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fruiting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19초

Bipolar Heterothallism, a Principal Mating System of Cordyceps militaris In Vitro

  • Shrestha Bhushan;Kim Ho Kyung;Sung Gi Ho;Spatafora Joseph W.;Sung Jae Mo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6호
    • /
    • pp.440-446
    • /
    • 2004
  • Interest in in vitro study of entomopathogenic fungi, including Cordyceps species,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ir valuable bioactive compounds and biocontrol effects. Among Cordyceps species, in vitro stromata of C militaris has been successfully produced and cultivated for industrial purposes. However, genetic study on in vitro stromata formation of C militaris has not been carried out yet. Here, relationship between mating system and perithecial stromata formation of C militaris is reported. Mating system was determined by observing perithecial stromata formation from mono-ascospore cultures and their pair-wise combinations. Certain combinations of mono-ascospore strains produced perithecial club-shaped stromata, whereas other combinations produced either no stromata or only abnormal non-perithecial stromata. Similarly, mono­ascospore cultures without combination produced either no stromata or only abnormal non­perithecial stromata. Despite obvious heterothallism, self-fertility was occasionally observed in few strains of C militaris. These observations indicated that C militaris behaves as a bipolar het­erothallic fungus and requires two mating compatible strains in order to produce regular club­shaped perithecial stromata, a fundamental requirement for its industrial cultivation.

먹물버섯속균(Coprinus spp.)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prinus species)

  • 김용균;김홍규;이병주;양의석;김홍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1-57
    • /
    • 2008
  • 식용과 약용버섯으로서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먹물버섯(C. comatus)에 대하여 보다 우수한 인공재배법을 개발하고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먹물버섯속균 5개 균주 중에서 C. comatus균인 CM 980301 균주를 우량균주로 선발하였으며, 먹물버섯(C. comatus: CM 980301)자실체를 생산하기 위한 우수 배지는 종균용으로 밀곡립배지를 사용하고, 먹물버섯을 볏짚 발효배지에 인공재배 하였을 때 $24{\sim}28^{\circ}C$에서 균배양은 종균 접종 후 15일, 복토 후 13일이 소요되었으며, 원기형성 및 초발이는 $20{\sim}24^{\circ}C$에서 $10{\sim}11$일이 소요되었고, 버섯생육은 $20{\sim}24^{\circ}C$에서 $7{\sim}8$일이 소요되었다. 먹물버섯 (CM 980301)의 수확적기는 갓이 피기 전으로 자실체 경도는 갓 $102{\sim}169\;g/cm^2$, 대 $126{\sim}182\;g/cm^2$으로 단단하였고, 인공재배한 수량성은 $37.7kg/3.3m^2$, 개체중 17.9 g이었다.

목이버섯 봉지재배 배지 개발 (Development of bag culture medium of Auricularia auricula)

  • 유영진;최소라;김희준;이기권;송영주;김정곤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6-219
    • /
    • 2014
  • 목이버섯 봉지재배의 배지 선발은 톱밥85%를 참나무 80%+포플러20%의 중량비로 혼합하였고 이 때 필요한 부재료는 면실박10%와 밀기울5%를 혼합한 배지였다. 개발한 배지자실체 수량검정을 한 결과 버섯생육기간은 대조에 비해 33일 단축되고 수량도 25%증수되었다.

GENOTYP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IN A SOYBEAN CROSS

  • 권신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2-45
    • /
    • 1963
  • In a plant breeding program, an efficient selection of desired characters in a population is important. Generally, many agronomic characters in a given population are determined by polygenes and quantitatively inherited. In practice, th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wo observed characters which are undoubtedly subjected to the environmental influence is difficult to identify. In recent years, many workers have attempted to understant th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in terms of genotypic correlation, and the knowledge thus gained should furnish many important and useful information for the planning of breeding,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 The genotypic correlation is the result of pleiotropy, linkage of genes(2, 3, 5, 6, 8) and natural or artificial selection(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genotyr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all possible pairs of nine characters. and to seek certain characters which may be useful as indicators of certain important agronomic characters. Weber and Moorthy(10), Johnson et al. (5) and Sheth(7) found that in general, the genotypic correlations were higher than the phenotypic correlations. Weiss et al. (11) obtain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aturity and oil content, maturity and low protein content, and high protein content and low oil content. Weber and Moorthy(10) reported the positive g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flowering and maturity, yield and maturity, yield and plant height, yield and seed weight, and negative g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maturity and oil content, and oil content and seed weight. Johnson et al. (5) studied the genotyp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among 24 characters and concluded that selection based entirely on a long fruiting period, lateness, heavy seed, low protein, high oil and resistance to lodging would be effective in increasing yield. Sheth(7) found the following positive associations among characters; height and maturity, yield and lodging, low protein content and high oil content, and yield and low protein content. Hanson et al.(1) also reported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ed yield and protein content.

