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Village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1초

울산달리농악의 연행 현황과 판제 (Current Status and Practices of 'Dali Village Farm Music')

  • 최흥기;최호곤;오현정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835-861
    • /
    • 2019
  • 1960년대 울산은 한국 경제개발의 선도적 입지로 공업과 산업도시로 선정되었고, 이에 많은 노동인구가 유입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 환경은 급격하게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특히 그 변화는 이 지역의 전통적 풍속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이와 함께 전래된 무형문화는 사라지거나 소멸되었다. 이러한 급박한 상황에서 울산의 무형문화유산은 타 지역에 비해 긴급으로 보호해야 할 필요성을 가진다. 이 연구는 1930년대에 울산 달리지역에서 이루어진 마을농악을 분석하여, 이를 연행하기 위한 상황과 판제를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은 먼저 문헌연구로 조선시대 울산 최초의 사찬 읍지인 학성지(1749, 영조 25년)와 1936년 울산 달리마을의 농경과 이와 연계한 농악을 분석하였다. 둘째, 현장조사는 현재 울산남구문화원에서 울산달리농악을 복구하는 현황을 토대하였다. 연구의 성과는 급격하게 사라져가는 울산지역 농악의 현황과 판제를 고찰하고, 울산문화원에서 활동했던 농악 전승자인 고 '김달오'에게 계승한 김세주의 울산달리농악에 관한 연행을 밝혔다.

중국 민속(民俗)마을의 전통(傳統)색채 분석에 관한 연구 - 북경(北京)시 문두구(門頭溝)구 천저하마을(爨底下村)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Traditional Color Analysis of Chinese Historic Village - Focus on Cuandixia Village of Mentougou District in Beijing -)

  • 마원;임진강;김동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12-128
    • /
    • 2015
  • 본 연구는 전통민속마을에 대한 정체성을 고찰하고자 중국 천저하 민속마을을 대상으로 전통 민속마을의 색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한국표준색분석(KSCA: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색채를 분석하고 'I.R.I 형용사 Image Scale'을 통해 색채이미지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로 첫째, 천저하마을의 색상 분포는 YR, R, Y, GY 계열의 순으로 나타났고, G계열과 BG계열, B계열은 전혀 나타나지 않은 반면 YR계열의 색상이 많은 것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둘째, 명도와 채도에 있어서는 전체가 중명도와 저채도에 해당하는 색채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상업고택에서만 고채도가 추출되었고 나머지는 모두 저채도 위주의 중 저채도의 색채로 이루어져 있었다. 셋째, KS계통색(KS Color System)의 분석 결과 대부분 어두운 색이 도출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어두운 적회색과 갈회색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마을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정적이고 딱딱한 분위기이고 점잖은 이미지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전통마을의 보전 관리에 있어 추출 된 색채 팔레트를 참고하여 국가와 지역적 특색이 반영된 색채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더불어 해당 마을의 문화가 반영된 색채는 보전하고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한 색채계획을 적용한다면 민속마을의 정체성 있는 색채 연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물류활동에 종사하는 트럭의 효율성: 데이터 포락 분석 활용 (Efficiency of trucks in logistics: An evaluation with Data Envelopment Analysis)

  • 김태호;최광호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79-684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a scheme to estimate the technical efficiency of trucks in logistics as performance measure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e result of technical efficiency estimation shows that there exists a substantial opportunity for improvement in technical efficiency of trucks and also the heterogeneity in the technical efficiency among trucks.

  • PDF

경북 동해안별신굿 맞굿의 전승 양상과 의미 (Transmission Pattern and Meaning of Gyeongbuk East Sea coast Byeolsingut matgut - Focusing on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of gut and shaman)

  • 마소연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393-413
    • /
    • 2019
  • 맞굿은 주로 10년 두리로 굿을 거행하는 영덕과 울진의 해안 마을에서 연행된다. 맞굿은 1)무당 맞이, 2)당신(堂神)에게 고함, 3)무당소개와 패기 보기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맞굿이 연행되는 이유는 마을에 따라서 당주가 없거나, 당주가 있더라도 큰굿을 연행할 능력이 부족할 경우 굿을 연행할 무당을 섭외해 맞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당주무의 역량에 충분하더라도 별신굿은 많은 수의 무당이 필요하기 때문에 여러 무당을 섭외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항상 맞이해야 할 무당이 있을 수밖에 없고, 일부 경북 해안 마을에서는 그 무당들을 대상으로 하는 맞굿이 연행된다. 별신굿이 세월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듯이 맞굿 역시도 변화하고 있는데, 2000년대 이후 맞굿은 별신굿의 전체 일정이 갈수록 짧아지면서 2)당신에게 고함 3)무당소개와 패기보기 절차가 사라지고 있다. 2000년대 이후 맞굿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중요한 변화는 맞굿 연행 담당이 달라졌다는 것이다. 옛날에는 마을 사람들이 연행의 주체로서 부족하나마 그 역할을 성실히 수행했다. 그런데 최근에는 마을에서 점차적으로 농협 풍물단 등 외부에서 사물놀이패를 초청하여 맞굿을 연행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맞굿은 속(俗)의 영역에 있는 무당들을 성의 영역으로 편입시키는 일종의 통과의례로써 연행하게 된다. 또, 맞굿은 무당패의 능력을 확인하는 절차로도 활용되었다. 그러나 굿에 대한 인식이 전통 예술로 변화하고, '굿박사' 어르신들도 얼마 남아 있지 않다보니 점차 맞굿은 마을 외부의 존재인 풍물단과 무당패가 흥겨운 분위기를 만드는 정도의 절차로 변화하고 있다. 또 굿의 주관을 대부분 무집단에게 일임하고, 굿의 의미와 목적을 모른 채 연행되다보니 굿거리의 형식조차도 온전히 지켜지지 못하고 있다. 오랫동안 경북 동해안 별신굿의 주요한 특징으로 거론되어 오던 맞굿은 이제 과거의 그 목적과 기능을 점차 잃어가고 있으며, 이제는 한바탕 신나는 놀이판을 형성하는 굿거리로 변화하고 있다.

