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an Bay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6초

인천 연안해역의 대규모 매립사업에 따른 경기만 일대의 조석특성 변화 (Tidal Changes of Kyonggi-Bay Region After the Large Reclamations in the Inchon Coastal Area)

  • 조진훈;박상현;구요한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0-78
    • /
    • 1998
  • The changes of tidal characteristics of Kyonggi-Bay Region after the Large Reclamations in the Inchon Coastal Area have been studied by the numerical modelling. The constructions of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and Sihwa Seadike were considered as the main reclaimation projects in this region. A two 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was used for this study, and it was composed in relatively high resolution with curvilinear orthogonal coordinate. As the results, at the Inchon harbor and Palmido, where a deep channel is developed, the semi tidal ranges(Z$_0$) were decreased in 8 cm after the two reclamations. However, the Z$_0$ values in the outside of the deep channel were decreased only in 2~4 cm, so that the tidal changes in the deep channel were greater than in the outside of it. After the reclamations, the maxmum velocity was increased 17% at the Inchon harbor, however it was decreased from 1. 55 m/s to 1.10 m/s at the Palmido. This is because the available area in which the stream may spread out was largely reduced after the reclamations. An Asan-bay region, the Z$_0$ was decreased in 5 cm at the Punyang-man and Asan-man stations located after the reclamations in Inchon coastal area. However the changes of Z$_0$ were very little at the outside of Asan-bay. In Asan-bay, the current velocity and direction were little influenced by the reclamations in Inchon coastal area.

  • PDF

계절별 염분 자료를 이용한 아산만 연안의 담수 영향범위 추정 (Estimation on the Regions of Freshwater Influence using the Seasonal Salinity Data in Asan Bay Coastal Zone)

  • 조홍연;조범준;김상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19-231
    • /
    • 2008
  • 아산만 유역에 건설된 배수갑문 운영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유역의 강수량과 배수갑문을 통하여 배출되는 담수량의 결정계수는 $0.77{\sim}0.89$ 범위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산만 해역의 염분농도를 분석한 결과 강한 조석의 영향으로 뚜렷한 성층화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역 유출량과 염분농도의 결정계수는 대산 4 지점을 제외하고는 $0.49{\sim}0.62$ 범위로 나타났다. 한편 염분 농도 평균과 표준편차는 강한 상관관계(결정계수 = 0.9936)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담수 영향정도가 평균과 더불어 염분의 표준편차에도 직접적으로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염분농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이용한 담수 영향범위의 정량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아산 $2{\sim}4$ 지점, 대산 1 지점이 아산만 유역의 직접적인 담수 영향범위로 파악되었다.

2006년도 하계 아산만의 유기인계 농약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cs of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in Asan Bay, Korea in Summer 2006)

  • 최진영;이성규;양동범;홍기훈;신경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
    • /
    • 2009
  • 2006년 5월부터 9월까지 아산만의 유기인계 농약의 분포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표층수와 부유입자 시료에서 28개의 유기인계 농약이 검출되었다. 조사해역의 표층수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유기인계 농약은 IBP와 DDVP로 각각 N.D.${\sim}$014.4, 3.2${\sim}$696.3 ng/L의 농도로 측정되었다. 유기인계 농약은 아산만에서 7월과 8월에 가장 높은 농도분포를 보였으며, 이는 농약의 사용 및 강수와 관계가 있었다. 조사 해역에서 유기인계 농약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농도가 뚜렷이 감소하여 육상기원 잔류농약이 연안의 해양환경내로 유입된 후 분해 희석됨을 보여주었다. 조사기간 중의 아산만 해역의 유기인계 농약의 분포는 다른 지역에서 조사된 것 보다 높은 농도를 보였다, 검출된 유기인계 농약의 농도는 우리나라 해역의 수질기준 중 유기인계 농약의 잔류 허용치를 넘지 않았다. 분석된 유기인계 농약 중 DDVP, IBP, Diazinon, Phorate, Azinphos ethyl, Chlorfenvinfos는 부유입자에 흡착하는 성질이 다른 농약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고 흡착계수 $(K_d)$는 Log $K_ow$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 PDF

아산만 연안하구 식물플랑크톤의 2006년 하계 종조성 변화 (Summer Dynamics of Phytoplankton Taxonomic Composition in a Coastal Estuarine System of Asan Bay)

