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ea average rainfall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1초

월류위험도 기반 저류지 설계를 위한 평균강우량도 작성 (Distribution of average rainfall event-depth for overflow risk-based design of detention storage basin)

  • 김대근;박선중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22
    • /
    • 2008
  • This study collected the latest 30-year (1976~2005) continuous rainfall data hourly recorded at 61 meterological observatories in Korea, and the continuous rainfall data was divided into individual rainfall events. In addition, distribution charts of average rainfall event-depth were created to facilitate the application to the overflow risk-based design of detention storage basin. This study shows that 4 hour is appropriate for SST (storm separation time) to separate individual rainfall events from the continuous rainfall data, and the one-parameter exponential distribution is suitable for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rainfall event depths for the domestic rainfall data.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rainfall data using SST of 4 hour showed that the individual rainfall event was 1380 to 2031 times, the average rainfall event-depth was 19.1 to 32.4mm, and ranged between 0.877 and 0.926. Distribution charts of average rainfall event-depth were created for 4hour and 6 hour of SST, respectively. The inland Gyeongsangbuk-do, Western coastal area and inland of Jeollabuk-do had relatively lower average rainfall event-depth, whereas Southern coastal area, such as Namhae, Yeosu, and Jeju-do had relatively higher average rainfall event-depth.

월류위험도 기반 침투형저류지 설계를 위한 평균무강우지속시간도 작성 (Distribution of average intervent times between adjacent rainfall events for overflow risk-based design of storm-water infiltration basin)

  • 김대근;박선중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5-203
    • /
    • 2008
  • This study collected the latest 30-year (1976~2005) continuous rainfall data hourly recorded at 61 meterological observatories in Korea. The continuous rainfall data was divided into individual rainfall events. In addition, distribution charts of average intervent times between adjacent rainfall events were created to facilitate the application to the overflow risk-based design of storm-water infiltration basin. This study shows that the one-parameter exponential distribution is suitable for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average intervent times for the domestic rainfall data. Distribution charts of the average intervent times were created for 4 hour and 6 hour of storm separation time, respectively. The inland Gyeongsangbuk-do and Western coastal area had relatively longer average intervent times, whereas Southern coastal area and Jeju-do had relatively shorter average intervent times.

20세기 우리나라 관측최대강수량의 특성 (Maximum Areal Rainfall of Korea in the 20th Century)

  • 김남원;원유승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5호
    • /
    • pp.425-435
    • /
    • 2004
  • 수자원분야에서 관측최대강수량은 주로 지점최대 강수량에 의해 평가되어 왔으나, 엄밀한 의미에서 강수량이라 함은 면적평균강수량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면적평균강수량은 관측호우의 DAD(rainfall Depth-Area-Duration) 분석을 통하여 계산된 추정치이고, 이로부터 대상면적-지속기간별 면적평균강수량 또는 최대관측강수량을 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을 수문학적으로 동질하다고 가정하여 호우중심의 DAD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로부터 면적-지속기간별 최대관측강수량의 연도별 변화를 고찰하였다. 또한, 면적-지속기간별고 구성된 시계열로부터 확률강수량을 산정하여, 면적별 IDF와 관측치대강수량의 특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을 통한 강우관측망 평가 및 추정오차 (Evaluation of Raingauge Network using Area Average Rainfall Estimation and the Estimation Error)

  • 이지호;전환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3-112
    • /
    • 2014
  • 면적평균강우량의 산정은 가용 수자원의 정확한 양을 파악하고 강우-유출해석에 필수적인 입력자료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면적평균강우량의 정확한 산정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은 강우관측망의 균일한 공간적 분포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향상된 유역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을 위한 강우관측망의 공간분포 평가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한강 및 금강 유역에 적용하였다. 강우관측소의 공간적 분포 특성은 최근린 지수(nearest neighbor index)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유역별 강우관측소의 공간적 분포가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3년의 강우사상에 대해 산술평균법, 티센가중법, 추정이론을 이용하여 면적평균강우량을 산정하고 각 경우에 대해 추정오차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공간분포가 우수한 유역은 면적평균강우량의 추정오차가 상대적으로 작으며, 반대로 공간분포가 왜곡된 유역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추정오차가 큼을 확인하였다.

