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rhenius activation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24초

구기자 및 혼합구기자 열수 추출 농축액의 리올로지적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Hot-Water Extractable Concentrates of Boxthorn (Lycii Fructus) and Mixed Boxthorn)

  • 이부용;김흥만;김철진;박무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97-602
    • /
    • 1992
  • 구기자의 이용 및 활용을 확대 증진시키기 위해서 구기자 및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른 생약류가 소량 혼합된 혼합구기자 열수 추출 농축액의 리올로지적 특성을 조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각의 농축액들은 power law model에 잘 적용되어 해석할 수 있었으며, 모두 비뉴톤 유체로서 의가소성 유체의 흐름특성을 보여주었다. 전단속도 1,500 l/s, $20^{\circ}C$ 에서의 겉보기 점도는 혼합구기자 $50^{\circ}Bx(0.1940\;Pa{\cdot}s)$, 구기자 $50^{\circ}Bx(0.0988\;Pa{\cdot}s),$ 혼합구기자 $40^{\circ}Bx(0.0720\;Pa{\cdot}s)$. 구기자 $40^{\circ}Bx(0.0431\;Pa{\cdot}s)$, 혼합구기자 $30^{\circ}Bx(0.0328\;Pa{\cdot}s)$, 구기자 $30^{\circ}Bx(0.0175\;Pa{\cdot}s)$, 혼합구기자 $20^{\circ}Bx(0.0099\;Pa{\cdot}s)$, 설탕용액 $50^{\circ}Bx(0.0078\;Pa{\cdot}s)$, 구기자 $20^{\circ}Bx(0.0074\;Pa{\cdot}s)$ 농축액 순이었다. 농축액들의 항복력은 구기자 열수 추출 농축액이 $0.1286{\sim}6.2532\;Pa{\cdot}s$, 혼합구기자 열수 추출농축액 $0.074{\sim}8.891\;Pa{\cdot}s$이었다. Arrhenius식에 의해 구한 유동 활성화에너지는 $20^{\circ}Bx$에서 $50^{\circ}Bx$로 농도가 증가할 때 구기자 열수 추출 농축액은 $1.6182{\sim}2.0543$, 혼합구기자 열수 추출 농축액은 $1.7057{\sim}2.1462{\times}10^7\;J/kg{\cdot}mol$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구기자 열수 추출 농축액과 혼합구기자 열수 추출 농축액의 리올리지적 특성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 PDF

황화 CoMo/γ-Al2O3 촉매상에서 수첨탈질반응과 수첨탈산소 반응의 상호작용 (Interactions between Hydrodenitrogenation of Pyridine and Hydrodeoxygenation of m-Cresol over sulfided CoMo/γ-Al2O3 Catalyst)

  • 김학수;박해경;김경림
    • 공업화학
    • /
    • 제2권2호
    • /
    • pp.108-118
    • /
    • 1991
  • 황화 $CoMo/{\gamma}-Al_2O_3$ 촉매를 사용하여 473~723K의 온도와 $10{\sim}15{\times}10^5Pa$의 압력 그리고 접촉시간 0.0125~0.03 g-cat hr/ml-feed 범위에서 pyridin의 수첨탈질반응과 m-cresol의 수첨탈산소 반응의 상호작용 및 그 속도론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Pyridin의 수첨탈질반응과 m-cresol의 소첨탈산소 반응의 상호반응을 저지억제하였으며, pyridin에 의한 m-cresol의 수첨탈산소반응의 억제효과는 m-cresol에 의한 pyridin의 수첨탈질반응의 억제효과보다 더 컸으나 반응성은 m-cresol이 더 높았다. Pyridin의 수첨탈질반응 속도식 및 m-cresol의 수첨탈산소반응 속도식을 LHHW 모델을 이용하여 구한 결과 ${\gamma}_{HDN}=k_{HDN}{\cdot}K_pC_p/(1+K_cC_c+K_pC_p)$, ${\gamma}_{HDO}=k_{HDO}{\cdot}K_cC_c/(1+K_cC_c+K_pC_p)$였다. 각 온도에서 반응속도상수 및 흡착평형상수를 구하여 Arrhenius plot 과 Van't Hoff plot을 행하여 구한 활성화 에너지값은 pyridin과 m-cresol이 각각 16.21 Kcal/mole, 13.83 Kcal/mole이었고, 흡착열은 각각 -6.458 Kcal/mole, -5.045 Kcal/mole이었다.

