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ma Inhalation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19초

향기흡입법이 수술실 간호사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romatherapy on Stress of Nurses Working in Operating Room)

  • 성순남;은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
    • /
    • 2007
  • Purpose: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aromatherapy on stress of nurses working in operating room.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45 nurses working in the operating room. Experimental group were 24 nurses in G Hospital and control group were 21 nurses in U Hospital. All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of the subjective stress, stress responses and the job stress. For aromatherapy, lavender, bergamot, and ylang were mixed in the ratio of 2 : 2 : 1. Results: 1) "The subjective stress of experimental group i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2.70, p=.01). 2) "The stress responses of experi-mental group i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2.49, p=.01). 3) "The job stress of experimental group i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7.97, p=.00).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such aroma inhalation method could be effective on stress of nurses working in operating room.

  • PDF

아로마요법이 치매행동심리증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romatherapy 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 최승완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069-108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시설 입소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치매행동심리증상에 대한 아로마요법의 효과를 연구하여 치매노인과 부양자에게 양질의 삶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주고, 노인요양시설 등에서 치매노인을 위한 노인요양프로그램의 적용근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 사후설계로 진행되었고 연구대상은 시설입소 치매노인으로 의사소통이나 의사표시가 가능한 15명이다. 본 연구의 실험은 라벤더, 카모마일과 그레이프푸룻을 혼합하여 연구조원들이 아로마 손마사지법과 흡입법을 각각 1일 1회씩 총 15일간 3주 동안 제공하였다. 연구결과는 치매행동심리증상에 대한 아로마요법 후의 전체적 변화가 사전의 측정치는 1.47점, 사후1의 측정치는 1.09점, 사후2의 측정치는 1.01점, 사후3의 측정치는 0.71점으로 실험시기에 따른 변화가 유의미한 차이(F=11.501, p<0.001)가 있었고, 실험시기의 차이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 결과는 대화 또는 태도에서 근심, 걱정, 두려움, 공포의 기분, 우울한 기분, 눈에 띄게 수선스러운 동작, 눈에 띄게 저조한 행동, 수면장애 및 야간배회 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로마요법을 치매노인에게 적용하여 양질의 삶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주고, 노인요양시설에서 치매노인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하면 치매노인의 심신의 건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상체질별(四象體質別) 향요법(香療法)의 효과(效果) (Effect of Aromatherapy according to the type of Sasang constitution)

  • 이성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72-38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aromatherapy according to the type of Sasang constitution. The subjects were fifty-three nursing students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from March 10th. 2000 to April 22nd, 2000. For experiment, researcher used inhalation of 2% grape seed oil mixed with Rosemary oil for 2 minutes and massage with same oil for 20 minutes on the back of subjects in the speed of 20 strokes per minute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Questionnaire of Sasang Constitution Class II program for personal computer developed by Kim Sun Ho et al., (1996), and Mood Questionnaire developed by Ryman. Biersner, & Larocco (1974). The concentration of IgA within saliva was analyzed by immunoturbidimeter assa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hypotheses were examined with paired t-test and ANC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mood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aromatherapy. 2) The mean concentration of salivary IgA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aroma therapy.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 of mood after aromatherapy according to the type of Sasang constitution,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concentration of salivary IgA after aromatherapy according to the type of Sasang constitu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romatherapy with Rosemary oil ha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mood and IgA within saliva in the nursing students under stress caused by clinical practice regardless of the type of Sasang constitution.

