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nia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5초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로부터 유래한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능 (Antioxidative and Antiallergic Effects of Aronia (Aronia melanocarpa) Extract)

  • 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109-111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추출물의 항산화제와 항알레르기 치료제로써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라디칼 포착효능,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 포착효능, 5-LO억제 효능 및 COX억제효능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아로니아는 유효성분으로 예상되는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가 각각 $745.4{\pm}3.7\;mg/g$, $74.63{\pm}2.2\;mg/g$으로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상당히 낮은 농도($6.15{\pm}0.343\;ppm$, $6.99{\pm}1.26\;ppm$)에서 DPPH 라디칼과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로니아의 항알레르기 효능에 관하여 5-LO의 $IC_{50}$값이 $47.07{\pm}0.15\;ppm$으로, EGCG의 $IC_{50}(15.83{\pm}0.98\;ppm)$보다는 높았지만 아로니아가 EGCG와 같은 단일물질이 아니라 천연혼합물임을 감안하여 다른 천연물들의 $IC_{50}$값과 비교하였을 때 5-LO를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억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COX-1과 COX-2의 저해 비율 비교를 통해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EGCG만큼 COX-2를 선택적으로 저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아로니아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아토피와 같은 알레르기 관련 질병 치료에 유효하게 사용될 것이라 생각된다.

아로니아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Aronia Powder (Aronia melanocarpa))

  • 윤향식;김지원;김상희;김이기;엄현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73-280
    • /
    • 2014
  • 본 연구는 아로니아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적절한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을 확정하기 위하여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을 밀가루 중량의 1%, 3%, 5% 그리고 10%로 식빵을 제조하여 발효과정 중 이화학적, 생리활성 및 관능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pH는 대조구가 5.45인데 비해 아로니아 분말 첨가구는 그보다 낮은 pH 4.24~5.24로 나타났으며, 반죽의 총산은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그러나 빵을 구운 후에는 반죽 때와 유사한 산도를 나타내었다. 식빵의 부피는 대조구가 1,740 mL로 가장 컸으며 굽기 손실률 또한 대조구가 가장 높았다. 생리활성 분석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5%, 10% 첨가구는 각각 67.1 mg%, 94.1 mg%로 대조구 28.4 mg%에 비하여 39~66%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항산화성도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에 따른 증가를 보였다. 식빵의 색도는 아로니아 분말을 첨가할수록 명도와 황색도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적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기계적 텍스처 측정결과 경도, 점착성 및 씹힘성은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부서짐성, 부착성 및 복원성은 대조구와 비교 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저장성의 경우 대조구는 저장 2일째부터 곰팡이가 검출되었고, 양의 차이는 있었지만 4일째는 모든 실험구에서 곰팡이가 검출되었다. 노화도는 아로니아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노화가 빨리 진행되었다. 관능검사는 아로니아 분말 첨가 1% 식빵이 향, 조직감, 신맛에서 높게 평가되었으며, 외관, 색,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해서는 아로니아 분말 첨가 3% 식빵이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생리활성도 높으면서 저장성이 좋고, 관능평가에서 높은 기호도를 보인 아로니아 분말 3% 첨가가 식빵 제조 시 최적 배합비로 판단된다.

The improvement effect of anti-inflammation of Aronia extract tha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he fermented seafoods

  • Lim, Jeong-Muk;Choi, Ui-Lim;Lee, Jeong-Ho;Moon, Kwang Hyun;Kim, Dae Geun;Jeong, Kyung Ok;Im, So Yeon;Oh, Byung-Tae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1-111
    • /
    • 2018
  • Aronia (black chokeberry), a species of berries is source to a very large number of bioactive compounds like polyphenols, flavonoids, anthocyanins, and tannins in comparison to any other species. Owing to its antioxidant, anti-carcinogenic, anti-aging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Fermentation- a bioconversion process exploiting the biological metabolic reaction of micro-organisms, has several benefits like improving the efficacy and safety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generation of new functional material, improving the adsorption rate and many others. Antigens like pathogens, food, pollen etc., generate a protective immune response in body tissues, and the process be referred to as inflammation. However, this when excessive results in a condition referred to as refractory inflammatory disease, whose incidence is increasing in the recent times, especially amongst children. The current study intended to assess the anti-oxidant activity, presence of polyphenols and anti-inflammatory efficacy of Aronia extra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ed sea foods. Aronia fruits collected from Sunchang, Chonbuk were lyophilized for fermentation. So as to maximise the efficacy of the fermented Aronia extract, the quantitativ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species, composition of extraction solution,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time on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investigated using an experimental design.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evaluated on NO and cytokine ($TNF-{\alpha}$, IL-6) production in LPS activated Raw 264.7 cells. Results indicated that antioxidant effect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best improved in extract of Aronia fermented by P. pentosaceus. In addition, NO and cytokine ($TNF-{\alpha}$, IL-6) level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fermentation. Thus, it was found that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ronia greatly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process using P. pentosaceus.

