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usal Stat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8초

폭력적 비디오게임의 사용자 경험과 공격행동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and Aggressive Action in Violent Video Game)

  • 윤주성;노기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215-226
    • /
    • 2015
  • 폭력적 비디오게임은 이용자의 능동적인 상호작용과 관여를 바탕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기존의 폭력적인 영상물보다 개인의 폭력성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생각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 연구는 폭력적 게임 이용에서 형성되는 적대감, 분노와 같은 감성과 각성, 유희성, 동일시와 같은 사용자 경험이 사용자의 공격적 행동성에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폭력적 콘텐츠로 구성된 1인칭 FPS 슈팅게임을 이용하여 남녀 대학생 각 40명씩 총 80명을 대상으로 플레이테스트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폭력적인 게임 이용에 따른 사용자의 각성수준과, 상태분노, 유희성, 동일시의 경험이 공격적 행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적인 게임 이용에 따라 공격적 행동성으로 나타날 수 있는 요소 중 감성, 각성 외에 캐릭터와의 동일시의 정도 역시 중요한 영향 요인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공격적 행동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론했던 적대감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게임의 유희성은 사용자들의 공격행동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자 졸음시 냉풍 자극이 뇌파 및 심전도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ld Air Stimulation on Electroencephalogram and Electrocardiogram during the Driver's Drowsiness)

  • 김민수;김동규;박종일;금종수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134-14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hysiological changes via a cold air reaction experiment to generate basic data that ar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an automobile active air conditioning system to prevent drowsiness. The $CO_2$ concentration causing drowsiness in vehicle operation was kept below a certain level. Air was blown to the driver's face by using an indoor air cooling apparatus. Sleepiness and the arousal state of the driver in cold wind were measured by physiological signals. It was evident in the EEG that alpha waves decreased and beta waves increased, caused by cold air stimulation. The ${\alpha}/{\beta}$ ratio was reduced by about 52.9% and an alert state confirmed. In the electrocardiogram analysis, the efficiency of cold air stimulation was confirmed by the mean heart rate interval change. The R-R interval had a delay time of about one minute compared to the EEG response. The findings confirmed an arousal effect from sleepiness due to cold air stimulation.

공연 시 배우의 각성변화와 심리적 자기조절 분석 (Analysis on Psychological Self-regulation and Arousal Variation of Actors on Performance)

  • 홍길동;이홍식;이형국;오진호;이기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76-189
    • /
    • 2008
  • 본 연구는 공연 시 배우의 심박수의 각성변화와 유발된 각성상태에 대한 심리적 자기조절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연극 전문극단에 소속되어 있는 배우 5명을 목적적 표본추출하였다. 각성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심박수 측정기를 활용하였고, 자기조절 행동을 관찰 및 기록할 수 있는 행동 관찰지를 사용하였으며, 공연종료 후 개인별 심층상담을 실시하였다. 심박수 변화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공연 시간대별 변화 추이를 그래프화 하였으며, 자기조절 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들은 공연이 시작되기 전부터 심박수의 각성수준이 높아지는 변화를 나타냈으며, 공연 시작 20분 전부터 5분 전까지 가장 높은 각성상태를 보였다. 둘째, 공연 시작 전 심호흡, 호흡 가다듬기, 자기대화, 배우들과의 대화, 대본연습에 집중, 화장실 가기, 흡연, 복장점검 등의 자기조절적 행동을 나타냈다. 셋째, 공연 시 높아진 각성상태를 조절하기 위해서 이완기법, 자기집중화, 자신감강화, 상황대처 및 적응 등과 같은 심리적 자기조절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성격차원으로서의 외-내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xtraversion-introversion as a Dimension of Personality in Schizophrenics)

  • 이중훈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338-344
    • /
    • 1993
  • 1990년 1월부터 1993년 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정신과 및 국립부곡정신병원 정신과에 외래 및 입원한 만성 정신분열증환자 78명, 급성 정신분열증환자 62명인 140명(60.6%)과 정상 집단 91명(39.4)로 총 2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Eysenck 성격차원 검사중에서 외-내향성 차원의 척도를 중심으로 하여 측정한 특질적 피질각성수준에 대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정상 집단과 만성 및 급성 정신분열증 집단에서 EPQ검사 중 외-내향성 척도를 사용하여 특질적 피질각성수준을 비교한 결과, 특질적 피질각성수준은 만성 정신분열증 집단이 정상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만성 정신분열증 집단이 급성 정신분열증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분열증 집단의 각성수준이 정상 집단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었다. 특질적 피질각성수준이 정상 집단과 급성 정신 분열증 집단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급성보다 만성 정신분열증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난 결과는 정신분열증 증상이 나타난 시간에 따라 특질적 피질각성수준이 달라짐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병의 경과가 오래될수록 특질적 피질각성수준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급성 정신분열증보다 만성 정신분열증은 특질적 피질각성수준이 더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상인보다 정신분열증 환자의 각성수준이 더 높으며, 증상이 만성화되어 감에 따라서 특질적 피질각성 수준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SSVEP 기반 졸음 퇴치 도로시설물 개발 (Development of SSVEP-based drowsiness extermination road facility)

