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mission Pattern and Meaning of Gyeongbuk East Sea coast Byeolsingut matgut - Focusing on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of gut and shaman

경북 동해안별신굿 맞굿의 전승 양상과 의미

  • Received : 2019.07.15
  • Accepted : 2019.08.08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As one of a shaman song to reveal features of the byeolsin rite, East Sea coast, Gyeongbuk, Korea is matgut have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The rite is held to greet other shamans who were invited by a village resident and the highest shaman to perform the rite. When there is no highest shaman in the village, or when the highest shaman lacks the ability to perform the exorcism, other shamans are invited if a person is required to meet the scale of the rite, which is a rite of passage to verify their abilities and to become a community, even while the byeolsingut is held. The best shaman team, or village Pungmul team, and shaman team, When the strings are between them, they play music and struggle with each other, and the strings are lifted, they greet the god of the game at the altar, and the shaman turns around and plays with the field. However, the process of greeting the shaman at the exorcism rite after 2000 and the procedure of "Paggi-bogi" in which shamans take turns singing songs are disappearing. In addition, although the village Pungmul team has participated in the rite as a welcoming party for the shaman team, the purpose of the rite, which is to greet the shaman, is also being tarnished by leaving the role of the village Pungmul team to the outside team. This is due to changes in the villagers' perception of gut and shaman. As in the old days, it was necessary to greet a shaman as a rite of worship, although it was not necessary to confirm its ability to perform the rite of the village, due to the disparity of status. However, after the shaman has been transformed from a 'mysterious' existence into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functional owner, the perception of shaman changes and the village confirms the shaman's ability through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certificate. In addition, the number of villagers who know the details of the rite is decreasing, and most of the tasks such as preparation and proceedings of the rite are delegated to the shaman to hold the byeolsingut, and the nature of the exorcism of the exorcism is changing.

맞굿은 주로 10년 두리로 굿을 거행하는 영덕과 울진의 해안 마을에서 연행된다. 맞굿은 1)무당 맞이, 2)당신(堂神)에게 고함, 3)무당소개와 패기 보기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맞굿이 연행되는 이유는 마을에 따라서 당주가 없거나, 당주가 있더라도 큰굿을 연행할 능력이 부족할 경우 굿을 연행할 무당을 섭외해 맞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당주무의 역량에 충분하더라도 별신굿은 많은 수의 무당이 필요하기 때문에 여러 무당을 섭외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항상 맞이해야 할 무당이 있을 수밖에 없고, 일부 경북 해안 마을에서는 그 무당들을 대상으로 하는 맞굿이 연행된다. 별신굿이 세월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듯이 맞굿 역시도 변화하고 있는데, 2000년대 이후 맞굿은 별신굿의 전체 일정이 갈수록 짧아지면서 2)당신에게 고함 3)무당소개와 패기보기 절차가 사라지고 있다. 2000년대 이후 맞굿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중요한 변화는 맞굿 연행 담당이 달라졌다는 것이다. 옛날에는 마을 사람들이 연행의 주체로서 부족하나마 그 역할을 성실히 수행했다. 그런데 최근에는 마을에서 점차적으로 농협 풍물단 등 외부에서 사물놀이패를 초청하여 맞굿을 연행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맞굿은 속(俗)의 영역에 있는 무당들을 성의 영역으로 편입시키는 일종의 통과의례로써 연행하게 된다. 또, 맞굿은 무당패의 능력을 확인하는 절차로도 활용되었다. 그러나 굿에 대한 인식이 전통 예술로 변화하고, '굿박사' 어르신들도 얼마 남아 있지 않다보니 점차 맞굿은 마을 외부의 존재인 풍물단과 무당패가 흥겨운 분위기를 만드는 정도의 절차로 변화하고 있다. 또 굿의 주관을 대부분 무집단에게 일임하고, 굿의 의미와 목적을 모른 채 연행되다보니 굿거리의 형식조차도 온전히 지켜지지 못하고 있다. 오랫동안 경북 동해안 별신굿의 주요한 특징으로 거론되어 오던 맞굿은 이제 과거의 그 목적과 기능을 점차 잃어가고 있으며, 이제는 한바탕 신나는 놀이판을 형성하는 굿거리로 변화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