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hroscopic debridement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1초

슬관절의 관절경적 변연절제술 (Arthroscopic Debridement of the Knee Joint)

  • 서정탁;박병국;송진헌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9-163
    • /
    • 1998
  • We reviewed the cases of 35 knees of 34 patients who had arthroscopic debridement for degenerative osteoarthritis of the knee.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n average of 29 months (range: 13 months to 45 month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at operation was 54 years (range: 44 years to 75 years). At the time of follow up, the patients were evaluated using the nine-point scale by Baumgaertner et al. We divided the knee into 4 stag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Jackson et al. Satisfactory results were achieved in 80%(stage I), 75%(stage II), 55.6%(stage III) and 25%(stage IV) of the patients. Arthroscopic debridement is of significant value in the earlier stages of degenerative osteoarthritis (stage I and II) for the symptom relief as a simple procedure with rare complication as well as in the later stages(stage III and IV) as a time buying procedure before the total knee arthroplasty.

  • PDF

반월상 연골 동종 이식술 후 발생한 화농성 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 증례 보고 - (Arthroscopic Treatment of an Acute Septic Arthritis after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 A Case Report -)

  • 김엽;윤정로;서동훈;장형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3-67
    • /
    • 2009
  • 21세 남자 환자로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발생한 급성 화농성 관절염에 대해 반복적 관절경하 변연 절제술 및 세척술을 이용 성공적으로 치료 하였던 증례에 대해 보고 하고자 한다. 저자들의 치료 과정은 관절경을 이용한 변연 전제술과 10L 식염수 세척술, 5회의 반복적 관절경 시술, 항생제 정맥 주사로 진행하였다. 반복적 관절경 시술은 임상적 소견과 검사실 결과을 기준으로 결정하였다. 본 증례는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발생한 급성 화농성 관절염의 치료로 조기에 시행한 관절경 변연 절제술 및 세척술, 이후의 반복적 관절경하 세척술이 효과적 치료 방법의 하나로 고려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내측으로 퇴축된 대범위 회전근 개 파열 (Medial Retracted Large Rotator Cuff Tears)

  • 고상훈;차재룡;김태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2-219
    • /
    • 2009
  • 내측으로 퇴축된 대범위 이상의 회전근 개 파열은 대범위 파열과 광범위 파열, 봉합이 불가능한 파열을 포함한다. 봉합 이 가능한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절경 하 봉합술이나 개방적 봉합술을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관절경 감시하의 봉 합법은 무척 인내를 요하며 장기간의 긴 학습곡선을 필요로 한다. 봉합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관절경 하에서 변연절제술(debridement)이나 부분 봉합술(partial repair)을 시행할 수 있고, 때로 광배근 이전술이나 역형 인공관절술을 시행할 수 도 있다. 관절경 하에서 변연절제술(debridement)은 국소 마취제의 견봉하 주사후에 통증의 완화와 운동범위의 향상을 경험한 환자들에게 일시적인 호전을 얻을 수 있다. 역시 봉합이 불가능 할 경우에 관절경하에서의 부분 봉합술(partial repair)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견갑 신경의 신연에 의한 생리적 신경차단(suprascapular nerve traction neurapraxia)이 있는 경우에 특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건 이식은 수평까지 어깨를 들어 올릴 수 있을 정도의 경도에 서 중등도 근력 약화의 경우에 장기적인 치료로 사용될 수 있다. 전상방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하여 대흉근(Pectoralis major sternal head)의 근 이전술이 사용될 수 있으며, 후상방 회전근 개 파열의 경우에는 광배근(Latissimus dorsi) 근 이전술이 사용되고 있다. 역 견관절 치환술(Reverse Shoulder Prosthesis)은 어깨 관절의 근력이 극도로 약화된 가성 마비 (pseudoparalysis)에서 유용한 치료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자들은 내측으로 퇴축된 대범위 이상의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하 봉합법의 시행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봉합이 불가능한 파열의 경우에 변연절제술, 부분 봉합 및 건 이전술과 역 견관절 치환술의 이용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 PDF