  • 이향화;신용식;양성렬;박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3호
    • /
    • pp.200-210
    • /
    • 2007
  • 아산만 식물플랑크톤의 하계 종조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6월, 7월, 8월에 매달 두 번씩 실시하였으며 조사 정점은 공간적 분포를 나타내는 5개 정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6월과 7월에 염분은 내만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염은 6월과 7월에 높았으나 8월에 낮은 경향을 보였다. 2006년 여름철 아산만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규조류(62.8%), 와편모조류(17.3%), 은편모조류(14.8%), 유글레나류(1.0%), 남조류(0.9%), 녹조류(0.4%) 등 6종과 확인되지 않은 종(2.8%)이 포함되었다. 6월에는 와편모조류(주요하게 Prorocentrum sp.(29.6%))가 우점 하였고 총 현존량의 43.5%를 차지하였지만 7월과 8월에는 규조류(주요하게 Leptocylindrus sp.(21.4%), Chaetoceros sp.(27.6%))가 우점 하였으며 각각 총 현존량의 69.1%, 89.9%를 차지하였다. 이와 같이 하계에도 강우에 따라 아산만 각 정점에서의 우점속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강우에 따른 담수유입이 하계 아산만 식물플랑크톤 종조성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암시한다.

화옹 (남양만) 방조제에 따른 아산만의 조석변화 (Tidal Characteristics Change in the Asan Bay due to the Hwaong (Namyang Bay) Tidal Barrier)

  • 박문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4호
    • /
    • pp.320-324
    • /
    • 2008
  • 화옹(남양만) 방조제 건설에 따른 아산만내 조석의 평균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택 및 안흥의 1993년$\sim$2006년 조석자료중 분석가능한 자료를 조화분석을 통하여 각 분조의 진폭및 지각을 구하여 분석한 결과, 아산만 외해에 위치한 안흥의 반일주조의 진폭은 감소 경향을 보이나, 아산만내 평택의 반일주조의 진폭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특히 화옹방조제 완공 전후 2002년$\sim$2003년 평택 반일주조의 급격한 증가현상을 보였다. 이는 아산만내의 조석변화가 외해와 무관하게 존재함을 의미하며, 화옹방조제 건설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아산만의 조석변화는 조석 진행방향을 체절한 금강하구언의 경우 또는 'choking effect'를 없앤 영산강 하구언의 반일주조 진폭증가와 달리 만내 방조제 건설로 조석진폭 증가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완공전에 비하여 완공 후 조석변형 척도 $M_4/M_2$ 비율은 증가하고, $M_2$, $M_4$분조의 지각차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아산만 조석은 화옹방조제 건설이후 조차의 증가와 창조시간 감소로 인한 창조류 강화로 더 많은 퇴적물의 만내 유입을 유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아산만 배수갑문 확장사업에 따른 아산만 해역의 수리특성 변화 검토 (Estimation for Changing of Hydraulic States Caused by Gate Expansion in Asan Bay)

  • 박병준;송현구;송태관;장은철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37-340
    • /
    • 2008
  • The gate expansion was planed to increase discharge capacity of gate structure at sea dike in Asan Bay. So it was estimated for changing of hydraulic states in Pyeongteak Harbor Zone caused by gate expansion, by 2D and 3D CFD Module. In result, influence of gate expansion was less than tidal current and discharge ratio between old gate and new gate was 4:6.

  • PDF

아산만 해역 동-춘계 대증식기의 플랑크톤 변화 (Variation in Planktonic Assemblages in Asan Bay During the Winter-Spring Bloom)

  • 박철;이두별;이창래;양성렬;정병관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4호
    • /
    • pp.308-319
    • /
    • 2008
  • 아산만 해역에서 2005년 2월부터 6월까지 환경 요인과 플랑크톤 군집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해 보았다. 수온은 전형적인 겨울철과 봄철의 수온양상을 보였고, 염분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식물플랑크톤은 2월에 만의 안쪽에서 첫 번째 peak를 보인 후 5월에 만 전체적으로 두 번째 peak를 보였다. 수온의 증가는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천이를 유발하여 2월의 식물플랑크톤 대증식기에는 규조류가 가장 우점하였으며, 5월에는 규조류와 은편모조류가 혼재하며 발생하였고, 6월에는 와편모조류가 우점하였다. 일반적으로 연안해의 식물플랑크톤 대증식은 봄철과 가을철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산만 해역에서는 이보다 약 한달 정도 빠르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물플랑크톤 대증식시에 산염은 활발히 흡수되어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이용되었고, 질산염은 제한 영양염으로 작용하였다. 중형동물플랑크톤은 수온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식물플랑크톤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중형동물플랑크톤은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이 발생한 $2{\sim}3$달 이후에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증가한 수온과 먹이로 인해 동물플랑크톤 군집이 성장한 것으로 해석된다.

