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tidal flat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19초

모래질 갯벌의 지반공학적 특성 및 인공갯벌의 안정성 (Geotechnical Properties of Sandy Tidal Flat and Stability of Artificial Tidal Flat)

  • 권오순;장인성;이광수;염기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7-137
    • /
    • 2003
  • 연안역 개발로 인해 갯벌의 면적이 급감하고 있는 현실에서 대체 갯벌의 조성을 위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공갯벌 조성을 위한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자연적으로 형성된 갯벌지반과 인위적으로 조성된 갯벌지반의 지반공학적인 특성을 비교$.$고찰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인공갯벌 지반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교란 및 불교란시료를 이용한 각종 실내실험을 실시하였다. 실내실험에서 측정된 전단강도와 조류와 파랑으로 인해 유발되는 전단응력을 비교하여 갯벌에 퇴적된 토사의 안정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인공갯벌 조성에 관한 경제적 타당성 분석 (Analyzing an Economic Feasibility for Restoration/Creation of Artificial Tidal Flats)

  • 남광현;오위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593-60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economic feasibility of creating artificial tidal flats using cost-benefit analyses. We assumed that the cos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designing, construction and monitoring, and the benefi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fisheries production, habitation, prevention of disasters, water purification, aesthetic value and existence value. First, for analyzing economic feasibility, the scenario suggests that a design can be made in a year, construction can be completed in three years and monitoring must be made for 20 years. Assuming the discount rate of 7.5%, economic feasibility analyses showed that B/C was 2.26 and IRR was 14.50. This study indicated there is economic validity of implementing creation of artificial tidal flat. In addition, we carried out a sensitivity analysis at the change of discount rate and restoration rate. The result of sensitivity analysis clearly showed that economic validity is low when discount rate is over 15%, and changes in restoration rate did not significantly effect on the economic validity.

A Review of Wetland Policies and Related Guidelines of Leading Nations and Korea with Emphasis on Creation of Artificial Wetlands

  • Lee, Yong-Hee;Lee, Mi-Ji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93-114
    • /
    • 2002
  • Legal regimes of major countries actively involved in wetland programs including USA, Japan, Germany, Netherlands, and Denmark, show that these leading nations have developed their own legal regimes and policies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s since early 1990s. The main feature of their position is to preserve, create and restore wetlands, including tidal flats. However, this approach, so called 'mitigation' policy, is thus far, not a fully established policy but an evolving one. For Korea, there are only a few laws and policies which hint at the importance of creating coastal wetlands as a conservation measure, however, most of those systems only exist as vague provisions which lack any tangible and compulsory implementing procedures and technical guidelines. It seems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egal measures for conserving coastal wetlands in Korea including specifying economic assessment methods and funding sources for the creation, restoration and rehabilitation of tidal flats to firmly establish a national wetland mitigation policy.

인공간석지 창출과 복원을 위한 최적환경조건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Creation and Restoration of Artificial Tidal Flat)

  • 이정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2-112
    • /
    • 1999
  • 히로시마만에 존재하고있는 간석지에 있어서 유입하천의 유무, 폐쇄성 등의 환경조건이나 조성 후 경과연수가 다른 인공간석지 7개소와 자연간석지 3개소를 선정해 간석지 토양에 있어서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인 구조나 유기물분해기능에 관해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인공간석지에 있어서는 입지장소, 조성방법, 조성 후 경과연수 등의 차이에 의한 영향, 자연간석지와 동일하게 조성하기 위한 조성인자를 검토해서,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인공간석지는 자연간석지와 다른 특성을 갖고 있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으로 분리되었다. 그렇지만 대부분이 자연간석지와 전혀 다른 특성을 나타내었다 토양구조 중에서 가장 다르게 나타난 것은 세균수, 실트함유량, 유기물함유량을 들 수 있으며, 각 실험 항목이 인공간석지 보다 자연간석지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자연간석지와 현저하게 차이를 보인 세균수, 실트함유량 및 유기물함유량에 관해서, 각 인공간석지의 조성 후 경과연수, 표면구배, 유입 하천의 유무, 폐쇄성 등의 조성 인자와의 상관성을 분석 했지만, 명확한 상관관계는 알 수 없었다. 자연간석지와 유사한 토양구조 특성을 갖기 위한 간석지를 조성하는 데에는, 간석지 전면에 있어서 해수로부터 실트 성분이 침강 가능한 장소의 선정이 중요하다.