  • PDF

Proliferation of Tricholoma matsutake Mycelial Mats in Pine Forest Using Mass Liquid Inoculum

  • Lee, Won-Ho;Han, Sang-Kuk;Kim, Beom-Seok;Shrestha, Bhushan;Lee, Soo-Yong;Ko, Cheol-Soon;Sung, Gi-Ho;Sung, Jae-Mo
    • Mycobiology
    • /
    • 제35권2호
    • /
    • pp.54-61
    • /
    • 2007
  • Two isolates of Tricholoma matsutake T-008 and T-034, preserved in Entomopathogenic Fungal Culture Collection (EFCC) of Korea,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The isolates had 100% Bootstrap homology with Tricholoma matsutake U62964 and T. matsutake AB188557 and AF309538 preserved in Gene Bank of NCBI. Mycelial growth of T. matsutake was highest in TMM and MYA at $25^{\circ}C$. The highest dry wt. of mycelium was obtained after 65 days of culture, when 6 mycelial discs were inoculated in 100 ml of broth in 250 ml shaking flask. Mycelial mats were observed in clumped condition at the inoculation sites of pine forest after two weeks of inoculation. After 5 months of inoculation, mycelia mats were observed growing inside soil and walls of a few inoculation sites, while mycelial mats growth up to $5{\sim}8$ cm were observed in the roots of pine tree after 6 months. The survival rate of the inoculum was about 40% of the total inoculation sites. The survival rate was found below 20% when the mycelium was inoculated in the summer. The reasons for low survival rates of the mycelium were mainly due to dry season and the soil-borne small animals such as earthworm and mole. After one year of inoculation, no external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artificially inoculated mycelia and the naturally existing mycelia of T. matsutake.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fruiting bodies of T. matsutake could be produced by artificial inoculation under the appropriate environmental conditions.

표고 톱밥재배에서 검정날개버섯파리 Lycoriella ingenua (Diptera: Sciaridae)의 피해와 생물적 방제 (Damage and biological control of dark winged fungus gnats, Lycoriella ingenua (Diptera: Sciaridae) in a shiitake cultivation)

  • 김형환;조명래;강택준;안승준;;이찬중;정종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84-190
    • /
    • 2012
  • 톱밥배지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황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Lycoriella ingenua의 성충 유인수를 조사한 결과 9월 26일에 화성에서는 트랩 당 127.5~1,025.7마리, 부여에서는 87.4~743.6마리, 청원에서는 133.7~650.4마리로 세 지역에서 9월 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L. ingenua는 유충이 자실체를 직접 가해하여 상품성을 떨어뜨리거나, 배지 속에서 유충이 서식하면서 배지의 영양분을 먹고 심하면 배지를 스폰지화하여 표고버섯 자실체의 성장을 저하시키는 피해증상을 나타내었다. L. ingenua의 표고버섯 자실체의 피해율은 화성에서 7.7~30.3%, 부여에서는 6.7~25.3%, 청원에서는 5.3~26.0%로 세 지역에서 9월 하순에 피해가 많았다. 톱밥배지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화성, 부여, 청원에서 천적인 아큐레이퍼응애를 이용하여 L. ingenua의 방제효과를 알아본 결과 $m^2$ 당 아큐레이퍼응애의 약충과 성충을 30.3마리 밀도로 7~14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얻었다. 화성의 표고재배 농가에서는 아큐레이퍼응애 처리구에서 L. ingenua의 성충 유인수가 끈끈이트랩 당 평균 168.2마리, 자실체 피해율은 평균 5.9%로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각각 67.1%, 69.3%가 감소되었다. 부여와 청원의 표고재배 농가에서는 끈끈이트랩 당 성충 유인수가 각각 평균 126.1마리, 132.5마리였고 자실체의 피해율은 5.5%, 5.4%로 성충 유인수는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각각 61.7%, 60.3%, 자실체 피해율은 64.3%, 63.5%가 감소되었다.