아산만해역 어류체내와 퇴적물중의 PCB와 유기염소계농약 분포 (On the Distribution of PCB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Fish and Sediment of the Asan Bay)

  • 최진영;이성규;방재현;양동범;홍기훈;신경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3권1호
    • /
    • pp.45-53
    • /
    • 2011
  • Distribu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sediments, seawater and fish tissues were examined. Concentrations of ${\Sigma}PCBs$ and ${\Sigma}DDTs$ in the intertidal sediments of Asan Bay ranged from $1.90{\sim}3.27\;ng\;g^{-1}$ dw (dry weight) and $0.51{\sim}1.26\;ng\;g^{-1}$ dw, respectively. ${\Sigma}PCBs$ concentrations in the tissue of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finespotted flounder (Pleuronichthys cornutus) were $1.27{\pm}0.55$, $1.30{\pm}0.71$ and $1.19{\pm}0.43\;ng\;g^{-1}$ ww (wet weight), respectively. The profile of PCBs in the sediments and the 3 species of fish differed as witnessed by the dominance of tetra- to penta-chlorinated congeners in sediments while penta- to hexa-chlorinated congeners dominated in fish. ${\Sigma}DDTs$ concentrations were $0.67{\pm}0.52$, $0.79{\pm}0.61$, $1.58{\pm}1.05\;ng\;g^{-1}$ ww respectively in the tissue of greenling, olive flounder and finespotted flounder. The p,p'-DDE appeared to be the most important metabolite of DDT in studied fishes. The concentrations of PCB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measured in this study for fish were generally lower than those of previous studies. Compared to the pollutant concentration quality guidelines in marine fish, the environment of Asan Bay appears to be in a healthy state.

3차원 흐름 모델링시스템(FEMOS)을 이용한 아산만 조류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Tidal Currents of Asan Bay Using Three-Dimensional Flow Modeling System(FEMOS))

  • 정태성;김성곤;강시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1-160
    • /
    • 2002
  • 3차원 흐름 모델링시스템 FEMOS를 개발하고, 아산만 조류분포를 모의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조간대 모의를 할 수 있으며, 수치해석방법으로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격자형성이 자유스러우며, 복잡한 해안선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넓은 조간대와 큰 조차, 얕은 수심을 가진 아산만의 조류분포 모의에 시스템을 적용한 결과, 모의결과는 장기간의 중층에서 유속변화, 층별 유속의 시간변화와 일치하는 양호한 계산결과를 보였다. 아산항 건설 전·후 조류 계산결과에 기초하여 산정한 바닥마찰응력 분포 변화를 수심변화 관측결과와 비교한 결과, 마찰음력이 증가하는 곳에서는 침식으로 수심이 깊어지고, 감소하는 곳에서는 퇴적으로 수심이 얕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발된 본 모델링시스템은 그 적용성이 입증됨에 따라 복잡한 해안선과 지형을 가진 연안해역의 해수유동 연구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산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월 변동 (Monthly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Asan Bay, Korea)

  • 정병관;신용식;양성렬;박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6권4호
    • /
    • pp.238-245
    • /
    • 2011
  • 아산만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 5개 정점을 선정하여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두 번에 걸쳐(2월, 8월) 식물플랑크톤 대발생이 발생하였고, 시기에 따라 발생 위치가 다르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총 7개 분류군(Bacillariophyceae, Chlorophyceae, Chrysophyceae, Cryptophyceae, Cyanophyceae, Dinophyceae, Euglenophyceae) 134종이 출현하였다. 대체로 규조류(Bacillariophyceae)가 우세한 분포를 보였으나 하계에는 와편모조류가 증가하였고 내측해역보다는 외측해역에서 개체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우점종과 차우점종 역시 규조류인 경우가 많았으나 6월부터 7월에는 와편모조류가 우점 및 차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생태지수 분석결과 종다양성지수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높았으며 우점도지수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