  • PDF

해양 준설토를 이용한 인공염습지 현장시험구 조성 후 초기 환경변화 (Initial Change of Environmental factors at Artificial Tidal Flat Constructed Using Ocean Dredged Sediment)

  • 박소영;이인철;이병호;이자연;이용민;성기준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3-69
    • /
    • 2008
  • 해양 준설토를 재활용하여 인공염습지를 조성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준설토 배합비가 상이한 pilot-scale의 인공염습지 현장시험구를 조성하고 대표적인 염생식물인 갈대를 이식한 후 초기의 환경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식된 갈대의 정착률은 준설토의 배합비가 높을수록 낮아졌으나 새로 자라난 갈대의 지상부 길이와 직경은 준설비 배합비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준설토 100%로 조성된 시험구내 토양의 강열감량과 COD 농도는 유기물의 유출입이 비교적 자유로운 열린계(open system)로 인해 증감을 반복하는 양상을 보이긴 하였으나 초기값에 비해 각각 9%와 30%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시험구 조성 이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준설토 50%와 100%의 시험구에서는 종속영양세균 개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식한 갈대의 정착, 100% 준설토 시험구내의 감소된 COD 함량 및 종속미생물의 증가 등 본 연구의 결과로 염생식물의 식재를 통한 인공염습지의 조성 및 생물학적 분해를 이용하는 해양 준설토의 친환경적인 처리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준설토를 이용한 인공염습지 조성가능성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항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강화 남부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Southern Tidal Flat of Kanghwa Island)

  • 우한준;제종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31-343
    • /
    • 2002
  • The southern tidal flat of Kanghwa Island with an area of approximately $90km^2$ is one of the biggest flats on the west coast of Korea. Surface sediments for sedimentary analyses were sampled at 83 stations in August 1997, September 1999 and August 2000. The very poorly-sorted mud sediments were predominant in the eastern part of the tidal flat, whereas the poorly-sorted sand-mud mixed sediments were dominant in the western part. The area of muddy sediment distribution diminished, but that of sandy mud sediment extended to southeastward tidal flat for three years. In the western part of tidal flat, deposition occurred during the period of spring to summer, whereas erosion occurred in winter. Sediment accumulation rates during three years indicated that the sediments deposited continuously in the eastern part of tidal flat, whereas eroded in the western part of tidal flat. Recently, construction of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new airport, island-connecting bridges and dikes near the tidal flat might change tidal current and river flow pattern. In order to reduce the ecological damage and to preserve tidal-flat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long-term impacts on sedimentary environment and ecology.

건조체적밀도를 적용한 혼합토사 수치모델의 개발과 수치적 안정성 평가 (Development of Numerical Model for Mixed Soil Problems Using Dry Bulk Density and Investigation of Its Numerical Stability)

  • 조용환;이광호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110-121
    • /
    • 2021
  • 산업화에 의해 소실된 갯벌의 중요성이 근래에 주목을 받으며 인공 갯벌의 조성 및 자연 갯벌의 유지 관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갯벌을 조성하는 실트, 진흙, 모래 등과 같은 저질에 의한 거동특성에 관해서는 충분한 이해가 부족하다. 갯벌과 같이 혼합토사의 이동특성에 관한 연구가 현지조사와 수리실험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한 수치모델의 개발은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갯벌을 구성하는 저질의 동적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혼합토사 모델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혼합토사에 대한 표사이동 수치모델을 구축함에 있어서 혼합토사를 구성하는 모래와 진흙의 재현 및 이동에 따른 수치적 안정성이 우선 검토되어야 하므로 혼합토사를 구성하는 모래와 진흙의 체적관계를 토사의 기하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시상도를 바탕으로 제안하였다. 혼합토사의 건조체적밀도를 고려하기 위해 진흙이 물을 함유하는 함수비를 도입하여 진흙의 건조체적밀도를 고려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제안된 혼합토사의 수치해석 모델을 혼합토사의 사면 붕괴에 적용하여 사면 붕괴에 따른 진흙과 모래의 이동계산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간대 퇴적물의 계절적 변화 : 한국 남해안의 광양만 (Seasonal Changes of Tidal-flat Sediments: Kwangyang Bay, South Coast of Korea)