  • PDF

백삼 물추출물의 갈변반응중 갈색도 및 성분의 변화 (Changes in Color Intensity and Components during Browning Reaction of White Ginseng Water Extract)

  • 도재호;김경희;장진규;양재원;이광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80-485
    • /
    • 1989
  • 인삼갈변기작을 연구하기에 앞서 인삼갈변에 따른 갈색도 및 성분변화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circ}C$에서 120시간까지 열처리하여도 갈색화반응은 계속 지속되었으며 갈변에 대한 활성화에너지는 약 16kcal/mole, $Q_{10}$값은 평균치가 $70{\sim}80^{\circ}C$에서는 1.90, $80{\sim}90^{\circ}C$에서는 1.67, $90{\sim}100^{\circ}C$에서는 1.46이었다. 반응액의 pH는 $90^{\circ}C$$100^{\circ}C$의 경우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인삼사포닌 중에는 ginsenoside-Re가 열에 불안정하였으며 diol계 사포닌은 비교적 열에 안정하였다. 항산화능과 DNA 양성물질량은 온도가 높을수록, 반응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folin 양성물질량은 반응초기에 단백질의 침전과 함께 감소했다가 서서히 증가하였다.

  • PDF

진주담치의 마비성패류독의 내열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rmal Resistance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in Blue Mussel)

  • 신일식;장동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799-801
    • /
    • 1990
  • 진주담치의 육속에 함유되어 있는 PSP의 반응속도상수, D-value, z-value, 활성화에너지($E_a$), $Q_{10}$을 조사한 결과 반응속도상수(k)는 $90^{\circ}C$에서 $3.02{\times}10^{-4},\;100^{\circ}C$$4.99{\times}10^{-4},\;116^{\circ}C$$7.38{\times}10^{-4},\;121^{\circ}C$$8.38{\times}10^{-4}(sec^{-1})$이었다. D-value는 $90^{\circ}C$에서 132분, $100^{\circ}C$가 82분, $116^{\circ}C$가 58분, $121^{\circ}C$가 53분이었다. z-value는 $72^{\circ}C$이었으며 활성화에너지($E_a$)는 $3.9{\times}10^7(J/kg\;mol)$이었고 $Q_{10}$은 1.39이었다.

  • PDF

산화 이테르븀의 비화학양론 (Nonstoichiometry of the Ytterbium Oxide)

  • 여철현;김형락;노권선;김규홍;오응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11-516
    • /
    • 1992
  • 산화이테르븀의 비화학양론적 화학식인 YbO$_x$의 x값을 600∼1150$^{\circ}C$ 온도범위와 1.00 ${\times}$ 10$^{-2}$ 산소분압∼대기압 하에서 측정된 결과 1.5543∼1.60794에서 변화되었다. YbO$_{1.5+x'}$로 표시되는 비화학양론적 조성식에서 x'의 생성엔탈피는 위의 산소분압 조건하에서 각각 1.55, 1.18 및 1.05kJ/mol이었다. 이 산화물의 전기전도도는 600∼1100$^{\circ}C$의 온도범위와 1.00 ${\times}$ 10$^{-5}$ ∼ 2.00 ${\times}$ 10$^{-1}$ atm의 산소분압 하에서 반도체 영역인 10$^{-9}$∼10$^{-5}\;{\Omega}^{-1}$ cm$^{-1}$ 범위에서 변화하였다. 전기전도도의 아레니우스 도시는 직선성을 보이며 활성화에너지는 1.7eV이었다. 전기전도도는 산소분압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산소분압 의존성 또는 1/n값은 1/5.3이었다. x값, ${\sigma}$값 및 열역학적 데이타를 사용하여 이 산화물의 비화학양론적 전도성 메카니즘을 고찰하였다.

