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uncu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6초

Sexuality of Aruncus aethusifolius (Rosaceae)

  • Yun, Narae;Suh, Hwa-Jung;Oh, Sang-H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89-195
    • /
    • 2017
  • Aruncus L. is a small genus which is distributed in the circumpolar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including Europe, Asia, and North America. In Korea, there are two taxa, A. dioicus var. kamtschaticus and A. aethusifolius. Aruncus aethusifolius is a species endemic to Korea, occurring only on Jeju Island.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Aruncus is dioecy. However, there is some controversy regarding the sexuality of this genus, and little is known about A. aethusifolius. To characterize the sexuality of A. aethusifolius and to provide insight into the evolution of its sexual system, we investigated natural populations and herbarium specimens of A. aethusifoliu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pecies has carpellate, staminate, and bisexual flowers. Carpellate flowers are always borne on separate individuals, and staminate flowers are borne either on separate individuals or mixed with bisexual flowers on the same individuals. The sexuality of A. aethusifolius is defined as polygamo-dioecious. The polygamo-dioecious type is also found in A. dioicus var. dioicus and A. dioicus var. kamtschaticus and thus may be a general condition in Aruncus.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Aruncus aethusifolius (Rosaceae), a species endemic to Korea

  • PARK, Jongsun;SUH, Hwa-Jung;OH, Sang-H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18-122
    • /
    • 2022
  • Aruncus aethusifolius (H. Lév.) Nakai is an endemic species in Korea and is economically important as an ornamental herb.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A. aethusifolius is 157,217 bp long with four subregions consisting of 85,207 bp of large singlecopy and 19,222 bp of small single-copy regions separated by 26,394 bp of inverted repeat regions. The genome includes 131 genes (86 protein-coding genes, eight rRNAs, and 37 tRNAs). Phylogenetic analyses demonstrates that the chloroplast genome of A. aethusifolius was sister to A. dioicus var. kamtschaticus, forming the strongly supported clade of Aruncu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chloroplast genome of A. aethusifolius.

개승마속(Aruncus L., 장미과)의 화분형태학적 연구 (Pollen morphology of the genus Aruncus L. (Rosaceae))

  • 옥민경;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23-331
    • /
    • 2015
  • 개승마속 내 7분류군이 갖는 화분형태학적 형질변이의 분류학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자세히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은 단립으로 크기는 소립($P=8.33-12.57{\mu}m$, $E=8.93-14.40{\mu}m$)이며, 극축면에서는 아원형에서 원형의 형태를, 적도면에서는 아단구형에서 약장구형에 걸친 형태를 나타내고(P/E = 0.68-1.70), 과립상 돌기를 지닌 3공구형의 발아구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분의 표면무늬는 기본적으로 유선상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나, 천공의 유무, 유선과 유선 사이의 너비 등에서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특히, A. dioicus var. acuminatus는 속내의 다른 분류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짧고 높게 솟아있는 유선을 갖는 특징으로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화분학적 형질을 종합한 결과, 개승마속의 다양한 화분학적 변이의 조합은 속 내 일부 분류군을 구별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눈개승마 피복이 토양유실 저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ver Crop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on Reducing Soil Erosion)

  • 김학구;김재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1호
    • /
    • pp.50-58
    • /
    • 2018
  • 본 연구는 눈개승마 피복이 토양유실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눈개승마 피복지의 연토양유실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한 토양유실량을 바탕으로 RUSLE의 식생피복인자를 산정하였다. 산정한 식생피복인자와 토양유실 저감용으로 식재하는 츄잉훼스큐의 식생피복인자를 비교하여 눈개승마 피복이 토양유실 저감에 효과적인지 파악하였다. 피복종류에 따른 토양유실량은 눈개승마 피복시 2.22 Mg/ha, 츄잉훼스큐 피복시 1.85 Mg/ha, 일반 노지는 10.60 Mg/ha가 발생하였다. 피복 종류에 따른 식생피복인자는 눈개승마에서 $0.09{\pm}0.03$, 츄잉훼스큐에서 $0.08{\pm}0.03$, 일반 노지에서는 $0.35{\pm}0.10$로 나타났다. 나지에서는 $0.83{\pm}0.14$로 나타났다. 산정한 피복별 식생피복인자를 분산 분석한 결과는 피복종류에 따라 평균 값의 차이가 있었다. 사후분석을 통한 동일집단군을 분류한 결과 눈개승마와 츄잉훼스큐는 평균의 차이가 적은 유사집단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눈개승마는 츄잉훼스큐에 비견될 정도로 토양유실 저감 효과가 있었다.

