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matic Aldehydes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18초

Synthesis of Furodiketochroman and bis-Furocoumarin Derivative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y

  • Hishmat, O.H.;El-Shabraway, O.A.;El Diwani, H.I.;Fawzy, N.M.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87-92
    • /
    • 1988
  • A number of substituted furodiketochroman derivatives ($lll_{a-f}$) have been synthesized by fusion of aromatic aldehydes with 5-hydroxybergapten and 5-hydroxyisopimpinellin.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in a solvent, the corresponding bis-furoccumarin derivatives ($lV_{c-n}$) were obtained. The anticoagulant effect of compounds $lll_{a,b,d}$ and $lv_{b,c,f,g,i,k}$ was tested. They failed to demonstrate any significant effect. The effect of the tested compounds on the arterial blood pressure was studied. Compounds $lV_c$, $lll_d$, $lll_b$, $lV_b$, $lV_k$ and $lV_i$ showed lowering effects on the normal systolic blooc pressure of anaesthetized rats in a decreasing manner.

  • PDF

IQF 굴(Crassostrea gigas) 복합엑스분을 이용한 굴 소스의 가열향기 성분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of Cooked Oyster Sauce Prepared from Individually Quick-frozen Oyster Crassostrea gigas Extract)

  • 황영숙;김상현;신태선;조준현;이인석;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668-673
    • /
    • 2015
  •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has a desirable taste and flavor that differs from those of other fish and shellfish. In order to develop a high value-added product from individually quick-frozen oyster extract (IQFOE), we prepared an oyster sauce from IQFOE and characterized its volatile compounds using vacuum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solvent extraction /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ash, salinity, pH an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s of the oyster sauce were 60.6%, 8.2%, 9.2%, 9.3%, 5.7 and 21.0 mg/100 g, respectively. Seventy-six volatile compounds were detected in the cooked odor of the oyster sauce. These volatile compounds included 14 esters, including ethyl acetate, 13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including 2,4,6-trimethyl pyridine, 13 acids, including hexadecanoic acid, 12 alcohols, including ethyl alcohol and 6-methyl heptanol, 6 alkanes, 5 aldehydes, including benzaldehyde, 5 ketones, including 1-(2-furanyl)-ethanone, 4 furans, including 2-furancarboxaldehyde and 2-furanmethanol, 3 aromatic compounds, including d-limonene, and 1 miscellaneous compound. Esters, acids and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and alcohols were the most abundant compounds in the odor of the cooked oyster sauce, with some aldehydes, ketones, and furans.

전통 수산발효식품의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lavor Compounds in Traditional Salt-Fermented Fishes)

  • 차용준;김진현;심진하;유대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59-272
    • /
    • 2020
  • Nowadays, two types, Yumhae and Sikhae methods, remained as traditional seafood fermentation methods in Korea. In this study, flavor compounds in two types of salt-fermented fishes made by Yumhae method such as anchovy Engraulidae sp., shrimp Caridea sp., squid Decapodiformes sp., big eyed herring Clupea sp., gizzard shad Dorosoma sp. and hairtail Trichiurus sp., and made by Sikhae method such as Alaska pollack Gadus Chalcogrammus and squid. Volatile compounds detected in all salt-fermented fishes were composed mainly of aldehydes (45), ketones (39), alcohols (45), acids (12), esters (47), N-containing compounds (43), aromatic hydrocarbons (37), S-containing compounds (26), furans (10), and miscellaneous compounds (40) in salt-fermented fishes made by Yumhae method. Meanwhile, alcohols (47), terpenes (38), S-containing compounds (22), carbonyl compounds (19 aldehydes, 18 ketones), esters (13), and acids (14). Aroma-active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in salt-fermented anchovy, shrimp and tuna (Thunnini sp.) sauce. Ethyl 2-methylbutanoate (candy/sweet) and 2-ethyl-3,5-dimethylpyrazine (nutty/baked potato-like) were predominant odorants in salt-fermented anchovy, whereas dimethyl trisulfide (cooked cabbage/soy sauce-like), 2-ethyl-3,5-dimethylpyrazine, and (E,E)-2,4-heptadienal (fatty/grainy) in salt-fermented shrimp, and dimethyl trisulfide, 3-methylbutanal (dark chocolate-like), and 3-methylthiopropanal (baked potato-like) in tuna sauce.

