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hroscopic debridement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41초

상완골 대결절의 미세전위골절의 관절경적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Symptomatic Shoulders with Minimally Displaced Greater Thberosity Fracture)

  • 김승호;하권익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권2호
    • /
    • pp.178-186
    • /
    • 1999
  • 상완골의 대결절 골절 후, 6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견관절 동통을 호소하는 총 23명의 환자에 대해 관절경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평균 29개월(22~40개월) 후에 후향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환자군의 연령은 24세에서 61세까지로 평균 39세였으며 남자가 18례 여자가 5례였다. 이중 14례는 단독골절 이였고 9례는 급성전방 불안정성과 연관이 있었다. 단순방사선 전후방 사진상에서 골절의 평균 전이는 2.3mm(0∼4mm)였다. 관절경을 시행하였을 때 모든 환자에게 관절면 쪽으로 치전근개의 부분 파열이 있었고,그 깊이는 Ellman I도에서 Ⅱ도였다. 관절경적 견봉하 감압술과 함께, 파열된 정도에 따라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 또는 봉합술을 시행한 후 UCLA 점수로 평가했을 때 20례에서 우수(good) 또는 매우 우수(excellent), 3례에서는 양호(fair)를 나타냈다. 19례에서는 수상 이전 활동으로 복귀하였고, 많은 활동량을 가졌던 환자에서는 활동복귀 정도가 낮았다(p=0.034) 미세하게 전이된 대결절 골절 후에 만성견관절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에서는 반드시 회전근개의 부분 파열을 고려해야 하며 이때 관절경적 변연 절재술 또는 봉합술이 적절한 치료법이다.

  • PDF

화농성 고관절염의 관절경적 처치 (Arthroscopic Management of Septic Coxitis)

  • 문영래;이상홍;조삼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4-147
    • /
    • 2000
  • 목적 : 화농성 고관절 질환에 대한 치료 중 관절경적 처치의 방식을 제시하고, 경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급성 성인형 화농성 고관절염 환자 9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관절 천자와 임상 검사에 의해 확진되면 즉시 응급으로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 및 세척술을 시행하였고, 술후 적혈구 침강 속도 및 C-반응성 단백의 수치를 검사하면서 경과 관찰을 시행하였다. 결과 : 혈액 검사상 적혈구 침강 속도의 정상화는 11.9일, C-반응성 단백은 평균 8.9일이 소요되었다. 1년 추시 결과 전례에서 관절 기능이 정상이었으며, 혈액 검사상 감염의 증거를 발견 할 수 없었다. 결론 : 화농성 고관절염 환자에서 시행되는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 및 세척술은 개방적 관절 절개 술식에 비해 관절 주변의 구조물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방식 줌의 하나로 사료된다.

  • PDF

척골 신경 병증을 동반한 주관절 퇴행성 관절염에서 최소 절개 척골 신경 감압술과 동시에 시행한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rthroscopic Debridement with Mini-Open Ulnar Nerve Decompression in Primary Osteoarthritis of the Elbow with Ulnar Neuropathy)

  • 제갈믿음;유건웅;박성배;김종필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5-24
    • /
    • 2017
  • 목적: 척골 신경병이 동반된 주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에서 최소 절개 척골 신경 감압술과 동시 시행한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5월부터 2014년 7월까지 43명을 대상으로 최소 절개 신경 감압술만 시행받은 18예를 1군,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과 신경 감압술을 동시 시행받은 25예를 2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술 전과 술 후 6개월의 통증 점수, 관절 운동 범위,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McGowan grade, Bishop rating score를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통증 점수, 관절 운동 범위, MEPS, DASH 호전 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McGowan grade는 각각 1예를 제외하고 모두 1등급 이상의 호전을 보였으나 2군이 유의하게 더 우수하였고(p=0.001), Bishop rating score도 2군이 유의하게 더 우수하였다(p=0.036). 결론: 척골 신경병이 동반된 주관절 퇴행성 관절염에 대하여 최소 절개 척골 신경 감압술과 동시에 시행한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은 관절 기능 향상과 척골 신경 회복에 유용한 술식이다.