  • PDF

아로마요법이 관상동맥조영술 대상자의 스트레스, 자율신경계, 혈압에 미치는 효과: 비무작위 대조군설계 (Effects of Aromatherapy on Stress Responses,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and Blood Pressure in the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ngiography: A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 송은정;이미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11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stress responses,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activity, and blood pressure in patients hospitalized to receive coronary angiography (CAG).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patients admitted to the day angiography room to receive CAG at E University Hospital (34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reatment was inhalation of the aroma oil blended with lavender, ylang-ylang, and neroli at a ratio of 4:2:1 twice before and after CAG. The measurements of stress index, ANS activity, and blood pressure were performed 5 times as follows: at admission, at pre-CAG after treatment I, at post-CAG, 2 hours after treatment II, and 4 hours after treatment II.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and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Significant interactions in the high frequency of ANS (F=5.58, p=.005) were observed between group and time. Stress index (z=2.14, p=.016), systolic blood pressure (z=4.14, p<.005),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z=3.28, p=.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fter 4 hours of treatment II. Conclusion: The findings showed that aromatherapy was not effective before CAG, but was effective after CAG. Therefore, aromatherapy can be used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patients receiving CAG.

향기요법 간호중재의 통증완화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 (Aromatherapy Nursing Intervention for Pain Relief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 강린;서문경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271-283
    • /
    • 2016
  •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향기요법 간호중재의 통증완화에 대한 효과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출처는 KERIS, KISS, DBpia, Cochrane Library, Ovid-Medline와 Pubmed를 통해서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출판된 연구로 총 20개의 연구에 1029명의 대상자를 메타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이 되는 주요어는 PICO와 아로마, 향기, 향흡입, 향마사지, 아로마테라피, 통증, 통증관리 등이다. 메타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향기요법 간호중재의 통증완화에 대한 효과는 전체 효과뿐만 아니라 하위요인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기요법 간호중재가 통증완화 효과를 나타냈 수 있다는 근거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추후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nalgesic effects of eucalyptus essential oil in mice

  • Lee, Ganggeun;Park, Junbum;Kim, Min Sun;Seol, Geun Hee;Min, Sun Seek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2권2호
    • /
    • pp.79-86
    • /
    • 2019
  • Background: The use of aroma oils dates back to at least 3000 B.C., where it was applied to mummify corpses and treat the wounds of soldiers. Since the 1920s, the term "aromatherapy" has been used for fragrance therapy with essential oi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essential oil of Eucalyptus (EOE) affects pain pathways in various pain conditions and motor coordination. Methods: Mice were subjected to inhalation o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EOE, and its analgesic effects were assessed by conducting formalin, thermal plantar, and acetic acid tests; the effects of EOE on motor coordination were evaluated using a rotarod test. To determine the analgesic mechanism, 5'-guanidinonaltrindole (${\kappa}$-opioid antagonist, 0.3 mg/kg), naltrindole (${\delta}$-opioid antagonist, 5 mg/kg), glibenclamide (${\delta}$-opioid antagonist, 2 mg/kg), and naloxone (${\mu}$-opioid antagonist, 4, 8, 12 mg/kg)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Results: EOE showed an analgesic effect against visceral pain caused by acetic acid (EOE, 45 mg/kg); however, no analgesic effect was observed against thermal nociceptive pain. Moreover, it was demonstrated that EOE did not have an effect on motor coordination. In addition, an anti-inflammatory effect was observed during the formalin test. Conclusions: EOE,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mu}$-opioid pain pathway, showed potential effects against somatic, inflammatory, and visceral pain and could be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pain.

전환장애(轉換障碍)로 입원(入院)한 환자(患者) 41례(例)에 대(對)한 임상적(臨床的) 고찰(考察) (Clinical Study for Conversion Disorder in 41 Admission Cases)