큰느타리(Pleurotus eryngii)의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rtificial Cultivation of Pleurotus eryngii (De Canolle ex Fries) Quel.)

  • 이대진;김광포;이병의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2-199
    • /
    • 2003
  • 큰느타리버섯의 인공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균사 생장이나 자실체 생장에 필요한 영양원과 수분 및 산소를 공급하는 최적 배지, 수확량과 품질 및 경영 효율을 좌우하는 최적 재배용기, 적정한 배양기간, 그리고 최적의 발이방법 등을 검토하였다. 배지의 주재료로서 톱밥 단일배지보다 톱밥+콘코프의 혼합배지에서 배양기간은 다소 지연되었으나 수확량과 품질이 좋았다. 톱밥과 콘코프의 배합비는 75 : 25(v/v)가 가장 좋았다. 배지 주재료로서 비트펄프의 배합은 균사생장이 저하되고 수확량도 감소되어 바람직하지 않았다. 배지 제조시 영양제로 미강과 밀기울 그리고 면실박을 각각 12 : 12 : 6(v/v)으로 혼합하면 수확량이 가장 많아 효과적이었고, 밀기울과 면실박을 각각 15% 혼합한 처리구는 수확량이 가장 낮았다. 배지 첨가제인 제오라이트, 패분과 건비지의 첨가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큰느타리 병재배시 polypropylene(PP) 병의 병구 직경이 크면 발이수는 많으나 유효갯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PP병의 용량이 클수록 수확량과 품질이 양호하였고 용량 1100 ml-병구직경 ${\phi}75\;mm$가 가장 양호하였다. 큰느타리버섯의 봉지재배시 투명 사각봉지에서 균긁기하지 않는 전면(全面)발생재배는 PP병재배보다 재배면적당 수확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발이상태는 $24{\sim}42$일간의 배양기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배양기간이 짧으면 갓 형성과 수확량이 불량하였다. 적정배양기간은 $22{\pm}2^{\circ}C$배양시 약 35일 정도이었다. 균긁기 후 무피복 정치, 피복 정치 및 도치법의 발이방법 중 도치법이 과습방지와 낙하균의 오염방지로 가장 양호하였다.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균사배양 및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ycelial Growth and Artificial Cultivation of Pleurotus eryngii)

  • 강미선;강태수;강안석;손형락;성재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3-80
    • /
    • 2000
  • 공시배지 중 MYPA 배지에서 큰느타리의 균사생장 및 밀도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균사생장 최적온도는 $25^{\circ}C$이고, 최적 pH는 6.0이었다. 최적 회전진탕배양 일수는 7일이었고, 큰느타리의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배지조성은 탄소원 soluble starch 3%(w/v), 질소원 malt extract 0.25%(w/v), yeast extract 0.25%(w/v), 무기염류 $CaCl_2{\cdot}2H_2O$ 0.05%(w/v)이었다. 기본배지인 MYP 배지와 최적 배지로 액체배양하여 균체량을 비교한 결과, 최적배지에서 균체생산량 및 생장수율이 높았다. 큰느타리의 균사생장과 균밀도에 최적인 톱밥수종은 참나무 톱밥이었고, 첨가제는 미강과 밀기울 30%(v/v)이었으며, 최적 수분함량은 70%(v/v)이었다. 반면에 자실체 생산을 위한 최적 첨가제는 발겨 20%(v/v)이었다.