거골 박리성 골 연골염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Talus)

  • 최종혁;천용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1-170
    • /
    • 2002
  • 목적 : 관절경을 이용한 거골 박리성 골연골염의 단순 절제술 후 그 결과를 알아보고 이차 관절경을 통하여 결손 부위의 육안 및 조직학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관절경으로 유리체 및 괴사 골 조직을 제거한후 출혈되는 기저부를 남겨두고 치료한 2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임상적 및 기능적 평가를 하여 수술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7예에서 이차 관절경을 술 후 3개월에서 8년 사이에 시행하여 병변 부위의 관찰 및 타 부위의 이차적인 병변을 관찰하였으며, 생검을 시행하여 결손부 재생 조직에 대한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추시 관찰은 평균 42개월(14개월$\~$8년) 이었다. 결과 : 최종 추시 관찰에서 Ankle-hindfoot(100점) 점수는 술 전 67점에서 술 후 82점으로 의미있는 호전을 보였고(p<0.003), 주관적 및 기능적 평가(100점)상 술 후 평균 82점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이차 관절경상 결손부는 섬유성 조직으로 채워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섬유성 조직보다는 섬유 연골 조직이 증가되는 소견을 보였다. 술 후 특이한 이차적인 병변의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관절경을 이용한 거골 박리성 골연골염에 대한 단순 절제술은 결손 부위를 남겨 놓고 치료하는 방법이나 이차적 병변의 발생없이 결손부가 채워지는 소견을 보여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 PDF

Degeneration Exists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Supraspinatus Tendon in Patients with a Rotator Cuff Tear

  • Jo, Chris Hyunchul;Chang, Mee So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8권2호
    • /
    • pp.61-67
    • /
    • 2015
  • Background: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rotator cuff tendon degeneration with respect to harvesting location, to determine a rationale for debridement of the torn end, and thus, to determine adequate debridement extent. Methods: Twenty-four patients with a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 were included in the study. Tendon specimens were harvested during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from three locations; from torn ends after minimal regularization of fraying (native end group, NE group), from torn ends after complete freshening of the frayed end (freshened end group, FE group), and from the macroscopically intact portion just distal to the musculotendinous junction (musculotendinous junction group, MTJ group). Control samples were harvested from patients admitted for surgery for proximal humerus fracture. Harvested samples were evaluated using a semi-quantitative grading scale. Results: Mean total degeneration scores in the NE group ($13.3{\pm}3.21$), the FE group ($12.5{\pm}2.30$), and in the MTJ group ($10.8{\pm}3.10$)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control group ($5.0{\pm}2.87$; all p<0.001). Mean total degeneration score in the N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MTJ group (p=0.012), but was not from that of the FE group. Mean total degeneration score in the FE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MTJ group. Conclusions: Tendon degeneration exists throughout the entire tendon to the macroscopically intact portion of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 Therefore, aggressive debridement to grossly normal appearing, bleeding tendon is unnecessary for enhancing healing after repair.

견관절의 화농성 및 결핵성 복합 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 증례보고 - (Arthroscopic Treatment of Mixed Pyogenic and Tuberculous Arthritis of Shoulder Joint)

  • 고상봉;김신근;최원기;박재현;최창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9-133
    • /
    • 2008
  • 결핵은 새로운 항결핵제의 개발, 생활 여건의 향상, 예방 대책의 발달로 유병률이 적어진 질환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최근 예방 접종률의 저하와 항결핵제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가 출연하는 등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며 또한, 견관절 질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일차 치료로써 다양한 견관절내 주사 치료가 시행되면서 화농성 견관절염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저자들은 견관절의 결핵과 화농성 관절염이 동반 감염된 증례를 경험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관련 문헌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중족지 관절경을 이용한 Freiberg 병의 치료 -1예 보고- (Treatment of Freiberg Disease with Metatarsophalangeal Arthroscopy - A Case Report-)

  • 안재훈;이승훈;이광원;최원식;감병섭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9-62
    • /
    • 2007
  • Freiberg 병은 비교적 드문 골연골증으로 주로 사춘기 여자의 제2 중족골 두에서 발생한다. 그 치료는 다양하여 관절내 유리체 제거술, 골두 절골술 또는 골두 절제술 등의 수술이 시도되고 있다. 관절경을 이용한 치료는 회복 기간을 단축시키는 동시에 술후 발생하는 강직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저자들은 초기의 Freiberg 병에 대해 중족지 관절경을 이용하여 유리체 제거술 및 변연절제술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Longitudinal Supraspinatus Tear Associated with Antegrade Humeral Intramedullary Nailing: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with Focus Placed on Nail Entry Point

