ethanol dialized enzymes of Asp. kawachii, Asp. foetidus and Asp. japonicus was very sesitive to high temperature (60 or $65^{\circ}C$) and their enzymatic activities were diminished greatly. The others did not show diminution of enzymatic activity at 60 or 65.deg.C, but diminished greatly at 70 or $75^{\circ}C$. 3. The ethanol dialized enzymes of the Asp.niger group heated to 65.deg.C was more sensitive at pH 6.0 and 6.5 than at pH 4.5, 5.0 and 5.5. 4. Tested strains in the Asp.niger group were subdivided into 4 subgroups by their dextrinogenic amylase activities before and after heating at 60 or $65^{\circ}C$. The first group showed a medial grade of activity before heating and no diminution of their enzymatic activities after heating. Asp. niger, Asp.pulverulentus, Asp. awamori and Asp. usmii were included in this group. The second group had strong enzymatic activity before heating, but diminished greatly after heating. Asp rawachii and Asp. phoenicis were included in this group. The fourth group showed very weak enzymatic activity before heating, and was inactivated easily by heating. Asp.oryzae of the Asp. flavus group showed a very strong dextrinogenic amylase activity before heating. After the heat treatment, however, its enzymatic activity was diminished greatly.

  • PDF

쌀 저장중의 곰팡이와 저곡해충 -제2보. 쌀 바구미(Sitophilus oryzae L.)와 Aspergillus species의 생육- (Activites of Molds and Insects during Rice Storage -Part II. Activities of rice weevil(Sitophilus oryzae L.) and Aspergillus species-)

  • 김영배;류문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4호
    • /
    • pp.257-260
    • /
    • 1982
  • $28^{\cir}{\pm}1^{\cir}C$$60{\sim}70%$의 상대 습도에서 저장된 쌀은 쌀바구미의 활동에 의해서 6주후 최고 1.6%의 수분함량의 증가를 보였다. Asp. repens의 생육은 쌀바구미의 활동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Asp. ηiger는 제 2세대 성충의 출현 후 저해되었다. 쌀바구미의 발육도는 Arp. repens 및 Asp. niger에 의해 촉진(促進)되었으나 예외적으로 Asp. niger의 높은 균수(菌數)($1.6{\times}10^4$ propagules/g)에서만은 억제되었다. 6주후 총충체수(體體數數)에는 유의(有意)한 차이가 없었다.

  • PDF

Aspergillus spp.에 의한 콩된장 발효 과정중의 효소활성 변화 (Changes of Enzymatic Activiti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Soybean-Soypaste by Aspergillus spp.)

  • 주현규;김남대;윤기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3호
    • /
    • pp.295-302
    • /
    • 1989
  • 발효식품인 장류의 제조 중 원료처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생대두, 수침대두, 볶은대두 및 증자대두를 제조하여 이것과 Asp. oryzae, Asp. niger, Asp. awamori 및 자연 발효균을 접종시켜 제조한 쌀고오지 및 식염을 각각 60 : 30 : 10(W/W)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대두 된장$(S_0)$, 수침대두 된장$(S_1)$, 볶은대두 된장$(S_2)$ 및 증자대두$(S_3)$을 제조하면서 발효과정 중 amylase, protease, lipase 및 lipoxygenase 활성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콩된장 제조중 접종시킨 미생물 상호간의 amylase 활성도는 자연 발효균>Asp. oryzae>Asp. awamori>Asp. niger 순이었고, 각 처리대두에 따른 활성도는 $S_0>S_1>S_2>S_3$구 순이었으며, protease 활성도는 자연 발효균>Asp. niger>Asp. oryzae>Asp. awamori순 이었으며, 각 처리구에 따른 활성도는 $S_3>S_2>S_1>S_0$ 구 순이었다. Lipase 활성도는 미생물 상호간에 별 차이가 없었고, 처리구에 따른 그 활성도 크기는 $S_0>S_1>S_3>S_2$ 구 순이었으며 lipoxygenase 활성도는 콩된장 제조 중 접종시킨 미생물 상호간에 있어서는 자연 발효균>Asp. oryzae>Asp. awamori>Asp. niger순 이었고, 각 시험구간에는 $S_0>S_1>S_3>S_2$구 순이었다.

