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hroscopic Treatment of Symptomatic Shoulders with Minimally Displaced Greater Thberosity Fracture

상완골 대결절의 미세전위골절의 관절경적치료

  • Kim Seung-H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ung Kyun Kwan University, Samsung Medical Center) ;
  • Ha Kwon-Ic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ung Kyun Kwan University, Samsung Medical Center)
  • 김승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하권익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Twenty-three patients with chronic shoulder pain beyond 6 months after the fracture of the greater tuberosity underwent arthroscopic treatment and were retrospectively assessed after an average of 29 months(range, 22 to 40 months). There were 18 men and 5 women with the average age of 39 years(range, 24 to 61 years). Fourteen were isolated fractures and nine were related to acute anterior instability episode. The average displacement of the fracture was 2.3mm(range, 0 to 4mm) on the anteroposterior view of the plane radiographs. At the time of arthroscopy, all patients had partial thickness rotator cuff tears in the articular surface. The cuff tears were located on the tuberosity fracture area and were an Ellman's grade I to n in depth. With the arthroscopic debridement or repair of the tear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tear itself, as well as the subacromial decompression, the UCLA score revealed good to excellent results in 20 and fair in 3 patients. Nineteen of the patients had returned to the previous level of activities. The patient with a higher activity demand revealed a lower level of activity return(p=0.034). The partia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chronic shoulder pain after the minimally displaced fracture of the greater tuberosity, and arthroscopic debridement or repair is an appropriate procedure.

상완골의 대결절 골절 후, 6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견관절 동통을 호소하는 총 23명의 환자에 대해 관절경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평균 29개월(22~40개월) 후에 후향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환자군의 연령은 24세에서 61세까지로 평균 39세였으며 남자가 18례 여자가 5례였다. 이중 14례는 단독골절 이였고 9례는 급성전방 불안정성과 연관이 있었다. 단순방사선 전후방 사진상에서 골절의 평균 전이는 2.3mm(0∼4mm)였다. 관절경을 시행하였을 때 모든 환자에게 관절면 쪽으로 치전근개의 부분 파열이 있었고,그 깊이는 Ellman I도에서 Ⅱ도였다. 관절경적 견봉하 감압술과 함께, 파열된 정도에 따라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 또는 봉합술을 시행한 후 UCLA 점수로 평가했을 때 20례에서 우수(good) 또는 매우 우수(excellent), 3례에서는 양호(fair)를 나타냈다. 19례에서는 수상 이전 활동으로 복귀하였고, 많은 활동량을 가졌던 환자에서는 활동복귀 정도가 낮았다(p=0.034) 미세하게 전이된 대결절 골절 후에 만성견관절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에서는 반드시 회전근개의 부분 파열을 고려해야 하며 이때 관절경적 변연 절재술 또는 봉합술이 적절한 치료법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