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ray calibration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35초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innamaldehyde and Coumarin in Oryeong-san using HPLC with Photodiode Array Detector

  • Seo, Chang-Seob;Shin, Hyeun-Kyoo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51-257
    • /
    • 2010
  • Objectives : To develop and validat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photodiode array methods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two constituents in Oryeong-san(ORS). Methods : Reverse-phase chromatography using a Gemini C18 column operating at $40^{\circ}C$, and photodiode array(PDA) detection at 280 nm, were used for quantification of the two marker components of ORS. The mobile phase using a gradient flow consisted of two solvent systems. Solvent A was $H_2O$ and solvent B was acetonitrile. Results : Calibration curves were acquired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r^2$)>0.9999, and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RSD) values(%) for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were not exceed 1.0%. The recovery rate of each compound was in the range of 93.01-104.16%, with an RSD less than 2.0%. The contents of two compounds in ORS were 1.10-3.72 mg/g. Conclusions : The established HPLC method will be helpful to improve quality control of ORS.

Radiation Pattern of Multibeam Array Antenna with Digital Beamforming for Stratospheric Communication System: Statistical Simulation

  • Ku, Bon-Jun;Ahn, Do-Seob;Lee, Seong-Pal;Shishlov, A.V.;Reutov, A.S.;Ganin, S.A.;Shubov, A.G.
    • ETRI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197-204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simulation of a multibeam active phased array antenna for a High Altitude Platform Station (HAPS). The simulation takes into account the random errors caused by the non-identity of the array elements and the inaccuracy of the antenna calibration. The results of our statistical simulation show that the strict requirements on the sidelobe envelope for HAPSs can be met when the amplitude and phase distribution errors are minor, a condition which may be achieved by using digital beamforming.

  • PDF

병렬도체에서 선재의 배열형상에 따른 비접촉식 전류분류 측정 (Current sharing measurement using non-contact method for parallel HTS tapes conductor according to tape array geometry)

  • 변상범;박명진;최석진;박상호;이승욱;김우석;이지광;최경달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2-36
    • /
    • 2008
  • An HTS conductor with parallel HTS tapes is essential for a large power HTS device to flow a large current.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is conductor is a current distribution. Non-uniform current distribution in parallel tapes makes the critical current of the conductor low and the AC losses high.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on-contact method which measured each current in parallel tapes by using an array of Hall sensors. A matrix can be derived from this array for calibration. The current distributions of 4 and 6 parallel tapes were measured.

근거리 신호 모델을 이용한 부공간 근사 기반의 어레이 형상 추정 기법 (A Subspace-based Array Shape Estimation Method Using Nearfield Source Model)

  • 박희영;오원천;강현우;윤대희;이충용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5-133
    • /
    • 2004
  • 참조 신호를 이용한 어레이 형상추정 기법은 일반적으로 참조 신호가 어레이로부터 충분히 먼 원거리에 위치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해양 환경에서 어레이를 운용하는 경우 참조 신호와 어레이 사이의 거리는 충분히 떨어져 있지 않아 원거리 신호 모델을 바탕으로 한 기존의 기법들은 하이드로폰의 좌표 추정 시 많은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근거리 신호모델을 이용한 부공간 근사기반의 어레이 형상추정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기준하이드로폰에 대한 시간 지연 성분을 이용하여 근거리 참조 신호를 모델링하고, 어레이 형상 추정을 위한 근거리 파라미터를 구한다. 근거리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기존의 원거리 형상 추정 기법을 일반화함으로써 참조 신호의 거리에 관계없이 하이드로폰의 좌표 추정이 가능한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기법의 Cramer-Rao Lower Bound를 유도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참조 신호의 거리에 관계없이 제안된 기법이 기존의 기법에 비해 보다 정확하게 하이드로폰의 좌표를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임의형상 배열센서에 적용 가능한 다중표적 방위각 추적 알고리즘 (Multiple Target DOA Tracking Algorithm Applicable to Arbitrarily Shaped Array)

  • 류창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E
    • /
    • 제42권2호
    • /
    • pp.1-6
    • /
    • 2005
  • Ryu 등은 선형 선배열센서를 이용하여 표적의 방위각 궤적을 추적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Ryu 등이 제안한 방위각 추적 알고리즘은 선형 선배열센서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신호부공간을 추정하고, 추정된 신호공간으로부터 각 표적의 방위각 이노베이션을 구하며, 이렇게 구한 방위각 이노베이션을 각 표적에 할당된 칼만필터의 입력으로 사용함으로써 표적의 방위각 궤적을 추적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Ryu의 방위각 추적 알고리즘은 별도의 데이터연관 필터가 필요 없으며 효율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Ryu의 방위각 추적 알고리즘은 선형 선배열센서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제안되었기 때문에 임의형상 배열센서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배열센서를 사용하는 여러 응용분야에서 배열센서를 구성하는 센서들은 실제로 위치오차를 가지며, 배열센서는 임의형상 배열센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Ryu 알고리즘의 장점과 추적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임의형상 배열센서에 적용할 수 있는 방위각 추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AESA 레이더 능동위상배열 안테나의 배열오차 분석 및 보정 (Array Error Analysis and Correction of Active Array Antenna for AESA Radar)

  • 이유리;김종필;강연덕;김선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414-42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레이더에 적용 가능한 능동배열 안테나의 배열오차 분석 및 보정에 대한 시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복사소자, TR 모듈, 급전기 등으로 구성되는 배열소자 간의 크기 및 위상오차는 안테나 부엽 준위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안테나 개구면 weighting에 따른 이상적인 부엽레벨, 배열소자 개수, 안테나 효율 등에 의해 그 민감도가 달라진다.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부엽준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배열소자의 오차 보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그 방법은 오차요소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하며, 안테나 형태, 목표 부엽 준위에 따라 고려되는 수준의 차이가 달리 적용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배열오차 요소와 그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오차 보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근접 전계 시험을 통해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능동위상배열 레이더 부배열 수신기 설계 (Design of Sub-array Receiver for Active Phase Array Radar)