  • PDF

Panellus edulis 수집 균주의 균사배양 및 자실체 특성 분석 (Mycelial Culture and Fruiting Analysis of Panellus edulis Strains Collected in Korea)

  • 우성이;유림;장영선;박영애;정연석;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81-294
    • /
    • 2018
  • 국내에서 참부채버섯(Panellus serotinus)으로 수집한 8균주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계통분석을 실시한 결과 참부채버섯이 아닌 Panellus edulis로 나타났다. Universal Fungal PCR Fingerprinting (UFPF) 분석결과 P. edulis 8균주는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눠졌다. 우리나라 산림에 서식하는 8개 균주의 배양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균사의 성장과 효소 활성에 대한 기초특성 연구를 수행했다. 모든 균주는 21일 동안 3종류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였고 생장이 적합한 배지는 malt extract agar (MEA), Sabouraud dextrose agar (SDA) 배지보다 potato dextrose agar (PDA)로, 빠른 균사 생장 및 균사 밀도를 보였다. P. edulis 균주의 균사 생육 조건은 PDA에서는 $20^{\circ}C$, potato dextrose broth (PDB)에서는 $25^{\circ}C$가 선발되었으며, 균사생장에 적합한 수소이온 농도가 PDB는 pH 5~8로 이때 균사생장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두 균주(NIFoS 2792, 2804)는 PDA의 균사 생장 및 밀도를 기준으로 우수한 균주로 선정되었다. 모든 균주는 셀룰라아제와 라카아제 활성을 나타내었고 NIFoS 2407과 2805는 다른 균주보다 높은 효소 활성을 보였다. 그 중에서도 라카아제 활성은 NIFoS 2387이었고 모든 균주는 셀룰라아제를 생산하였다. 톱밥 종류별 시험에서 상수리나무와 신갈나무에서 균사생장속도가 다른 톱밥에서보다 좋았고 균사 밀도도 가장 양호하였다. 버섯의 톱밥재배는 $23^{\circ}C$에서 균 접종 후 80~85일간 배양하였고, 원기형성 온도는 $17{\sim}18^{\circ}C$에서 10~11일간, 자실체 생육은 15~20일간 수행하였다. 버섯 재배 결과, 배양기간과 수량 면에서 NIFoS 2804, NIFoS 3993 균주가 가장 양호한 균주로 선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P. edulis의 인공재배를 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환경조건이 표고톱밥배지의 갈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 to the mycelial browning of Lentinula edodes (Berkeley) Sing. during sawdust bag cultivation)

  • 김영호;전창성;박수철;유창현;성재모;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5-121
    • /
    • 2009
  • 표고 톱밥배지의 갈변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광을 조사한 결과 100Lux 이상의 광처리에서 원하는 수량을 얻을 수 있었으며 암상태에서의 자실체의 발생은 기형버섯율이 높았으며 수량도 저조하였다. 그러나 갈변은 200 Lux이상의 광에서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장 빨리 갈변이 되기 시작하였다. 온도별 처리에서는 $25^{\circ}C$의 배양온도를 유지하여 배양한 것이 갈변시작일도 가장 빨랐고 갈변도 가장 많이 진행되었으며 수량과 개체중량도 가장 높았으며 정상적인 수량을 나타낸 처리 중 기형버섯의 발생량도 가장 적었다. 배지내에 통기성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솜마개의 크기를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마개의 크기가 클수록 균사의 생장량도 빨랐으며 갈변이 이루어지는 시기도 빨랐다. 그러나 자실체의 수량은 솜마개의 직경이 16mm일 때 가장 높았으며 마개가 클수록 배지내의 $CO_2$함량은 낮았으며 배양기간 중 갈변이 진행되는 8주에서 14주 사이에서 $CO_2$함량이 가장 높았다. 배양기간 중 $C_2H_4$함량은 8mm의 솜마개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12, 16, 20, 0, 4mm의 솜마개으로 발생하였다. $C_2H_4$함량도 $CO_2$함량과 같이 8주에서 14주사이의 배양기간에서 가장 높았다. 침수시간에 따른 자실체의 발생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침수시간별로 자실체의 수량과 효소들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침수를 하지 않은 배지는 수량이 침수를 한 배지에 비하여 약 40%가 감소하였다. 침수시간은 4시간과 15시간 침수한 것이 각각 165g/1000ml, 175g/1000ml 이었다. 침수시 cellulose분해효소는 침수에 따른 변화가 없으나 lignin 분해효소인 laccase는 침수시간에 따라 약 4 배정도까지 효소의 활력이 증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