한국 현대시에 수용된 마르크 샤갈 그림 - 김영태 시집 "유태인 사는 마을의 겨울" 김춘수 시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이승훈 시집 "시집 샤갈$\lcorner$에 수용된 샤갈의 그림세계 (Mark Chagall's Paintings Transferred into Contemporary Korean Poems: Youngtae Kim's Anthology, Winter in the Village of Jews, Chunsoo Kim's "Snow Falling on the Village of Chagall," and Sunghun Lee's Anthology, Poetic Anthology of Chagall)

  • 윤호병
    • 인문언어
    • /
    • 제1권1호
    • /
    • pp.141-157
    • /
    • 2001
  • In his discussion of some desirable tuning points in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Henry H. H. Remark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iterary approach to other forms of art.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such a method of comparative literature, the present study focusses on three contemporary Korean poets who have transferred Mark Chagall′s paintings into their poetry: Youngtae Kim, Chunsoo Kim, and Sunghun Lee. They are usually evaluated as surrealist/modernist in our literary circles. In transforming Chagall′s paintings into his poems, Youngtae Kim has incorporated a variety of surrealist mosaic techniques such as montage and collage. The resultant peculiarity of his poetry makes it hard to lay bare the correspondence or similarities between his poetic world and the world of Chagall′s artistry. It is nonetheless possible to see how Kim, as a poet and painter, had interpreted Chagall′s world with a bird′s-eye view of it. Chunsoo Kim′s "Snow Falling on the Village of Chagall" relates specially to one of Chagall′s paintings, "I and My Village." The present study has taken notice of this correlation in sorting out some basic elements of poetic transfiguration. One of the techniques employed in the poem under discussion is that of juxtaposing the Russian village of Chagall and the Korean village the poet visualizes, with the effect of putting two national traditions in contrast. A reading of the poem reveals that it is not so much the result of a detailed analysis of the painting as a revival of its lingering impression as a whole. In Sunghun Lee′s poetry, surrealist techniques are again a hallmark. But his method of transferring the images of the paintings into his poems falls somewhere between those of Youngtae Kim′s and Chunsoo Kim′s: it is akin to the ′bird′s-eye method′ of the former and shares the impressionistic touch with the latter, but at the same time Lee is analytical by disposition and opts for concrete descriptions. ′Love,′ ′farm,′ and ′time′ are the keywords that are brought under discussion in the present study. There is a growing demand in the current international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for broadening the area of comparative literature. This study hopes to be a small contribution to endorsing the importance of comparative approach to fine arts.

  • PDF

전원마을 이주 학부모의 자녀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xperience of Parents Who Moved to Rural Village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 신미숙;길양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155-162
    • /
    • 2020
  • 우리는 이 연구에서 전원마을에 이주하여 살고 있는 학부모의 자녀교육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자녀교육을 위해 도시로 이주하는 일반적인 경향과 달리 자녀의 교육을 위해 전원으로 이주하는 것은 특이 현상이기 때문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전원마을로 이주한 초등학생 학부모 6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자녀교육 경험에 대해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원마을 이주 학부모의 자녀교육 관련 경험에서 30개의 주제, 8개의 주제묶음과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전원 이주 학부모의 행동을 설명하는 대주제는 '전원에서의 삶에 대한 그리움', '소통과 공감의 경험', '자녀의 행복 중시 교육' 등이다. 그 하부에 속한 8개의 주제묶음은 '아파트의 답답한 환경이 싫음', '어릴 적 전원생활에서의 긍정적 경험', '다양한 직간접 경험을 중시함', '자유롭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전원 환경', '이웃과 소통하고, 공감하는 경험', '부모 욕심으로 인한 사교육에 대한 후회', '아이 중심 교육 중시', '인성과 예체능 중심의 자기공부 지향' 이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원마을 이주 학부모의 자녀교육 경험이 교육실제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한국농촌지역 전통주택과 마을입지의 이기풍수(理氣風水) 해석 - 의성 김씨 종택을 중심으로 - (A location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and farm village based on the Eagi(理氣)theory in Feng Shui : Case study on the head family house of Mr. Kim located in Uisung County, Kyongsang Province)