  • PDF

Pt-Sn/θ-Al2O3 촉매상에서 반응조건에 따른 n-부탄의 탈수소화 반응 (Effect of Reaction Conditions for n-Butane Dehydrogenation over Pt-Sn/θ-Al2O3 Catalyst)

  • 조경호;강성은;박정현;조준희;신채호
    • 청정기술
    • /
    • 제18권2호
    • /
    • pp.162-169
    • /
    • 2012
  • n-부탄의 탈수소화 촉매로 Pt와 Sn을 알루미나 지지체에 담지하기 위하여 함침법을 이용하여 Pt-Sn/${\theta}-Al_2O_3$ 촉매를 제조하였다.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XRD, $N_2$ 흡탈착, $NH_3$-TPD, $H_2$-TPR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Pt-Sn/${\theta}-Al_2O_3$ 촉매상에서 탈수소반응에 대한 활성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서 전처리 온도, 전처리 시간, 반응온도, 공간속도에 따른 촉매의 활성에 대한 영향과 더불어 탈수소 반응에 대한 온도 조건에 따른 반응속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5~55% 부탄의 전환율 변화에 따른 부텐의 선택도 합은 95%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아레니우스식을 이용하여 얻은 활성화 에너지 $82.4kJ\;mol^{-1}$이었고, 멱함수를 이용하여 얻은 n-부탄 및 수소의 반응차수는 각각 0.70과 -0.20차로 나타났다.

향신재료를 이용한 Oleoresin제조에 관한 연구 2. 고추 Oleoresin의 품질안정성 (Studies on Oleoresin Product from Spices 2. Quality Stability of Red Pepper Oleoresin)

  • 배태진;최옥수;박재림;김무남;한봉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09-614
    • /
    • 1991
  • 고추의 효율적인 이용의 한 방안으로서 고추 oleoresin을 제조하여 품질 및 저장 안정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고추 oleoresin을 제조하여 품질 및 저장 안정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고추 oleoresin중 carotenoid의 열안정성은 외기가 질소로 치환된 조건에서 매우 안정하였으며, 가열온도 $100^{\circ}C$에서 3시간 및 10시간 가열 후의 잔존율은 대기중에서는 각각 61.9% 및 42.3%였고 질소 존재하에서는 각각 95.4% 및 92.3%였다. 또한 capsaicin의 경우는 열안정성이 비교적 높아 $100^{\circ}C$에서 3시간 및 10시간 가열할 때의 잔존율은 대기중에서는 84.7% 및 81.3%였고, 질소로 치환된 조건에서는 90.7% 및 87.5%였다. 저장온도($5^{\circ}C,\;25^{\circ}C\;및\;40^{\circ}C$)에 따른 색도의 변화는 Hunter scale로써 나타낼 경우 L 및 b값은 저장일수의 경과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으나 적색도인 a값은 약간 감소하였으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증감의 변화가 다소 컸다. 각 저장온도에서의 carotenoid 파괴는 1차반응에 따랐으며 이 저장온도 범위에서의 활성화에너지는 5.03Kcal/mole이었으며, carotenoid의 잔존율은 저장 60일 후 각각 69.4%, 48.0% 및 35.1%로 저장중 다소 불안정 하였으나, carotenoid의 경우는 각 저장온도에서 60일 후 91.2~97.1%의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어 매우 안정하였다. 저장중 pH의 변화는 저장 60일 동안 $5^{\circ}C$ 저장의 경우는 거의 없었으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pH는 다소 증가하였다.

  • PDF

온도와 수분활성을 달리한 녹차 저장중의 비효소적 갈변 (The Kinetics of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in Green Tea During Storage at Different Water Activities and Temperatures)

