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emisia japonica ssp. littoricol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Phytochemical Constitutes of Artemisia japonica ssp. littoricola

  • Kwon, Hak-Cheol;Lee, Kang-R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194-197
    • /
    • 2001
  • The phytochemical study of the aerial parts of Artemisia japonica ssp. littoricola (Asteraceae) led to the isolation of two acetylenic compounds, (3R)-dehydrofalcarinol (2) and (3R)-dehydrofalcarindiol (6), two sesquiterpenes, $1{\beta}$, $6{\alpha}$-dihydroxy-4(15)-eudesmene (5) and oplodiol (8), and four phenolic compounds, eugenol (1), vanillin (3), 3'-methoxy-4'- hydroxy-trrans-cinnamaldehyde (4) and p-hydroxyacetophenone (7).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chemical and spectroscopic methods.

  • PDF

독도(동도)의 식물상과 식생분포 (The Flora and Vegetation Distribution in Dokdo)

  • 김명현;오영주;김창석;한민수;이정택;나영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5-93
    • /
    • 2007
  • 독도는 한반도와는 다른 기후와 토양특성으로 인하여 독특한 식물상 및 식생군락이 발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독도에 서식하고 있는 식물종을 밝히고, 이들 식물들이 형성되어있는 상황을 식물사회학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도(동도)에서 24과 41속 36종 8변종 총 44종류가 확인되었다. 본 조사에서 참새귀리 및 개보리, 좀명아주, 애기똥풀 4종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동도의 식생군락은 개밀군락, 왕김의털-갯제비쑥군락, 참억새군락, 쑥군락, 해국-땅채송화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군락들 중에서 독도의 전역에 걸쳐서 토양 발달이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해국-땅채송화군락만이 독도의 원식생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현재 독도에는 외부 토양의 유입 및 외부인들의 출입 통에 의해서 개밀군락이 만연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앞으로 이와 같은 행위들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독도에 새로운 식물종의 유입은 물론 새로운 식생유형으로의 변화도 일어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