  • PDF

아로니아 첨가 비율에 따른 프리저브 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jams according to varying ratios of aronia)

  • 임상휘;김경철;김주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41-146
    • /
    • 2022
  • 본 연구는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한 아로니아를 활용하여 가공식품 개발에 필요한 기초 연구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아로니아와 설탕의 배합비율별 프리저브 잼을 제조한 뒤 그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배합비율에 따라 아로니아의 함량이 낮아질수록 당도는 높아졌으며 수분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강도와 최대응력은 아로니아 함량이 줄어들고 설탕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잼의 비율별 항산화 활성은 아로니아 함량 70%에서 DPPH radical 저해율이 가장 높았다. 총 페놀 함량, TEAC, FRAP, ORAC의 값은 모두 아로니아 함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 단맛과 식감이 모두 강하다고 평가된 아로니아 함량 30%에서는 오히려 종합적 선호도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아로니아 함량 40%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와 설탕 배합비율에 따른 품질 특성과 항산화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국산 아로니아를 활용한 제품의 개발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etec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Commercial Berries

  • Cho, Kyu-Bo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33-338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microbial contamination of Aronia melanocarpa, blueberry, raspberry, and cranberry sold in several markets. We investigated total aerobic bacteria and detected foodborne bacteria by multiplex PCR from Aronia melanocarpa, blueberry, raspberry, and cranberry. Total aerobic bacteria of each sample showed mean 3.54 log CFU/g for Aronia melanocarpa, mean 1.90 log CFU/g for blueberry, and mean 1.40 log CFU/g for raspberry, but not detected in cranberry. Specially, Aronia melanocarpa contained high total aerobic bacteria contamination among various berries and contamination level reached 4.17 log CFU/g in sample 5. To evaluate the effect of distribution conditions, we also investigated total aerobic bacteria of various berries. Total aerobic bacteria showed mean 2.89 log CFU/g for berries in refrigerated distribution and 1.40 log CFU/g in frozen distribution, but not in dry distribution. For assessment of foodborne bacteria contamination, we conducted PCR with multiplex primers of E. coli O157, S. aureus, B. cereus, V. parahaemolyticus, L. monocytogenes, Y. enterocolitica, Salmonella spp., Shigella spp. Among these foodborne bacteria, B. cereus was amplified in Aronia melanocarpa in sample 4 and blueberry in sample 1, 2, 3, and 5. The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of B. cereus contamination showed 4.08 log CFU/g of Aronia melanocarpa in sample 4 and higher contamination rate 4.07 log CFU/g of blueberry in sample 3.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rict food safety control in harvest and distribution of various berries is necessary to prevent foodborne disease and improve microbiological safety.

The effect of aronia, montmorency, and Prunus mume supplementation on blood fatigue factors and muscle damage enzymes after running 10 km

  • Shin, Pan-Jun;Kim, Yeon-Hui;Lim, In-Soo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9-2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take of aronia, montmorency, and Prunus mume on 10 km endurance exercise by investigating changes in blood lactate, ammonia, creatine kinase (CK),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and eventually to recommend them as ergogenic aids, which are effective for recovering from exercise fatigue and muscle damag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P. mume intake group, an aronia intake group, a montmorency intake group, and a control group.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the brachial vein at rest, and at 0, 30 min, and 24 hr after running to measure recovery status. All data were analyzed by a two-way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hanges in blood ammonia and LDH concentration following 10 km of runni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However, lactate and CK recovery ratio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ronia and montmorency groups compared to those in the P. mume and control groups. In particular, CK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montmorency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other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aronia and montmorency are associated with improved recovery from muscle fatigue and damage induced by highly intensive exercise, endurance exercise, or overtraining. In particular, montmorency is recommended as an ergogenic aid to inhibit muscle pain resulting from high-intensity endurance exercise.