  • 권영휴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1권1호
    • /
    • pp.3-1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ize the 'Eagi(理氣)' theory in Feng Shui which has been neglected in Korea because of its difficulties in the current Feng Shui theory and to make it easier to apply in the art of placement. The study also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of a sample village in terms of Feng Shui. Besides the placement analysis, the interpretation of the Yangtaek(陽宅) theory was analysed on the layout of the outdoor space of the building. As the initial step, various theories about Feng Shui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ose, the framework of the Feng Shui theory was summarized for application to the case study. Yangtaeksamyo(陽宅三要) was referred to for consideration of Feng Shui theory outside the residential buildings. At the same time, configurational analysis of the ground was carried out with the naked eye and actual measurements were taken using a specific compass(佩鐵).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Eagi' theory in Feng Shui, which finds a 'lucky site(穴)' selects the 'geomagnetic aspect(坐向)' by analyzing the natural forces of wind and water. In this theory, the aspect was regarded of most importance. 'Yangtaek Feng Shui (陽宅風水)' was the theory that people's ups and downs depends on the direction of the place where they live on, and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I ching(周易)'. Second, the village and the house in the case study have been considered as lucky places from old times and this was equally verified by the 'Eagi (理氣)' theory and the "Yangtaek (陽宅)' theory.

문화유산 광희문(光熙門)의 관광자원화를 위한 공간 활성화 콘텐츠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to Vitalize the Space for Making Traditional Gwangheemun A Tourism Resource)

  • 김지은;박은수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3권
    • /
    • pp.95-109
    • /
    • 2016
  •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서울성곽의 4소문 중 하나인 광희문은 서민을 대표하는 공간으로 조선시대 축성 기술의 변천 과정을 보여 주는 소중한 문화유산으로서 역사와 문화가 한데 어우러지는 소통의 장(場)으로서 역할이 기대되는 곳이다. 그러나 현재 광희문은 주변 환경 낙후와 시설의 노후로 인한 주변 재정비가 요구되며, 지역적 특색이 부각된 새로운 전통 공간 활성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 및 내용과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광희문과 관련된 역사·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아이덴티티를 수립하고 전통문화유산 광희문으로서 공간 활성화 콘텐츠를 제시하여 놀거리와 볼거리, 즐길거리가 있는 역사문화 공간을 창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광희문의 역사문화적 특성을 바탕으로 달빛거리라는 아이덴티티를 부여하고, 광희문 정비계획, 성곽복원계획, 성안마을, 성밖마을, 패션예술거리라는 다섯 가지 공간 활성화 콘텐츠를 개발·제시하였다. 공간 활성화 콘텐츠는 구체적인 도시재생의 개발 방법으로 그 의미가 있으며, 전통 문화재를 중심으로 주변 지역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여 거주자와 방문자 모두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발 방향으로 활용이 기대된다.

지역 생활문화활동의 사회적 효과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cial Effects of Local Living Culture Activities in Daejeon)

  • 임재현;한상헌
    • 지역과문화
    • /
    • 제6권3호
    • /
    • pp.55-77
    • /
    • 2019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민을 대상으로 생활문화활동에 참여하면서 나타난 사회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사회적 효과는 개인적 차원의 창의성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차원의 사회참여와 교류로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효과에 대해 생활문화활동의 참여방식에 따른 효과성을 검정하였다. 이를 위해 SPSS 22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요인분석, 변량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강좌 및 강의 프로그램의 참여는 사회적 차원의 사회참여와 교류의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호회 활동의 참여는 창의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동호회 활동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문화예술행사 관람의 참여는 자아존중감이 증가하고, 문화예술행사의 작품공연 및 전시 참여는 창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서 첫째, 지역주민의 특성과 마을문화의 공동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활문화 프로그램 개발, 둘째, 다양한 공동체적 동호회 활동의 프로그램 지원을 통한 활성화, 셋째, 지역 문화예술 활동가와 지역주민들의 교류와 협력을 통한 마을문화 공동체 형성 지원, 넷째, 젊은 세대와 노인 세대를 위한 생활밀착형, 세대통합형 생활문화 프로그램의 개발과 확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인도네시아 바틱의 전승과 활용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of Batik in Indonesia)

  • 김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76-690
    • /
    • 2013
  • This study explored the historical meaning and the present practices of Indonesian batik.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first; subsequently,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Historically, batik was an integral part of the Javanese court art as well as a representation of each regional culture. Batik also became an important means to reveal a national identity in postcolonial Indonesia in the 1950s. There exist two types of traditional and modern type batik in present Indonesia. The traditional batik refers to batik tulis, batik cap, and the combination of tulis and cap. The modern batik is comprised of a batik print as well as the combination of the print and the traditional batik. The traditional batik was practiced at the small-sized village batik workshops and in the government batik research center. A few batik workshops often co-operate with modern screen print factories; however, the use natural dyes for the dyeing of batik cloth is rarely found. Batik was used for varied objects made from fabric materials that include clothing, small fashion items, living supplies and furniture, as well as fine art such as paintings and wooden craf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