울릉도 주요 산채류 자생지의 식생 및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섬쑥부쟁이, 울릉산마늘, 눈개승마의 초본층 식생을 중심으로- (Analysis of Vegetation and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in Main Wild Vegetables of Ulleungdo in Korea -Vegetation of herb layer of the Aster glehni, Allium ochotense, and Aruncus sylvester -)

  • 이중구;김현숙;이상명;박관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1-82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ecological basic data that use to establish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cultivation of wild vegetables in 2016-2018.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munity structure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for natural habitats of wild vegetables(Aster glehni, Allium ochotense, and Aruncus sylvester) distributed in Ulleungdo. As a result of population and gradient analysis, the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Aster glehni community, Allium ochotense community, and Aruncus sylvester community. We confirmed that the classification by population analysis was consistent with that by TWINSPAN method, suggesting that they were complemented each other. The importance value of Aster glehni was the highest in all communities, followed by Aruncus sylvester, Allium ochotense, Hydrangea petiolaris, Dryopteris crassirhizoma, Asperula ldorata,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Disporum viridrescens, Hedera rhombea, Anthriscus sylvestris, and Hepatica maxim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CCA ordination analysis, among those communities, the Aster glehni community was distributed in soil where the nutrition including T-N and O.M. were intermediate. The Allium ochotense community was distributed on the a little high northern slope at the highest altitude where the CEC and O.M. were the highest, and other nutrition and pH were low. The Aruncus sylvester was distributed on high slope and altitude on which the amount of exchangeable cation such as $Ca^{{+}{+}}$, $Mg^{{+}{+}}$ and pH were high, and the CEC, $P_2O_5$, and O.M. were the lowest.

정식시기와 시비량이 눈개승마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Date and Fertilization Amounts on Growth and Yield of Aruncus dioicus var.kamtsccus HARA)

  • 김상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2-145
    • /
    • 1998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optimum planting data and fertilization level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acus HARA. Plant height was increased as the seeding date was delayed. There was no transparent difference on plant height indifferent fertilization level. Nuber of stems was remarkably increased in the fertilization 14-14-12kg. Fresh leaf yield in the fertilization of 24-18-15kg was incresed about 31% comparing in the fertilization of 14-14-12kg. As a result, the optimum planing date and fertilization level was Jan. 15 and 24-18-15kg per 10a, respectively.

  • PDF

DNA Damage Protectio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Different Solvent Fractions from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 Zhang, Qin;Kim, Hye-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14-719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DNA damage protectio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different solvent fractions from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A. dioicus) aerial parts water extract. As for DNA damage protection, distilled water ($H_2O$) fraction displayed the most powerful protection for DNA damage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As for anti-inflammatory activity, dichloromethane ($CH_2Cl_2$) fraction exhibited the highest NO inhibition activity, ranging from 61% to 19% ($10-40{\mu}g/ml$). Furthermore, the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mRNA expressions an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ere employed to verify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CH_2Cl_2$ fraction on further researches. It could be concluded that A. dioicus had a significantly effect of DNA damage protectio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which also as an essential edible vegetable and medicinal species.

울릉도산 울릉미역취, 부지갱이 및 삼나물의 화학성분 특성 (Chemical Components of Solidago virgaurea spp. gigantea, Aster glehni var. hondoensis an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Grown on Ulleung Island, Korea)