단양지역 아로니아 재배 품질 향상을 위한 기상 및 기후학적 특성 (Meteorological and Climatic Characteristics for Improving Quality of Cultivation of Aronia in the Danyang area)

  • 문윤섭;강우경;정옥진;김선미;김다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481-49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 5월에서 8월 기간 동안 단양지역의 아로니아 표본 재배 농가들을 대상으로 기상 기후학적 인자와 아로니아 과실 특성과의 관계를 조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로니아 표본 재배 농가들로부터 기상 요소, 과실과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조건, 비가림 및 해가림 설치에 따른 과실의 특성 변화 등을 조사한다. 그 결과로서, 첫째, 단양지역의 최근 최고기온, 누적강수량, 상대습도, 일조시간 등의 기상 기후 인자가 아로니아 재배 적지뿐만 아니라 일정한 품질 유지 및 생산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하지만 4월과 5월의 강풍은 아로니아의 개화기 및 만개기의 낙화현상에 큰 영향을 준다. 둘째, 아로니아 품질과 생산량은 일최고기온, 일토양온도, 일토양 pH, 누적강수량, 일토양습도 등의 농업 기상 기후 인자와 0.9 이상의 높은 상관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들 인자들을 이용한 회귀식을 통해 그 품질과 생산량을 예측할 수 있다. 셋째, 강수량이 많은 경우에 아로니아의 당도와 안토시아닌 성분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과일 변색기 이후에는 비가림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아로니아 표본 농가의 노지 및 비가림 재배 시에 당도와 안토시아닌 성분 간 회귀분석 결과는 모두 높은 상관을 나타낸다.

사과를 첨가한 아로니아 혼합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onia jams added with apple)

  • 박성훈;박재호;노재관;신현만;이성희;김영호;엄현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0-187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항산화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지면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아로니아의 소비촉진을 위해 아로니아에 사과를 부재료로 첨가하여 떫은맛은 감소되고 기호도가 향상이 된 아로니아 혼합잼을 다양하게 제조한 후,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100% 아로니아 잼을 비롯한 90%, 70%, 그리고 50% 아로니아 잼을 제조한 뒤 4가지 잼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아로니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였고, 총산은 증가하였다. 색도는 아로니아 함량이 감소할수록 명도는 증가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아로니아 함량이 감소하여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조직감에서 견고성과 탄력성, 점성, 씹힘성은 아로니아 함량이 100%일 때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과 전자공여능은 아로니아의 함량이 줄어들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에서 색상과 향미, 신맛은 아로니아 함량이 증가하여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빵 발림성과 단맛은 아로니아 함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아로니아 함량이 70%일 때 가장 선호도가 높았다. 따라서 생리활성, 관능적인 면을 고려했을 때 70% 아로니아와 30% 사과를 첨가한 아로니아 혼합잼의 경우 현재 한정된 범위의 가공식품의 재료로 쓰이고 있는 아로니아의 이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아로니아 분말 첨가가 머핀의 품질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addition of aronia powder on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uffins)

  • 박효정;정해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68-67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분말을 밀가루에 대하여 0%, 5%, 10%, 15%로 대체하여 머핀을 제조하고 품질 특성 및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머핀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함량은 대조군보다 첨가군에서 높게 나타났고,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 함량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머핀의 비체적은 1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머핀의 명도와 황색도는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조직감 측정결과, 경도는 대조군과 5% 첨가군이 낮게 나타났고,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머핀의 외관은 대조군이 가장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고, 냄새는 대조군과 5%, 10% 첨가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15% 첨가군이 가장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맛과 조직감은 대조군과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5%, 10%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15% 첨가군이 가장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머핀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DPPH radical 소거능, 금속 킬레이트 효과 및 환원력도 대조군보다 아로니아 분말 첨가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머핀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능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매우 높은 양(+)의 상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아로니아 분말을 10%까지 첨가하여 머핀을 제조한다면 대조군과 비교하여 관능적인 면에서는 차이가 없고 기능적인 면에서는 항산화활성이 향상되어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이 있다고 하겠다.

아로니아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Effects of aronia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okies)

  • 황은선;김소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42-65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밀가루 중량 대비 아로니아 분말을 2, 4 및 6%로 첨가한 쿠키 반죽의 팽창률, 손실률, 퍼짐성을 측정하고, 제조한 쿠키의 당도, pH, 경도, 색도와 항산화에 관여하는 활성 물질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아로니아를 쿠키 제조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쿠키의 수분은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감소하였고, 회분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쿠키의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도 대조군과 아로니아 분말을 6%까지 첨가한 쿠키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쿠키에 첨가한 아로니아 분말 함량에 비례하여 쿠키의 퍼짐성, 팽창률, 손실률은 감소하였고, 쿠키의 경도는 증가하였다.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쿠키의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으나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쿠키 반죽에 첨가한 아로니아 분말 함량이 많아짐에 따라 쿠키의 총안토시아닌 함량도 증가하였고, 총폴리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아로니아 분말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과 환원력도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쿠키에 아로니아 분말을 첨가하면 항산화 활성을 높일 수 있으며, 쿠키의 질감, 생리활성 물질, 항산화 활성 등을 고려할 때 아로니아 분말을 4% 수준에서 첨가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