GC Olfactometry를 이용한 새우의 휘발성성분 특성평가 (Flavor Characteristics of Volatile Compounds from Shrimp by GC Olfactometry (GCO))

  • 이미정;이신조;조지은;정은주;김명찬;김경환;이양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53-957
    • /
    • 2002
  • 새우를 육과 껍질 부분을 분리하지 않는 것과 폐기되고 있는 껍질부분만을 모아 SDE 장치를 이용해서 휘발성 성분을 조사해 본 결과, 각각 26개와 46개의 성분이 분리된 것을 알수 있었다. 휘발성 성분의 양에서도 껍질 부분을 처리한 시료에서 훨씬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시료를 마쇄하는 전처리 공정을 거치면서 추출율을 살펴보면 SSW의 경우에는 눈에 띄게 휘발성 성분의 양이 늘어난 것을 알 수가 있었다.. GC-MSD로 분리.동정 한 결과, pyrazines이 9종, acids S종, aldehydes 3종, alcohol 4종, pyridines 2종로 나타났다. SSW를 AEDA법으로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GCO를 통해 sniffing test를 실시한 결과, 낮은 온도에서는 진한 새우 새우냄새가 지배적이었고, 온도가 올라갈수록 불쾌한 기름 냄새가 났다. GC-FID에서는 검출되지 않는 영역에서도 고소한 향이나 부드러운 향성분이 log$_3$ FD3이상의 높은 향 인지도를 나타내었다.

Reaction of Bis(diethylamino)aluminum Hydride in Tetrahydrofuran with Selected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Representative Functional Groups

  • Jin Soon Cha;Oh Oun Kwon;Jong Mi Kim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5권2호
    • /
    • pp.132-138
    • /
    • 1994
  • Bis(diethylamino)aluminum hydride was utilized in a systematic study of the approximate rates and stoichiometry of the reaction of excess reagent with 55 selected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representative functional groups under standardized conditions (THF, $0^{\circ}C$, reagent to compound=4 : 1) in order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gent for selective reductions. The reducing action of BEAH was also compared with that of the parent aluminum hydride. The reducing action of the reagent is quite similar to that of aluminum hydride, but the reducing power is much weaker. Aldehydes and ketones were readily reduced in 1-3 h to the corresponding alcohols. However, unexpectedly, a ready involvement of the double bond in cinnamaldehyde was realized to afford hydrocinnamyl alcohol. The introduction of diethylamino group to the parent aluminum hydride appears not to be appreciably influential in stereoselectivity on the reduction of cyclic ketones. Both p-benzoquinone and anthraquinone utilized 2 equiv of hydride readily without evolution of hydrogen, proceeded cleanly to the 1,4-reduction products. Carboxylic acids and acid chlorides underwent reduction to alcohols slowly, whereas cyclic anhydrides utilized only 2 equiv of hydride slowly to the corresponding hydroxylacids. Especially, benzoic acid with a limiting amount of hydride was reduced to benzaldehyde in a yield of 80%. Esters and lactones were also readily reduced to alcohols. Epoxides examined all reacted slowly to give the ring-opened products. Primary and tertiary amides utilized 1 equiv of hydride fast and further hydride utilization was quite slow. The examination for possibility of achieving a partial reduction to aldehydes was also performed. Among them, benzamide and N,N-dimethylbenzamide gave ca, 90% yields of benzaldehyde. Both the nitriles examined were also slowly reduced to the amines. Unexpectedly, both aliphatic and aromatic nitro compounds proved to be relatively reactive to the reagent. On the other hand, azo- and azoxybenzenes were quite inert to BEAH. Cyclohexanone oxime liberated 1 equiv of hydrogen and utilized 1 equiv of hydride for reduction, corresponding to N-hydroxycyclohexylamine. Pyridine ring compounds were also slowly attacked. Disulfides were readily reduced with hydrogen evolution to the thiols, and dimethyl sulfoxide and diphenyl sulfone were also rapidly reduced to the sulfides.