  • 한형섭;류장협;정의필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77-82
    • /
    • 2016
  • 운전자에게 각성뇌파를 생성할 수 있는 SSVEP기반의 졸음퇴치 도로시설물 시제품 개발을 위하여 실험을 통한 표준 인터페이스 모델의 개발 및 실험 검증 자료를 구축하는데 있다. 먼저 프로그램 시뮬레이션으로 SSVEP 자극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체커 보드의 자극패턴을 만들었고 SSVEP의 주파수를 베타파 영역(13~30Hz) 내에 설정하였다. 고속도로 졸음취약지점에서 설치하여 운전중에 SSVEP 광자극에 대한 효과검증에 관한 실험 결과 주간과 야간 모두 고속도로 운전 중 SSVEP 광자극을 받으면 순간 베타파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5분 유지기 동안 보다 높은 각성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체신호를 이용한 감성조명 시스템 (Sensitivity illumination system using biological signal)

  • 한영오;김동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99-50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생체신호인 PPG, GSR 신호의 변화에 따라 구동되는 LED 감성조명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개발된 GSR 및 PPG 센서모듈로부터 인체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MCU에서 제안된 각성 이완 판별맵에 근거하여 피검자의 각성 또는 이완 상태를 판단한다. 피검자의 상태에 대응하는 LED 조명색상의 변화를 주어, 피검자가 안정 상태의 감정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감성조명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자동차 속도 변화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반응 연구 (A Study of Autonomic Responses due to Vehicular Speed Changes)

  • 김철중;민병찬;정순철;김상균;오지영;민병운;김유나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2권52호
    • /
    • pp.203-210
    • /
    • 1999
  • We report on some of the preliminary results of the physiological responses resulting from vehicular speed changes. Healthy human subjects (n=5) were studied for the experiments. We measured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subjects such as Heart Rate Variability (HRV), Galvanic Skin Response (GSR), and skin temperature for day and night vehicular speed change experiments, respectively. Before and after the tasks, we carried out a self-report for acquiring correlation with experiment results. Mean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amplitude of GSR and skin temperature were calculated for 3 minutes duration in each state. The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measures of ANS activity revealed that vehicle speed change-based affective state evoked arousal response pattern featured by HR acceleration, decrease of skin temperature, and increase of GSR amplitude. The obtained results show that despite some differences observed between each state, overall physiological responses show that the activity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increases as a result of the increase of speed.

  • PDF

다치오토마타를 이용한 개성 및 감성상태 모델의 해석 (Analysis of Personality and Emotion State Model Based on Multiple-Valued Automata)

  • 손창식;정환묵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173-176
    • /
    • 2003
  • 본 논문은 기존의 다치오토마타 모델을 적용하여 개성과 감성상태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 다치오토마타 모델을 2개의 오토마타로 분리하여 하나는 감성상태, 다른 하나는 개성을 모델링하는데 이용하였다. 사용자의 내부 감성과 개성은 Valence-Arousal 공간으로 정의된 감성상태를 바탕으로 구성하였고, 2개로 분리된 다치오토마타의 관계를 정의에 따라 구성하여 감성상태와 개성이 동시에 한 개의 오토마타 모델로 모델링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건축파사드 LED칼라의 감성평가모형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Evaluation Model of LED Colors in Architectural Pacade)

  • 유용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01-11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emotional evaluation model related to LED lighting colors and suggest basic informations that enable planned directions of architectural pacade lighting to simulate beforehand in a laboratory. As experimental methods, extracted PAD emotional evaluation model and then directed a experimental model of 10 LED lighting colors, studied and analyzed survey ques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P(Pleasure-Unpleasure), Red, Yellow, Green, Cyan, Magenta, White and Combination of $G{\leftrightarrow}B$ Colors are satisfying, vibrant and positive distribution chart has shown. Second, in the case of A(Arousal-Unarousal), Red, Yellow, Green, Cyan, Blue, White and Combinations of $R{\leftrightarrow}G$, $G{\leftrightarrow}B$, $R{\leftrightarrow}B$ Colors, it makes a little difference, they have shown useful distribution chart to induce sight in a aroused state. Third, in the case of D(Dominance-Submissiveness), Red, Cyan, Green and Combinations of $G{\leftrightarrow}B$ Colors are free, controlling and extent of effect was excellent.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Yellow and Magenta and Combinations of $R{\leftrightarrow}B$, they are gentle and arouse the protective instinct or feminine distribution chart has shown. Fourth, it showed difference of preference that difference of select ratios of both men and women in Orange, Blue, Greenish-Yellow (preference of man) and Magenta, Combinations of $R{\leftrightarrow}B$ Colors(preference of woman).

  • PDF

동공크기 변화신호의 STFT와 CNN을 이용한 2차원 감성분류 (2D Emotion Classification using Short-Time Fourier Transform of Pupil Size Variation Signals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이희재;이다빛;이상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646-1654
    • /
    • 2017
  • Pupil size variation can not be controlled intentionally by the user and includes various features such as the blinking frequency and the duration of a blink, so it is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user's emotional state. In addition, an ocular feature based emotion classification method should be studied for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which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emotion classification based on CNN with pupil size variation signals which include not only various ocular feature information but also time information. As a result,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using the same database, the proposed method showed improved results of 5.99% and 12.98% respectively from arousal and valence emotion class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