  • Shon, Min Soo;Bang, Tae Jung;Yoo, Jae Chul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8권1호
    • /
    • pp.47-51
    • /
    • 2015
  • Iatrogenic damage of the rotator cuff followed by postoperative shoulder function loss is a potential complication after antegrade intramedullary nailing (AIN) for a humeral fracture. The authors present a case of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and subacromial decompression of a non-healed rotator cuff tendon (mainly supraspinatus) and secondary impingement syndrome caused either by the tear or a proud nail after AIN for a mid-shaft humeral fracture. At presentation, the patient complained of right shoulder pain and 'snapping', especially during forward elevation and abduction of the shoulder, of 4 years duration. Right shoulder pain started sometime after pain due to the humeral shaft fracture, operation had subsided, and persisted after nail removal. Arthroscopic findings showed a longitudinal rotator cuff tear at the nail entry point that had not healed and severe fibrous hypertrophy on the acromion underspace, which is a unique finding since most longitudinal splits of tendon fibers are more likely to heal than conventional rotator cuff tears detached from bone. The torn rotator cuff was repaired after debridement and placing side-to-side sutures. At his 34-month follow-up after rotator cuff repair, the patient showed complete recovery and had excellent clinical scores.

회전근 개 부전층 파열: 변연절제술가 봉합술 (Partial thickness tear: Debris vs. Repair)

  • 오정환;박진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4-39
    • /
    • 2005
  • 회전근 개 부전층 파열은 임상적으로 잘 알려진 질환이지만 이에 대한 수술적 치료 원칙은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다. 파열된 회전근 개에 대한 치료법은 단순 변연절제술에서 견봉하 감압술과 퇴행성 파열 부위의 절제 및 봉합술까지 여러 가지 방법이 추천되고 있다. 수술은 관혈적 혹은 소 절개, 관절경적 술식을 시행할 수 있다. 관혈적과 관절경적 방법의 장단점에 따른 치료 방법을 결정할 때 정밀성과 이환률을 고려한다면 비슷한 위치를 가진다. 회전근 개 질환의 이환 정도를 결정할 때 관절면과 점액낭면 양쪽의 회전근 개를 관찰하고 치료 방침을 결정하여야 한다 때때로 파열이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차적인 병인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전층 파열은 일차적인 원인을 치료해야 하지만 심한 부전층 파열이 있는 경우는 관절경적 혹은 관혈적 방법으로 퇴행성 병변이 있는 회전근 개를 치료해야 좋은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Efficacy of the Subclavian Portal Approach in Arthroscopic Repair of Isolated Subscapularis Tendon Tear

  • Chae, Seung Bum;Choi, Chang Hyuk;Jung, Suk-Ha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7권1호
    • /
    • pp.18-24
    • /
    • 2014
  • Backgroun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subclavian portal approach for the arthroscopic repair of isolated subscapularis tendon tear. Methods: We used the subclavian portal to carry out arthroscopic repair of the isolated subscapularis tendon tear. The surgery was carried out in 18 cases (average age of 53) from May 2006 to December 2009 with a mean follow-up period of 35 months. Of these cases, 13 patients had the tear in their dominant arms, 16 were male, and 12 were from traumatic ruptures with on average 7.6 months of symptom period to operation. Additional surgery, acromioplasty and subacromial debridement, were carried out on 4 cases each during the subscapularis repair. The integrity of cuff status was assessed by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at 6 months and at 1 year after operation. Results: The initial average range of motion in forward flexion, external rotation, and internal rotation were $160^{\circ}$, $50^{\circ}$ and L4, respectively. At the 1 year follow-up period, these improved to $160^{\circ}$, $52^{\circ}$ and T12, respectively. The initial average functional scores were assessed by KSS, ASES, UCLA, and Constant scoring systems, which were 67, 60, 26, and 65, respectively. These scores improved progressively with time. At 3 months after operation, the scores were 74, 67, 27, and 74; at 6 months, 83, 77, 31, and 75; at 1 year, 88, 86, 32, and 79; and at the final follow-up of 35 months, 84, 92, 34, and 84. Conclusions: In the repair of isolated subscapularis tendon tear, the subclavian portal approach provided a good angle for anchor insertion and sufficient space to manage the upper portion of the tendon tear. In turn, these provisions resulted in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