  • 이희민;김도훈;한일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568-573
    • /
    • 2019
  • 최신의 레이더는 동시에 다양한 다수의 표적을 탐색하고, 추적하며, 외부 재밍신호를 회피할 수 있는 다기능레이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다기능레이더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레이더 안테나는 실시간 빔조향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중 빔을 형성하고, 특정 방향에 대해 수신빔 제거 등 디지털 빔 형성이 가능한 능동위상배열 안테나 형태로 구현된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빔 형성이 가능한 부배열 타입 배열안테나의 하드웨어 구현방안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배열수신빔 형성시 부엽 준위를 낮추기 위한 안테나 개구면 진폭 가중치 적용방법에 따른 부배열 수신기 설계 방법을 제시하고, 진폭 가중치 적용방법에 따른 G/T 성능을 비교하였다. 또한 설계된 부배열 마다 부배열 수신기 동적 영역에 대해 분석하고, 디지털 빔형성기의 정렬 및 보정에 더 유리한 하드웨어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T-DMB/DAB/FM 수신기를 위한 광대역 델타시그마 분수분주형 주파수합성기 (A Wideband ${\Delta}{\Sigma}$ Frequency Synthesizer for T-DMB/DAB/FM Applications in $0.13{\mu}m$ CMOS)

  • 신재욱;신현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7권12호
    • /
    • pp.75-82
    • /
    • 2010
  • 본 논문은 다중대역 송수신기 CMOS RFIC 단일 칩을 위한 광대역 델타시그마 분수분주형 주파수합성기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VCO의 LC Tank에 6-bit Switched Capacitor Array Bank를 작용하여 2340~3940 MHz의 출력주파수 범위를 가지도록 하였으며, 위상동기 전 Capacitor Bank Code를 선택하기위한 VCO Frequency Calibration 회로는 전체 주파수대역에서 $2{\mu}s$이하로 보정을 마치는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다. 광대역 VCO로부터 T-DMB/DAB/FM Radio의 LO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다중분주비 ${\div}2$, ${\div}16$, ${\div}32$를 가지는 LO 신호 발생기는 L-Band (1173 ~ 1973 MHz), VHF-III (147 ~ 246 MHz), VFH-II (74~123 MHz)에서 I/Q신호를 생성한다. Integrated Phase Noise는 전체 대역에서 0.8 degree RMS 이하로 측정되어 매우 낮은 위상잡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VCO Frequency Calibration 시간을 포함하는 주파수합성기의 전체 동기시간은 $50{\mu}s$ 이하로 측정되었다. 이 광대역 델타시그마 분수분주형 주파수합성기는 $0.13{\mu}m$ CMOS공정으로 제작되었으며, 1.2 V 전원전압에서 15.8 mA의 전류를 소모한다.

The Design of MSC(Multi-Spectral Camera) Calibration Operation

  • Yong Sang-Soon;Kang Geum-Sil;Jang Young-Jun;Kim Jong-Ah;Kang Song-Doug;Paik Hong-Yul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601-603
    • /
    • 2004
  • Multi-Spectral Camera(MSC) is a payload on the KOMPSAT -2 satellite to perform the earth remote sensing. The instrument images the earth using a push-broom motion with a swath width of 15 km and a ground sample distance (GSD) of 1 m over the entire field of view (FOV) at altitude 685 Km. The instrument is designed to have an on-orbit operation duty cycle of $20\%$ over the mission lifetime of 3 years with the functions of programmable gain! offset and onboard image data compression/storage. MSC instrument has one(1) channel for panchromatic Imaging and four(4) channel for multi-spectral Imaging covering the spectral range from 450nm to 900nm using TDI CCD Focal Plane Array (FPA). In this paper, the configuration, the interface of MSC hardware and the MSC operation concept are described. And the method of the MSC calibration are described and the design of MSC calibration operation to measure the change of MSC after Launch & Early Operation(LEOP) and normal mission operations are discussed and analyzed.

  • PDF

Soft Computing을 이용한 배열 센서 시스템의 제어 성능 개선 (Improvement of Control Performance of Array-Sensor System Using Soft Computing)

  • 나승유;안명국
    • 센서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9-8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특성을 갖는 센서 배열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센서 배열에 soft computing을 이용하여 선형적인 특성을 얻고, 배열의 특성을 이용하여 외란의 영향을 감소시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대표적인 예로 배열에 사용된 광전도 센서인 CdS는 단일 CdS 셀 조차도 비선형적인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비선형 특성을 소속 함수로 표현하는 퍼지 변수를 사용한다. 배열로 사용되는 센서에 각 단일 센서의 소속 함수와 특성을 이용하는 퍼지 논리를 적용하여 전체적으로 선형화된 센서 특성을 얻는다. 각 센서의 비선형적 요소를 표현하는 소속함수의 파라미터들에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적화 된 선형 특성을 얻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정을 위한 센서를 추가하지 않고 센서 배열의 특성을 이용하여 광전도 센서가 민감한 영향을 받는 외란을 보정하여 시스템의 외란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dS 센서 배열의 자체 비선형성 뿐만 아니라 입력되는 물체의 그림자는 경계가 뚜렷하지 않고 흐릿하므로 퍼지 논리를 이용하는 방법이 거리측정과 외부 광원에 의한 외란에 대해 향상된 결과를 보인다. 제안된 방법을 적용한 센서 배열을 자기부상(Magnetic Levitation System)에서 볼의 거리 측정에 적용하여 성능을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