상부 견갑하 건 완전파열의 관절경 하 봉합술과 변연절제술의 전향적 비교 (Prospective Comparative Study of Arthroscopic Repair Versus Debridement for the Full-Thickness Tear of Upper Subscapularis)

  • 고상훈;차재룡;이채칠;박한창;신승명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79-85
    • /
    • 2010
  • 목적: 견갑하근 상부의 완전 파열 시 봉합나사를 이용한 파열 부 봉합술과 변연절제술을 비교하여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본원에서 견갑하근 상부의 완전 파열에 대해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 감시하의 봉합술을 시행한 69예와 변연절제술을 시행한 30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견갑하근 손상의 범위는 상부 1/3인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의 판정은 최초 내원 시점과 최종 추시의 UCLA 와 ASES 중 일상생활지수 (ADL)과 통증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1군과 2군 모두 UCLA, ASES score, ASES score 중 통증에 대한 VAS 점수, 5점을 만점으로 한 내 회전 근력평가평가에서 술 전 보다 술 후 결과가 향상되었다. 1군과 2군의 비교에서 술 후 UCLA 및 VAS 점수는 p>0.05로 차이가 없었고, ASES점수 및 내 회전 근력에 대한 평가는 p<0.05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결론: 견갑하근의 상부 완전파열 시 견갑하근 봉합술은 단순 변연절제술보다 좋은 치료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다.

관절경적 감압술에 의한 견봉하 충돌증후군의 치료 (Arthroscopic Decompression of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 김성재;김범수;최남홍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1995년도 학술대회
    • /
    • pp.13-13
    • /
    • 1995
  • The authors performed the arthroscopic decompression and cuff debridement on 47 cases in 45 consecutive patients with either stage II or stage III impingement syndrome from July 1990 to January 1994.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1. 47 cases in 45 consecutive patients had arthroscopic decompression for the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2. There were 31 males and 14 females and the mean age was 40 years for men and 46years for women. 3. The follow up duration was from 3 years 9 months to 1 year (average 2 years 1month). 4. Among 47 cases, 19 cases were found to have no cuff tear (stageII) 13 cases partial thickness cuff tear (stage IIIa) 10 cases complete tear on cuff less than 3 cm long (stage IIIb) and 5 cases complete tear on cuff more than 3 em in length (stage IIIc). 5. The arthroscopic subacromial decompression and rotator cuff debridement was a good treatment method in stage II and stage IIIa and stage IIIb. in the case of stage IIIc rotator cuff tear, it was useful for pain relief and improvement of shoulder function.

  • PDF

거골 골연골 병변에 대한 관절경적 골연골성형술 (Arthroscopic Osteochondroplasty of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 이명진;김성수;왕립;이철원;유성곤;황진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4-139
    • /
    • 2012
  • 목적: 거골의 골연골 병변 환자에서 관절경적 골연골성형술의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부터 2007년까지 거골의 골연골 병변으로 관절경적 골연골성형술을 시행한 48예 중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환자 3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48(38-108)개월이었고 남자가 22예, 여자가 10예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34(20-56)세였다. 단순 방사선 사진 및 자기공명영상에서 병변의 위치를 확인하고 Berndt와 Harty의 방법으로 분류하였으며 전 예에서 관절경적 변연절제술 또는 미세골절술을 시행하였다. 미국정형외과족부족관절학회의 족관절-후족부 점수(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hindfoot scale)와 Kaikkonen의 주관적 및 기능적 점수(subjective and functional score)를 이용해 족관절의 기능을 평가하였고, 관절경적 미세골절술을 시행한 22예와 변연절제술을 시행한 10예를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족관절-후족부 점수는 술 전 53(${\pm}7$)점에서 최종 추시 84(${\pm}8$)점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P<0.001) 평균 주관적 및 기능적 점수도 술 전 55(${\pm}8$)점에서 최종 추시 88(${\pm}8$)점으로 술 전에 비해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01). 병변의 심한 정도와 술 후 족관절의 기능 점수와의 연관성은 없었으며(P>0.05) 관절경적 미세골절술을 시행한 군과 변연절제술을 시행한 군간의 결과 비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거골의 골연골 병변 환자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골연골성형술은 환자의 만족도와 기능적인 면에서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변연절제술과 미세골절술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PDF