간장박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Soy Sauce Residue)

  • 차용준;왕문봉;차하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755-1761
    • /
    • 2016
  • 간장박 및 그 산가수분해물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PME/GC/MSD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총 79종의 화합물이 간장박(66종)과 산가수분해물(60종)에서 동정되었다. 에스테르 및 알코올류가 각각 15종으로 가장 많았고, 알데히드류 11종, 산류 9종, 방향족 화합물류 8종, 퓨란류 8종, 케톤류 7종 및 기타 화합물류 6종이었다. 함량 면에서는 간장박에서 알코올 함량(433.37 ng/g)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알데히드류(273.01 ng/g), 에스테르류(236.80 ng/g) 및 방향족 화합물류(180.66 ng/g) 순이었다. 산가수분해물에서는 퓨란류가 249.27 ng/g으로 가장 많았으며(P<0.05), 알코올을 제외한 나머지 화합물류는 15 ng/g 미만이었다. 간장박에서는 4종의 에스테르류, 3-methylbutyl acetate(바나나/배향), ethyl 3-methyl butanoate(익은 과일향), ethylbenzene acetate(와인향), ethyl 3-methyl butanoate(사과향), 3종의 알코올류, 3-methyl-1-butanol(과일/위스키향), 2-phenylethanol(꽃/달콤한향), 1-octen-3-ol(버섯향), 4종의 알데히드류, (E)-2-phenyl-2-butenal(초코렛향), benzaldehyde(알몬드향), 3-methylbutanal(엿기름향), 2-phenylacetaldehyde(꽃향), 4종의 방향족 화합물류, 4-ethyl-2-methoxyphenol(연기향/간장향), 4-ethylphenol(약품향), 4-vinyl-2-methoxyphenol(나무향), phenol(나무향) 및 2종의 퓨란류, fufural(알몬드향), 4-hydroxy-2,5-dimethyl-3(2H)-furanone(카라멜향)이 지배적이었다. 반면에 산가수분해물에서는 furfural, 5-methylfurfural(알몬드향), 3-methyl-1-butanol, 2-phenylethanol, 4-ethyl-2-methoxyphenol, 3-methylbutanal, benzaldehyde 등의 화합물이 지배적이었다.

시판 토하젓의 향기성분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Toha-jeot)

  • 이정석;주동식;김훈;장성민;최흥길;조순영;차용준;이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22-228
    • /
    • 1997
  • 전라남도 지방의 전통수산발효식품인 토하젓을 현대기호에 맞는 지역특산품으로 발전시킴과 동시에 품질표준화 및 고급화를 유도하기 위해 현재, 유통되고 있는 2종류의 시료, 즉 담금직후 및 90일간 저온$(5{\pm}2^{\circ}C)$에서 숙성발효시킨 토하젓을 구입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2시료에서 총 104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으며, 이중에서 담금직후의 토하젓에서 70종, 숙성된 토하젓에서는 68종이 검출되었다. 내부표준물질(TMP)에 대한 각 화합물의 상대적 면적비로 환산하였을 경우, 담금직후의 토하젓에는 함황화합물, terpene류, alcohol류 및 ester류 화합물 순으로 그 양이 많았으며, 숙성된 토하젓은 alcohol류, 함황화합물, terpene류 및 ester류 화합물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숙성된 토하젓은 담금직후의 토하젓에 비해 alcohol류, ketone류 (및 방향족 화합물의 양이 많았고, aldehyde류, terpene류, 함황화합물 및 ester류 화합물은 적었다. 특히 alcohol류의 경우, 숙성된 토하젓이 당금직후의 토하젓에 비해 약 21배 정도 많았는데, 이는 발효과정 중 당의 분해로 인해 생성된 ethanol의 양이 증가한데서 기인되었다. 한편 토하젓의 특이한 제조방법에 따라 첨가된 부원료의 영향으로 인해 2종류의 시료 모두 생강의 향기성분인 terpene류, 마늘의 향기성분인 함황화합물, ester류의 양이 많았는데, 이들 휘발성 성분들과 발효 중 증가한 ethanol이 어우러져 시판 토하젓에 독특한 풍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참치 가공부산물로부터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조미료 제재의 개발 2. 분말 참치 가수분해물의 향미성분 (Development of Functional Seasoning Agents from Skipjack Processing By-product with Commercial Proteases 2. Flavor Compounds in Powdered Skipjack Hydrolysate)