  • 김명진;최병만;이상룡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1-140
    • /
    • 2000
  • The clinical study was carried out the 41 patients with conversion disorder who were treated in Dae Jeon University Oriental Hospital from 26 september 1998 to 21 september 2000.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1. The ratio of male and female was 4:37 and in the age distribution, the highest frequence was 40s, in descending order over 50s, 30s, 20s, 10s and mental attack was the most inducing factor.2. In distribution of the period of the clinical history. within one day was the highest percentage and in admission period most of the patients were from four days to seven days.3. In symptoms and signs, physical symptoms were more than mental symptoms, physical symptoms had many muscle-skeleton-system symptoms and they were in descending order general body weakness. headache, anorexia, chest discomfort, dyspepsia, dizziness, four extremities numbness, insomnia, dysarthria, anxiety, four extremities tremor. palpitation. nausea, vomiting, facial numbness.4. In classification of Four Human coporeal constitution the number of patients, Sho-Eum-In(少陰人) was remarked mostly and most of female patients had no past history of the conversion disorder.5. In distribution of the prescription, drugs of regulating gi such as BUNSIMGIEUM(分心氣飮) were many, in descending order drugs of growing heart and warming gall bladder such as ONDAMTANGGAMI(溫膽湯加味), drugs of maintaining patency for the flow of gi such as CHUNGGANSOYOSAN(淸肝逍遙散), drugs of decomposing food and asending gi such as PYUNGJINGUNBITANG(平陳健脾湯), drugs of storing blood and relaxing the mind such as SAMULGUIBITANG(四物歸脾湯). drugs of removing sputum and cooling heart such as CHUNGSIMDODAMTANG 淸心導痰湯).6. In distribution of the treatments, the group of drug and acupuncture and aroma-therapy was many, in acup uncture TAEGUKCHIMBUP(太極針法) was mainly used. in therapy inhalation type of Lavender and Rosewood was many and the type of Peppermint and Rosemary massaging epigastric-chest, and neck was many.7. In distribution of the treatment result, in 15 patients(36.6%) symptoms were eliminated from four to seven days, in 13 patients(31.7%) symptoms were not changed. in 12 patients(29.3%) symptoms were eliminated from two to three days. in 1 patients(2.4%) symptoms were eliminated whin one day.

  • PDF

방사선 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에게 적용한 아로마 요법이 우울, 불안 및 자율신경계 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romatherapy on Depression, Anxiety and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Adjuvant Radiotherapy)

  • 윤선희;차정희;유양숙;김영인;정수미;정해림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5권2호
    • /
    • pp.68-76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아로마 요법이 방사선 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우울과 불안정도, 자율신경계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대상자는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서 유방 보존술 후 보조적인 방사선 요법을 받는 여성 중 선정 기준에 적합한 33명(실험 I군 16명, 실험 II군 10명, 대조군 7명)이었다. 아로마 요법은 직접 흡입법으로 6주 동안 실시되었으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은 Lemon (Citrus limonum), Lavender (Lavandula angustifolia), Rosewood (Aniba rosaeodora), Rose (Rosa damascena)를 혼합하였다. 방사선 치료 전에 대기실에서 처방된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거즈에 묻혀 흡입하도록 하였고, 주말에는 가정에서 같은 방법으로 흡입하도록 하였다. 실험 I군은 아로마 요법을 하루에 3회 시행하였고, 실험 II군은 실험 I군과 같은 아로마 요법을 방사선 치료 전에 1회, 대조군은 티트리 오일을 이용한 아로마 요법을 방사선 치료 전에 1회 시행하였다. 아로마 요법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우울은 Beck의 Depression Inventory로, 불안은 Spielberger 등의 도구로, 자율신경계 활성도와 균형도 및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 저항도는 SA-5000P (MEDICORE CO., LTD)로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WIN ver.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우울정도는 실험 I군과 실험 II군이 실험 후 감소하고 대조군은 증가하여 집단과 시점간의 교호작용이 있었다. 불안정도와 부교감신경 활성도 및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 저항도는 세 군 모두 실험 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집단과 시점간의 교호작용은 없었다. 교감신경 활성도는 실험 후 실험 I군과 실험 II군에서 감소하고, 대조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 방사선 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에게 아로마 요법을 하루 3회 실시한 실험 I군과 하루 1회 실시한 실험 II군 모두 우울정도가 감소되었다.