관절경적 견봉하 감압술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 (Prognostic Factors for Arthroscopic Subacromial Decompression)

  • 김성재;신상진;박문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권2호
    • /
    • pp.93-98
    • /
    • 199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gnostic factors for arthroscopic subacromial decompres­sion and rotator cuff debridement in impingement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 Arthroscopic subacromial decompression with or without rotator cuff debridement was performed in 46 cases of 44 consecutive patients with either stage n or stage ill impingement syndrome.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by Neer's stage and size of tear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Cofield. The results were assessed with UCLA rating scale. We used repeated measures ANOVA and Chi-square test to assess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and six variables including stage, rotator cuff tear size, age at the operation, duration of symptom, throwing sports activity, and trauma history. The follow-up period averaged 53 months(range, 27 to 92 months). Results: Lower stage by Neer's stage was correlated with higher postoperative scores and with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cores of UCLA rating scale. However, other factors did not show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results. The patients with complete rotator cuff who showed satisfactory results after procedures were older and had shorter symptom duration, small cuff size. Conclusions : In patients with impingement syndrome treated by arthroscopic debridement and subacromial decompression, superior results were obtained when belonged to a lower Neer stage and when the rotator cuff was only partially tom. In cases with complete rotator cuff tear, higher success rates were obtained with smaller tear sizes. Age at operation, duration of symptoms, throwing athlete, traumatic tear did not affect the results.

  • PDF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변연절제술 및 결절성형술 (Debridement or Tuberoplasty for Massive Rotator Cuff Tear)

  • 조남수;오현섭;이용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146-152
    • /
    • 2010
  • 목적: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여러 가지 수술 방법 중 고령의 봉합이 불가능한 파열에 대해 시행하는 단순 변연절제술 및 결절성형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봉합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여러 수술 방법 및 치료 방법의 선택에 대하여 문헌을 검토하고 정리하였다. 특히 고령의 봉합이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시행할 수 있는 단순 변연절제술 및 결절성형술에 대해 연구 발표된 논문을 조사하여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또한 본 저자들의 교실에서 회전근 개의 심한 퇴축으로 도저히 봉합이 불가능하였던 32예를 대상으로 시행된 관절경적 결절성형술의 수술 방법을 소개하고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에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 29개월 (13~52개월) 추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통증의 감소와 능동적 거상 운동 범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능적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수술 전 견봉-상완 간격이 2 mm 미만으로 좁았던 경우에는 수술 후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광범위 파열의 관절경적 치료에 있어, 일단 회전근 개 유리술 후 봉합이 가능한 경우는 최대한 봉합술을 시도해 볼 수 있으며, 봉합이 불가능한 광범위 파열의 경우에는 무리하게 일차 복원술을 시도하기 보다는 수술 전 통증은 있으나 90도 이상 능동적 전방 거상이 가능하고 방사선 사진상 견봉과 상완골 두 사이 간격이 2 mm 미만으로 좁아지지 않은 경우에는 견봉성형술을 포함한 관절경적 결절성형술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당뇨병 환자에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 발생한 화농성 견관절염의 치료 - 증례 보고 - (Treatment of the Septic Shoulder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in Diabetes Mellitus - A Case Report -)

  • 박재현;최원기;김세식;최창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2-76
    • /
    • 2009
  • 당뇨환자로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 후 견관절의 화농성 관절염으로 진단된 2예에 대해 관절경적 치료 및 추가적인 개방성 치료를 시행하였다.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 감염은 평균 18일 뒤에 발생하였으며, 증상 발현으로부터 수술까지의 평균 기간은 65일이었다. 또한 기능 평가는 KSS, ASES, UCLA, Constant 점수를 이용하였다.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과 추가적인 시술 후 평균 22.5일의 항생제 치료로 4개월에 염증이 치료되었으며 최종 결과는 KSS점수가 82점, UCLA점수가 33점, ASES점수가 91점, Constant점수가 71점이었다.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 발생한 화농성 견 관절염은 관절경적 치료 및 추가적인 시술로 치료되었고, 관절 운동 범위 및 기능적 결과와 통증 및 만족도는 많이 개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