  • 김영숙;정연화;전순실;김무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6-232
    • /
    • 1988
  • 변온조건하에서 녹차를 저장하였을 때 수분활성에 따른 browning development를 반응속도론적으로 고찰한 결과 brownung development는 영차반응으로 증가하였으며, 반응속도는 수분활성이 높을수록, 저장속도가 높을수록 빨랐고, 각 수분활성에서의 활성화 에너지는 $1.5{\sim}2.4kcal/mole$, $Q_{10}$치는 $1.07{\sim}1.12$였다. Accelerated shelf-life test로부터 구한 $25^{\circ}C$에서의 shelf-life는 $57{\sim}113$일의 범위였으며, 온도와 수분활성이 증가함에 따라 단축되었다. 변온조건에서의 실측치와 예측치를 비교한 결과 유효온도차는 $2.66{\sim}5.64^{\circ}C$였고, shelf-life는 예측치가 높게 나타났으나 이 방면의 연구가 더욱 진행된다면 변온저장의 결과를 효율적으로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니켈 기반 혼합 산화물의 수소 환원 특성: TPR 및 XRD 연구 (Hydrogen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Ni-based Mixed Oxides: TPR and XRD Study)

  • 류재춘;차광서;이동희;이영석;박주식;김영호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89-97
    • /
    • 2010
  • $Al_2O_3$, $TiO_2$, $ZrO_2$, $Al_2O_3-TiO_2$, $Al_2O_3-ZrO_2$, 및 $TiO_2-ZrO_2$ 혼합 산화물을 지지체로 한 Ni 기반 혼합 산화물을 졸-겔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 산화물은 1173K에서 열처리 한 후 구조적 특성 변화를 전자현미경 및 X-선 회절 분석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수소를 이용한 승온 환원(TPR; temperature-programmed reduction) 실험을 통하여 1173K 까지 각 시료들의 환원 피크를 비교 고찰하였다. $Al_2O_3$ 또는 $TiO_2$ 가 혼합된 시료의 경우 1173K 에서의 열처리 후 니켈 알루미네이트 또는 니켈 티타네이트와 같은 새로운 결정상의 생성이 관찰되었으나 $ZrO_2$가 혼합된 경우에는 새로운 결정상의 생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TPR 결과에 의하면, $Al_2O_3$ 또는 $TiO_2$를 혼합된 시료의 경우 벌크 NiO의 TPR 결과와는 달리 생성된 새로운 결정상에 기인한 여러 개의 환원 피크가 나타났으나 $ZrO_2$를 혼합한 경우 벌크 NiO와 비슷한 환원 피크를 보였다. TPR 결과를 기초로 Arrhenius plot 으로부터 각 혼합 산화물들의 수소 환원 활성화 에너지를 도출하였다. $ZrO_2$를 지지체로 사용하는 경우 다른 혼합 산화물들보다 지지체로서 안정한 혼합 산화물상을 형성한다는 것을 지시하듯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활성화 에너지를 나타냈다.

Rhizopus oryzae CJ-2114가 생성하는 Polygalacturonase의 특성 및 작용양상 (Characteristics and Action Pattern of Polygalacturonase from Rhizopus oryzae CJ-2114)

  • 정영건;조영제;천성숙;최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5-200
    • /
    • 1992
  • Rhizopus oryzae CJ-2114가 생성하는 polygalactur-onase의 최대활성을 위한 pH는 4.0, 최적온도는 4$0^{\circ}C$ 였으며, 효소활성화 에너지는 2.049㎉/㏖이었다. 정제효소의 Km값과 $V_{max}$ 값은 54.05mM, 13.9m mole/min이었고, pectin보다 polygalacturonic acid를 특이적으로 분해하였다. 이 효소는 약산성의 pH에서 안정성을 보였으며, 온도에 의한 안정성은 4$0^{\circ}C$였으며, 5$0^{\circ}C$이상에서는 급격한 효소단백질의 불활성화가 진행되었다. 금속이온중 $Na^{+}$ 이온에 의해 활성이 유지되며 C $u^{2+}$, P $b^{2+}$, $Mn^{2+}$, $Zn^{2+}$이온 등은 효소활성을 저해하였다. 효소저해제 중 maleic anhydride와 iodine등에 의해 효소활성이 저해되어 효소분자중의 histidine의 imidazole기 와 cystein의 SH기가 효소활성에 관여함이 입증되었다. 이 효소의 기질분해양상을 여지 크로마토그라피로 확인한 결과 반응초기에는 monomer, dimer, oligomer 등이 생성되었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oligomer는 사라지고 monomer, dimer만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아 endo 형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효소의 과즙청징도 측정에서는 약 18.2$\times$$10^3$unit에서 거의 청징화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