향기요법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 (Meta-Analysis about Effect of Aromatherapy on Stress)

  • 김경덕;서순림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1권4호
    • /
    • pp.188-195
    • /
    • 200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향기요법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결과의 정도를 종합, 분석하기 위함이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이루어진 연구를 대상으로 하여 국내 학위논문과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추출하였으며, 향기요법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한 45편의 논문 중 분석대상 기준에 적합한 논문 21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인 SAS 9.1/PC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선정된 21편의 연구물로부터 58개의 효과 크기가 산출되었으며, 58개의 효과크기를 바탕으로 전체 효과, 종속변수의 지표별 효과, 연구대상 및 중재 방법에 대한 효과, 중재시간에 따른 효과를 산출하였다. 향기요법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593으로 보통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의 지표별 효과 크기는 생리적 지표에서 보다 심리적 지표에서 훨씬 큰효과를 보였으며, 심리적 스트레스에서는 주관적 스트레스에 효과가 가장 컸고($\bar{d}$=.983), 생리적 스트레스에서는 코티졸($\bar{d}$=.648)과 맥박($\bar{d}$=.515)에서는 중간정도의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나, 수축기 혈압($\bar{d}$=.490)과 이완기혈압($\bar{d}$=.401), 에피네피린($\bar{d}$=.334)에서는 중재효과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별 효과에서는 노인집단에서 .706으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었고, 암환자($\bar{d}$=.337)에게 가장 작은 효과로 나타나 집단간 유의한 차를 보였다(F=2.271, P=.043). 중재방법에 대해서는 향기요법과 마사지요법을 병행한 경우($\bar{d}$=.590) 가장 큰 효과로 나타났으나 중재시간별 효과크기의 차는 없었다 (F=.495, P=.687). 중재시간에 대해서는 $20{\sim}30#분의 중재를 한 경우 .73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역시 통계적 유의한 차는 없었고, 중재 회기 수와 효과크기와의 상관관계는 r=.349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였다(P=.007). 결론: 본 연구 결과 향기요법은 대상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향기요법을 이용한 간호중재 프로토콜의 개발과 그 실제 적용이 요구된다할 수 있겠으며, 프로토콜 개발 시 대상자의 특성과 중재 시간이 고려되어야 하겠다.

  • PDF

아로마테라피의 통증 감소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논문 분석 (Analysis of Experimental Researches in Korea on the Effects of Aromatherapy to Relieve Pain)

  • 박정숙;박정언;장순양;곽혜원;한정안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4권1호
    • /
    • pp.8-19
    • /
    • 2011
  • 목적: 아로마테라피가 통증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논문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통증감소를 위한 아로마테라피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2009년 12월 말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논문 중 '아로마, 아로마테라피, 향요법, 향기요법, 향기치료, 아로마요법과 통증, pain, 두통, 견갑통, 견통, 회음부 불편감, 통각, 분만진통, 상지통증, 생리통, 월경통, 동통, 분만동통, 월경곤란증' 등의 키워드를 사용하여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국회도서관, KISS, KoreaMed, 국가과학기술 정보센터(NDSL) 등의 사이트에서 검색된 논문 중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 44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분석기준에 따라 정리하여, 빈도 및 백분율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분석된 논문에서는 3~4종류의 오일을 블랜딩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라벤더, 로만카모마일, 로즈마리, 클라리세이지 등의 오일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적용방법으로는 마사지 22편(50.0%), 흡입, 마사지와 흡입을 병행한 연구가 각 6편(13.6%)이었다. 사용된 측정도구는 VAS, 설문지, GRS, 관찰 등과 같은 주관적인 측정도구가 85.7%를 차지하였다. 효과 분석 결과, 두통과 관절통 경감에는 아로마테라피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월경통, 분만통, 회음부 불편감 및 월경통의 경우 효과가 "있음"과 "없음"이 비슷한 빈도로 분석되었다. 결론: 아로마테라피는 통증 감소에 효과적이었으나 통증 종류와 적용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아로마테라피의 통증완화 효과에 대한 근거를 확립하기 위해 이중맹검 순수실험연구를 시행할 필요가 있고, 생리적 측정변수를 종속변수로 사용하여 통증감소 중재방법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겠다. 아울러 통증 종류에 따라 오일 블랜딩, 적용방법, 적용시간 및 측정도구를 표준화하여 적용함으로써 아로마테라피의 정확한 효과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