  • PDF

곰팡이 유지 생산에 관한 배양조건의 영향 (Effect of Cultural Conditions on the Lipid Production by Moulds)

  • 손병효;정태명;김용균;최상욱
    • 미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52-258
    • /
    • 1985
  • Aspergillus niger var. macrosporus, Aspergillus fumigatus, Penicillium notatum 및 Penicillium spinulosum의 곰팡이를 배양 온도 및 배양 기간을 달리하여 배양하고 이들 곰팡이가 생산한 지질량과 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곰팡이에 의해 생성된 최대 지질량은 Aspergillus niger var. macrosporus가 17.8%. Aspergillus fumigatus가 31 %. Penicillium notatum이 12.6% 그리고 Pen. spinulosum이 17.5%였다. 이들 균주가 생산한 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였으며 Asp. niger var. macrosporus와 Asp. fumigatus는 전체 배양 기간 동안 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P. nota turn과 P. spinulosum은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지질의 불포화도는 Penicillium속이 Aspergillus속보다 높았다. 한편 지방산 조성은 배양온도에 따라 변화를 보였으나 대부분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는데 Aspergillus fumigatus와 Penicillium notatum에서 저온 일수록 linoleic acid와 불포화도가 높아졌다.

  • PDF

한국산 Aspergilli 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The taxonomical studies of Korean Aspergilli)

  • 이배함;김상재;이호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11
    • /
    • 1968
  • Through the present experiment the various Aspergilli have been isolated from 53 Meju specimens (fermented soy bean cake) which were collected from 43 local areas in Korea and those of them are arranged as 6 different groups: Asp. flavus-oryzae group (38 strains), Asp. niger group (11 strains) Asp. nidulans group (5 strains), Asp. clavatus group (4 strains), Asp. fumigatus group (3 strains), and Asp. ochraceus group (2 strains), as the result of identification of them by the group key of Thom and Raper. Further identifications of them according to the species keys of Thom and Raper, Yamata and Sakakuchi have been also conducted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following as: 1. Group members (38) of Asp. flavus-oryzae group are identified as. Asp. oryzae, Asp. oryzae var. fulvus, Asp. flavus. and Asp. parasiticus, not identified two different strains belong to this group. 2. Group members (11) of Asp. niger group are identified as Asp. niger and Asp. phoenicus. 3. Group members (5) of Asp. nidulans groups are identified as the same species, Asp. nidulans. 4. Group members (4) of Asp. clavatus group are identified as the same species, Asp. clavatits. 5. Group members (3) of Asp. fumigatus group are identified as the same species, Asp. fumigatus. 6. Group members (2) of Asp. ochraceits group are identified as the same species, Asp. sulphereus.

  • PDF

흑국균(黑麴菌)의 인공변이(人工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utation of Aspergillus niger)