  • 류상옥;김주용;이희준;조영길;안성모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4호
    • /
    • pp.349-356
    • /
    • 2003
  • 한반도 남해안의 중앙부에 위치한 광양만에서 조간대 퇴적물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집적률과 표층퇴적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2년에 걸친 조사결과 광양만 조간대는 주로 겨울에 퇴적되고 세립해지며, 여름에는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태풍과 폭우에 의해 침식되며 조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겨울의 퇴적현상은 파랑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서해안 조간대가 주로 겨울에 침식되는 것과 상반된 결과로, 이는 광양만의 반폐쇄적인 지형적 특성에 따라 파랑의 발달이 극히 제한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공단조성을 위해 주변에 인위적인 매립이 진행되고 있는 조간대에서는 계절과 무관하게 침식이 가속화되고 있다.

인공구조물에 따른 조간대 대형저서동물 군집변화 (The Intertidal Macrobenthic Community along an Artificial Structure)

  • 유옥환;이형곤;이재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spc1호
    • /
    • pp.132-141
    • /
    • 2006
  • Artificial structures have been designed as pilot structures to promote the creation and restoration of tidal flats. However,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as to whether such artificial construction affects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We monitored the variation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nd species composition near natural and artificial structures (seaweed and a timber fence) on the tidal flats near the Iwon Dike, Korea. In total, 137 macrobenthic species were recorded during this study, predominantly crustaceans (47%), polychaetes (18%), and molluscs (27%). Polychaetes comprised over 50% of the total density, followed by gastropods (38%) and crustaceans (11%). Macrobenthic species composition in the artificial and natural areas, was initially similar, but it differed after 7 months. The gastropod Umbonium thomasi,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present at both sites in the first month after the start of the experiment, but disappeared at the artificial sites within 7 months, suggesting disturbance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number of species and diversity (H') varied significantly within sites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after 7 months. Multivariate analysis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ty structure between the artificial and the natural areas from 7 months after the start of the experiment, except from 18 to 21 months. The community structures were mainly influenced by U. thomasi. Community structure at the artificial sites was affected by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carbon, COD/IL sulfide, loss of ignition, kurtosis and silt, which changed over time. We observe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nvironmental variables and the dominant species, except in the case of Spio sp. and Macrophthalmus dilatatus, suggesting that the biological interactions and temporary disturbances such as typhoon, as well as the effects of artificial structures may also be important regulating factors in this system.

Satellite Monitoring of Reclamation and Land Cover Change Neighboring Tidal Flats on the West Coast of North Korea: Comparative Approach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 Sanae Kang;Chul-Hee Lim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09-423
    • /
    • 2023
  • North Korea is carrying out reclamation activities in tidal flat areas distributed throughout the west coast. Previousremote sensing research on North Korean tidal flats either failsto reflect recent trends or focuses on identifying and analyzing tidal flats. Thisstudy aimsto quantify the impact of recent reclamation activitiesin North Korea's coastal areas and contribute knowledge useful for determining the best remote sensing methods for coastal areas with limited accessibility, such as those in North Korea. Using Landsat-8 OLI images from 2014-2022, we analyzed land cover changesin an area on the west coast of Pyeonganbuk-do where reclamation activities are underway. Unsupervised classification using the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and the random forest classification technique were each used to divide the study area into classification groups, and changes in their areas over time were analyzed. The resultsshow a clear decrease in the water area and a tendency to increase cultivated area,supporting the evidence that North Korea'sreclamation isfor agricultural land expansion.Along coasts behind seawalls, the water area decreased by nearly half, and the cultivated area increased by over 2,300%, indicating significant changes and highlighting the anthropogenic nature of the cover changes due to reclamation. Both methods demonstrated high accuracy, making them suitable for detecting cover changes caused by reclamation. It is expected that further quality research will be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by combining data from multiple satellit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