  • 김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17-626
    • /
    • 1996
  • 참치 가공 부산물로부터 제조한 가수부내물의 질소 화합물의 경우 생시료에서는 3.91g%인 반면에, 가수분해물에서는 24.94g%로서 생시료에 비해 6.4배 이상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생시료에서는 lysine이 889.13mg%로서 전체 아미노산 함량의 22.73%를 차지하였고, 그 외 taurine, 3-methylhistidine, anserine, alanine의 순으로 함량이 많았으나 가수분해물에서는 anserine이 3,041.12mg%로서 전체 함량의 12.19%를 차지하였고 그 외 histidine, leucine, hydroxyproline, arginine, phenylalanine, taurine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분석결과에서는 두 시료 모두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각각 55.14%와 49.28%로 높았다. 주요 지방산으로는 $C_{16:0}$, $C_{18:0}$, $C_{18:1/}$, $C_{22:6}$가 주요 지방산으로서 전체 함량의 75% 정도를 차지하였으며 특히 가수분해물 중의 polyene산은 생시료에 비해 1.4배 높게 나타났다.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99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이중에서 생시료에서는 75종의 화합물이, 가수분해물에서는 72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이들은 주로 알데히드류(28종), 케톤류(20종), 알콜류(19종), 함질소화합물류(5종), 방향족화합물류(10종), 퓨란류(4종)와 기타 화합물류(12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산화취성분인 알데히드류 및 방향족화합물은 생시료에 비하여 가수분해물에서는 상당량 감소된 반면, 고소한 향기성분인 heterocyclic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다.

  • PDF

도라지 뿌리의 향기성분에 관하여 (Flavor Components in the Bellflower Roots (Platycodon glaucum Nakai))

  • 정태영;김정림;조뢰문효;가등박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6-146
    • /
    • 1987
  • 도라지 뿌리의 향기성분을 규명하고자 도라지 뿌리의 향기성분을 상압 수증기 증류법으로 포집하여 중성, 염기성, 약산성 및 산성성분으로 분획하였다. Diazomethane 법으로 methyl ester 화한 산성부분을 위시한 4부분은 모세관 column을 장치한 GC 및 GC-MS로 분석하였으며 함황화합물은 FPD 검출기로써 검출하였다. 도라지 뿌리로부터 aliphatic hydrocarbons류 6종, aromatic hydrocarbons류 10종, terpene hydrocarbons류 2종 alcohol류 12종, terpene alcohol류 8종 aldehyde류 17종 terpene aldehyde류 3종 ketone류 5종 ester류 5종, furan류 3종, thiazole류 2종, lactone류 2종, sulfide류 2종, phenol류 2종, 산류 12종 및 기타 5종을 위시하여 총 103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다. Caboxylic acid를 제외한 향기성분은 대부분 중성부분에서 동정되었고, 관능검사의 결과에서도 중성부분이 도라지 뿌리의 향기를 재현하는데 필요불가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의 결과, 중성부분에서 동정된 1-hexanal, trans-2-hexenal, 1-hexanol, cis-3-hexenol, trans-2-hexenol, 1-octenen-3-ol 등은 도라지 뿌리의 풋냄새의 주성분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크릴반응향의 휘발성 향기 성분 및 데리야끼소스의 적용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of Krill Reaction Flavor and Its Application to Teriyaki Sauce)

  • 김경묘;박현주;남민희;김선봉;전병수;이양봉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05-115
    • /
    • 2013
  • 본 연구는 크릴육으로 크릴반응향을 만들어 휘발성 향기 성분을 살펴보고 이를 데리야끼소스에 적용하여 데리야끼소스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해 먼저, 반응향 제조에 크릴육을 이용하였고 이의 가수분해물을 이용해 Grilled-type과 Boiled-type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또한, 반응향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응액 20 mL로 휘발성 성분을 포집하고 이것을 GC-MSD로 분리 동정하였다. 제조되어진 3가지 데리야끼소스를 10가지 항목인 삶은 야채향, 삶은 감자향, 삶은 새우향, 구운 새우향, 비린 향, 톡쏘는 향, 탄 향, 달콤한 향, 화학취, 진흙냄새와 좋아하는 정도에 대한 순서를 살펴보았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크릴육의 Grilled-type에는 35개, Boiled-type에서는 33개의 휘발성 성분이 분리 동정되었다. Grilled-type에서는 황함유화합물, aliphatic compounds, alcohol류, ketone류, pyrazine류, other aromatic compounds의 순으로 휘발성 성분이 많았고, Boiled-type에서는 aldehydes, furans, other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의 순으로 휘발성 성분이 많았다. 데리야끼소스의 관능검사 결과는 boiled shrimp, roasted shrimp, sweet한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크릴을 이용하여 크릴반응향을 만들어 이를 적용한 데리야끼소스의 제조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