  • 최맑음;정헌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76-581
    • /
    • 2008
  • 울릉도산 산채인 울릉미역취, 부지갱이 및 삼나물의 식품학적 가치평가와 활용증대를 위한 기본 자료를 얻기 위하여, 건조 산채분말의 일반성분, 유기산, 유리 아미노산, riboflavin, thiamin, 지방산, 카테킨 및 미네랄 성분 함량을 각각 분석하였다. 산채류의 일반성분으로 수분함량은 $3.77{\sim}5.72%$, 조단백질은 $15{\sim}29%$, 조지방은 $3.50{\sim}6.68%$, 조섬유질은 $4.00{\sim}6.01%$, 조회분은 $8.70{\sim}10.54%$를 각각 나타내었다. 유기산의 종류와 함량은 산채별 차이가 있었으며 succinic acid, citric acid, malonic acid 등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유리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phenylalanine 등의 함량이 높았으며 품목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Riboflavin 함량은 삼나물에서 약 90 mg%, 다른 산채는 $2{\sim}3mg%$이었고, thiamin 함량은 부지갱이에서 113 mg%, 삼나물에서 85 mg%, 울릉미역취에서 71 mg%를 나타내었다. 지방산은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 등의 함량이 높았고 이중 linolenic acid가 전체 지방산의 약 60% 정도를 차지하였다. 카테킨류는 삼나물에서 5.37 mg%, 울릉미역취에서 2.46 mg%, 부지갱이에서 1.29 mg%를 각각 나타내었고 삼나물의 주된 카테킨은 (-) EGC이었으며 다른 산채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미네랄 성분은 Ca, P, Na의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곰취(Ligularia fischeri), 미역취(Solidago virga-aurea), 삼나물(Aruncus dioicus) 복합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Ligularia fischeri, Solidago virga-aurea and Aruncus dioicus Complex Extracts in Raw 264.7 Cells)

  • 김동희;안봉전;김세기;박태순;박근혜;손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78-68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 특산 약용 작물 추출물이 항염증에 대한 실험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에 착안하여 LPS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유도되는 염증반응에 대한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울릉도 자생 식물인 곰취, 미역취, 삼나물의 세가지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염증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산화질소와 cytokine의 생산은 면역세포의 대표적인 염증인자이다. 세포는 LPS 처리 후 한 시간 뒤에 곰취, 미역취, 삼나물 70% 아세톤 추출물을 처리를 하였다.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인 1, 10, 100 ug/ml를 사용하였다. 곰취, 미역취, 삼나물 70% 아세톤 추출물은 NO, $PGE_2$, TNF-${\alpha}$, IL-1${\beta}$, IL-6, iNOS, COX-2의 생성을 저해 시켰다. $PGE_2$는 100 ug/ml의 농도에서 60%에 가까운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iNOS와 COX-2 역시 100 ug/ml의 농도에서 각각 54%, 65%가 저해가 되었다. 게다가 곰취, 미역취, 삼나물 70% 아세톤 추출물은 염증성 사이토 카인인 TNF-${\alpha}$, IL-1${\beta}$, IL-6의 생성을 감소 시켰다. 이러한 결과로 곰취, 미역취, 삼나물 추출물은 염증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NaCl 처리가 눈개승마[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Maxim.) H. Hara]의 생육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l Treatment on Growth and Physiologycal Activity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Maxim.) H. Hara)

  • 남현화;이주희;추병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89-804
    • /
    • 2017
  • 본 논문은 염(NaCl) 처리 시 눈개승마의 생육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0, 100, 200, 300 mM의 농도로 염 처리를 하였다. 처리 30일 후 초장, 엽폭, 엽장 및 무기 이온 함량을 측정하여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항산화 활성 및 염증 생성 물질인 NO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염 처리 시 대조구에 비하여 생육 저하되었으며 염 농도 100, 200, 300 mM 처리구 간의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무기이온 함량은 염 처리시 $Na^+$의 함량은 증가하였고 $K^+$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Ca^{2+}$ 함량은 염 처리 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고 $Mg^{2+}$ 함량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00 mM 이상의 농도에서는 $Na^+$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됨에 따라 식물 생장에 불리한 $K^+/Na^+$, $Ca^{2+}/Na^+$, $Mg^{2+}/Na^+$ 비를 초래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0 mM 이상의 염 농도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며 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DPPH, ABTS radical 소거활성 및 환원력에서도 대조구에 비해 염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염 처리 시 눈개승마의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 cell에서의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CK assay와 염증 생성 물질인 NO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 염 처리구에서 모두 100% 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NO 생산량의 경우 항산화 활성의 경향과 마찬가지로 대조구에 비해 100 mM 이상의 염 처리구에서 NO 생산 억제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염 처리시 100 mM 이상의 농도에서 눈개승마의 생육과 항산화, 항염증 활성이 저하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염 스트레스로 인해 생장과 생리활성 저하를 유발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눈개승마의 경우 100 mM 미만의 농도에서 생육 및 생리활성 유지에 적합한 조건을 확립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