  • 박윤중;손천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2-79
    • /
    • 1982
  • Aspergillus niger CF를 최초(最初)의 균주(菌株)로 하고 이것에 자외선조사처리(紫外線照射處理)를 하여 돌연변이균주(變異菌株) Asp. niger CF-11을 얻었으며 이어서 NTG 처리(處理)에 의(依)하여 Asp. neger CF-11 균주(菌株)에서 변이균주(變異菌株) Asp. niger CF-22 및 CF-21를 분리(分離)하였다. 변이균주(變異菌株)의 특징(特徵)을 조사(調査)하고 밀기울국(麴) 및 밀가루국(麴)에서의 효소생산(酵素生産) 및 산생성(酸生成)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Asp. niger CF-22 변이균주(變異菌株)는 포자두(胞子頭)의 색(色)이 변(變)한 tan type의 균주(菌株)였으며 CF-22는 최초(最初)의 친주(親株) CF에 비(比)하여 밀기울국배양(麴培養)의 최적조건(最適條件)에서 글루코아밀라아제활성(活性)이 약(約) 2배(倍), ${\alpha}-$아밀라아제활성(活性)은 약(約) 50% 증가(增加)되었다. 2. Asp. niger CF-21 변이균주(變異菌株)는 포자두(胞子頭)의 색(色)은 변(變)하지 않았으나 밀기울국(麴)에서 생육(生育)과 포자착성(胞子着性)이 최초(最初)의 친주(親株) CF보다 늦었다. 이 변이균주(變異菌株)의 산생성력(酸生成力)은 최초(最初)의 친주(親株)보다 약(約) 4배(倍) 많았다. 3. Asp. niger CF-22 변이균주(變異菌株) 및 CF-21 변이균주(變異菌株)는 최초(最初)의 친주(親株)보다 클루코아밀라아제 및 ${\alpha}-$아밀라아제활성(活性)은 증강(增强)되었으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의 활성(活性)은 오히려 떨어졌다. 4. 밀기울국(麴)에서 Asp. niger CF-22 변이균주(變異菌株)의 글루코아밀아제 생성(生成)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은 $30{\sim}35^{\circ}C$에서 $2{\sim}3$일간(日間)이었으며 ${\alpha}-$아밀라아제의 경우는 $30{\sim}35^{\circ}C$에서 2일간(日間)이었다. 5. Asp. neger CF-21 변이균주(變異菌株)의 산생성력(酸生成力)은 밀기울국(麴)에서 $30^{\circ}C$로 2일후(日後)에 최고(最高)에 달(達)하였으며 밀가루국(麴)에서는 $30^{\circ}C$로 3일후(日後)에 최고(最高)값을 나타내었다. 최적조건(最適條件)에서의 산생성력(酸生成力)은 밀기울국(麴)과 밀가루국(麴) 사이에 차(差)가 별(別)로 없었다.

  • PDF

진균류(眞菌類)의 상호작용(相互作用)에 의한 Aflatoxin 생성능(生成能)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Various Fungi on the Aflatoxin Productivity in tile Culture of Asp. Flavus)

  • 김운주;정용;권숙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9권1호
    • /
    • pp.77-86
    • /
    • 1976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know that the interactions of various fungi, and methionine and $MgSO_4$ introduced as the substrate of culture media for fungi were affected to produce aflatoxins by Asp. flavus. 5 different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fermented soybean mash and were cultured in Chemically Defined medium (C. D. media) and soybean mash at $25^{\circ}C$ for 10 days. (1) It was confirmed that Asp. flavus produced aflatoxins in the C. D. medium and soybean mast, but that Asp. niger, Asp. oryzae, Asp. awamori and Asp. terreus did not produced them respectively. (2) Asp. flavus cultured with Asp. niger did not produce aflatoxins in C. D. medium, but produced in soybean mash, in other hand, Asp. flavus with other fungi except Asp. niger produced aflatoxins in C. D. medium and soybean mash. (3) The growth of fungi were more prosperous in the seperate culture than in the mixed culture. (4) In the C. D. medium added 20% of cultured medium of Asp. niger, Asp. flavus did not produce aflatoxins but other cultured medium did not prohibit the production of aflatoxins by Asp. flavus. (5) On the contrary, $MgSO_4$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aflatoxins by Asp. flavus in the C. D. medium, methionine known as one of precursor of aflatoxins did not affected the increasing productivity with significance.

  • PDF

Aspergillus niger와 이종의 Yeast에 의한 Pectin Transeliminase의 생성 및 그 특성 (Pectin Transeminase produced by Aspergillus niger and two yeast species.)

