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leather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7초

패션소재의 입체적 표현에 대한 3D Scanning 및 소재특성 분석 연구 -Iris van Herpen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hree-dimensional Expression of Fashionable Textiles based on Analyses of 3D Scanning and Textile Properties -Focus on the Work of Iris van Herpen-)

  • 이레아;김종준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2호
    • /
    • pp.124-133
    • /
    • 2016
  • Currently the fashion industry is developing to create a novel culture due to the very sensitive and knowledge-oriented advancement of the IT industry. With fast turnover of information, consumers have come to have a more diverse desire for purchasing. Cubical expression techniques, which empathizes formativeness, can be a creative expression method adjusting into the trend of this era. Along with functional aspects of consumers, even in a textile manufacturing sector, new materials are required to meet sensitive and emotional aspects. Consumers' desire for new and creative designs and the development and adoption of new materials are essential to meet their emotions. The IT industry and fashion industry are forced to combine and a 3D apparel CAD system has been developed, enabling virtual clothing to be represented within a computer virtual space. All processes such as design, pattern creation, sewing and simulation are possible in 3D level. Digital clothing can shorten the production process time and is very effective in that it can reduce clothing waste generated during the sample production. This paper reviewed the works of Dutch designer, Iris van Herpen, who has developed formative designs. She tries to build, construct, and sculpt employing diversified materials other than soft textile materials, as shown in her series of fashion shows. The materials include films, 3D printed polymers, stiff and sheer organza, and artificial leather textiles. A few characteristics of her works have been selected in order to prepare patterns exhibiting the traits. The paper further focused on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textile materials used to express similar techniques and its various forms were reviewed.

국내 야생에서 발견되는 외래거북류의 분포 특성 - 강원도와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xotic Turtles in Korean Wild - Based on Gangwon-do and Gyeongsangnam-do -)

  • 구교성;권세라;도민석;김수환
    • 생태와환경
    • /
    • 제50권3호
    • /
    • pp.286-294
    • /
    • 2017
  • 교통수단의 발달은 국가 간의 장벽을 빠르게 낮추고 있지만 이는 과거보다 쉬운 생물종 이동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수 많은 종류의 외래생물들이 식량과 가죽, 애완 등의 목적으로 수입되고 있으며, 인위적 혹은 자연적으로 야생에 유입되어 생태계 교란의 주범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외래생물종인 붉은귀거북을 비롯한 외래거북을 대상으로 국내 생태계로의 유입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강원도와 경상남도 지역에 위치한 총 126개의 저수지를 조사한 결과, 총 4속 8종 62개체의 외래거북들이 발견되었다. 그중 붉은귀거북의 발견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붉은귀거북의 자연 번식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붉은귀거북을 제외한 다른 외래거북들의 발견 빈도는 비교적 낮았으며, 발견되는 지역의 범위는 제한적이었다. 특히 외래거북들은 공원 내 저수지와 같은 일반인의 접근이 비교적 높은 곳에서 주로 발견되었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외래거북의 분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외래거북의 발견은 시가지라는 인위적인 요소와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생태계에 유입되어 있는 외래거북류의 현황 파악과 동시에 이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의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