  • 민경희;이영자;김치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29-235
    • /
    • 1980
  • 1. Saccharomyces cerevisiae, Schizosaccharomyces pombe 4683, Aspergillus niger의 세 종류의 균류를 2% 펙틴이 함유된 액체 배지를 사용하여 3$0^{\circ}C$에서 진탕 배양하여 pectin Transeliminase (PTE)를 생성 시켰다. 2. Asp. niger의 PTE의 생성은 두 종류의 효모균보다 월등히 높았다. 이들 효소의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Asp. niger의 PTE는 효모의 그것에 비하여 대단히 높았다. 즉 환원력은 PTE 활성에 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3. PTE 효소에 의한 펙틴의 분해 산물은 4,5-unsaturate galacturonic acid임이 확인되었다. 4. 세가지 균류의 효소 환성의 최적 PH는 6.0이었고 최적 온도는 $50^{\circ}C$이었으며 온도에 의한 효소의 불활성도는 1$0^{\circ}C$에서 $50^{\circ}C$까지는 거의 없었으나 6$0^{\circ}C$ 이상에서는 점차 증가하였다. 5. 기질에 의한 PTE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Asp. niger의 경우 0.125%의 펙틴을 포함한 용액속에서는 그 활성이 촉진되었으나 그 이상의 기질 농도에서는 효소 활성이 오히려 억제 현상을 나타내었다. 두 종류의 효모균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6. 효소 황성에 미치는 KCI, NaCl, MgC $l_2$의 염의 최적 농도를 규명한 결과 KCI과 NaCl은 최저 2$\times$$10^{-4}$M에서 6$\times$$10^{-l}$ M까지의 농도에서는 Asp. niger와 Sac. cerevisiae 유래의 PTE의 활성은 계속 증가하였다. 반면 MgC $l_2$의 경우는 0.2M에서 효소활성이 최적이었다.

  • PDF

대두를 이용한 이유식 제조에 관한 연구(제 1보) -효소를 이용한 대두단백질 분해 적정 조건결정 및 조제에 관하여-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Weanling Food from Soybean (Part 1) -Conditions for the digestion of soybean protein by Eezyme from Aspergillus-)

  • 김재욱;조무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3권1호
    • /
    • pp.29-34
    • /
    • 1970
  • 우수한 영양가를 가진 대두를 이용하여 이유식을 제조하기 위하여 가압증자한 대두에 Protease및 Cellulase 역가가 비교적 높은 Asp. niger 및 Asp. sojae균의 피국 추출조효소액을 작용시켜 대두 단백질을 아미노산 내지 Peptide 태로 분해시키는 최적조건을 결정하고 여기서 얻은 분해물을 탈색 농축시키는 효과에 관하여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두의 가압증자는 15Ib에서 10분간 처리함이 가장 높은 단백응해율 및 단백분해율을 나타냈다. 2. Asp. sojae enzyme은 pH 6.0, Asp. niger enzyme은 pH 4.4에서 가장 높은 단백용해율과 단백분해율을 나타냈다. Asp. sojae enzyme을 처리한 다음 Asp. niger emzyme을 작용 분해시킨 것이 각 효소 단독으로처리했을때 보다 높은 단백응해율(62.3%) 및 단백분해율을 (56.4%) 나타냈다. 3. 기질에 대한 효소액 첨가량은 원료 대두에 10배의 물을 가한 마쇄기질액에 피국에 대하여 10배의 물로 추출한 효소액 1/2에 해당하는 양 (Asp. sojae enzyme와 Asp. niger emzyme 총량)을 가하는것이 가장 실용적이었다. 4. 분해시간이 길 수록 단백응해율 및 단백분해율이 높아지나 부패 등을 고려할 때 실용분해 시간은 8시간 정도가 적당하다. 5. 탈색 효과는 활성탄으로 처리한 후 음이온교환수지 (Dowex 2-x-8)을 처리한 것이 가장 좋고 단독처리로는 음이온교환수지, 활성탄, 양이온교환 수지(Amberite)의 순으로 효과가 적었다. 6. 이상의 최적 조건으로 대두단백질을 분해하고 $60^{\circ}C$ 이하에서 감압농축하여 얻은 제품은 수분 12.51%, 단백질 66.31%, 지방 4.25%, 탄수화물 12.75%,인 건조분말을 얻었다. 이 연구는 1969년도 문교부 학술연구 조성비로 이루워진 것이며 본 연구에 헌신적인 보조를 아끼지 않았던 박 관화 군에게 감사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