강수의 계절성과 면적평균강수량의 추정오차 (Rainfall Seasonality and Estimation Errors of Area-Average Rainfall)

  • 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575-58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강수의 계절성에 따라 면적평균강수의 추정오차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평가하였다. 공간상관을 고려하는 경우와 고려하지 않는 경우 모두를 다루었으며, 각각의 경우에 대해 추정오차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유사한 경우로서 계절성을 무시하고 누가시간을 증가시켜 추정오차가 어떻게 변하는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금강유역에 적용하였으며 30년 이상의 일 강수 기록을 가진 28개 지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월 단위의 면적평균강수량에 대한 추정오차는 대체로 강수량에 비례하여 나타나며, 따라서 강한 계절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를 평균 강수량으로 나눈 상대오차는 1월과 12월을 제외하면 대략 5 - 8% 정도로 유사한 값을 보인다. (2) 연 강수량에 대한 추정오차는 연강수량의 3%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3) 그러나, 강수량이 아닌 강수량의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삼는 경우 면적평균강우의 추정오차는 월 단위 및 년 단위에서 동일하게 표준편차의 11% 정도로 계산된다. (4) 마지막으로, 공간상관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의 추정오차는 고려하는 경우의 2배 정도까지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mp Diffusion Mixer에서 압력수량에 따른 응집제 확산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Coagulants Distribution by the Pumping Rate in Pump Diffusion Mixer)

  • 박영오;김기돈;박노석;임재림;임경호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5-71
    • /
    • 2008
  • 급속 혼화공정에서 응집제의 동력학적 수화반응 특성을 고려하여 1초 이내의 순간혼합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론에 근거하여 설치된 Pump Diffusion Mixer(PDM)의 관내 응집제 확산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D=1,200mm 관경에서 압력수 유량비에 따라 응집제 주입지점으로부터 4.5D되는 지점에서 관 단면의 지점별 제타 전위를 측정하여 평가한 결과, 압력수의 유량비가 2%에서는 분사속도가 낮아 관 단면에 응집제가 골고루 분사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압력수 유량비가 4% 이상이 되면 비교적 균등하게 혼합되며, 8%에서는 관 단면 전체에 균등하게 확산 분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적 레이더 정보에 따른 면적평균강우의 관측오차 (Sampling Error of Areal Average Rainfall due to Radar Partial Coverage)

  • 유철상;김병수;김경준;윤정수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97-100
    • /
    • 2008
  • This study estimated the error involved in the areal average rainfall derived incomplete radar information due to radar partial coverage of a basin or sub-basin. This study considers the Han River Basin as an application example for the rainfall observation using the Ganghwa rain radar. Among the total of 24 mid-sized sub-basins of the Han River Basin evaluated in this study, only five sub-basins are fully covered by the radar and three are totally uncovered. Remaining 16 sub-basins are partially covered by the radar leading incomplete radar information available. When only partial radar information is available, the sampling error decrease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radar coverage, which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clusters. It is general that smaller sampling error can be expected when the number of clusters increases if the total area coverage remains the same. This study estimated the sampling error of the areal average rainfall of partially-covered mid-sized sub-basins of the Han River Basin,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sampling error could be at least several % to maximum tens % depending on the relative coverage area.

  • PDF

집중호우시 발생된 삼척지역의 산사태 특성 (Landslide Characteristics induced by Heavy Rainfall in Samcheok Area)

  • 송영석;장윤호;김진석
    • 지질공학
    • /
    • 제15권4호
    • /
    • pp.435-445
    • /
    • 2005
  • 본 연구에서 는 2002년 태풍 "루사(Rusa)"와 2003년 태풍 "매미(Meami)"에 의한 집중호우시 삼척 지역에 발생된 산사태를 조사하여, 대상지역의 강우와 산사태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삼척지역의 연평균강우량은 $1,200\~l,300mm$이며, 2002년 및 2003년에는 태풍 "루사" 및 "매미"로 인한 집중호우로 인하여 연평균강우량이 2,000mm이상으로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최대시간강우강도와 2일간 누적 강우량이 상대적으로 큰 지역에서 산사태 발생 개소 및 붕괴 면적 이 크게 발생되고 있으므로, 산사태는 강우강도와 누적강우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삼척 지역에서 발생된 산사태는 태풍에 의한 집중호우에 의한 것이므로 산사태 발생 당일 최대 시간강우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리적인 산사태 발생 규모를 예측하기 위하여 기존의 방법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최대시간강우강도와 산사태 붕괴 면적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방법 및 새로 제안된 방법을 적용한 결과 삼척지역의 산사태 발생규모는 대규모 산사태임을 알 수 있다.

산불발생지의 표면유출수와 토양침식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urface Runoff and Soil Erosion in the Forest Fire Area)

  • 정원옥;마호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urning impacts of the surface and crown fire occured in yongsan-ri meongsok-myun of chinju-city, Gyeongnam. Environmental influences like surface runoff and soil erosion changes were investigated by comparisons analysis between burned and unburned area about some initial effects after fi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ed; 1. The average amount of surface runoff in burned area was more 1.7 times than in unburned area. But it was gradually tend to decrease in burned area as times passed. 2. Factor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amount of surface runoff in burned area shown in order to unit rainfall, accumulated rainfall and sand content, as 0.9466 of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where as the factors in unburned area were unit rainfall, soil erosion, bulk density and soil hardness, as 0.9738 of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3. The average amount of soil erosion in burned area was more 11.2 times than in unburned area. But it was gradually tend to decrease in burned area as times passed. 4. Factor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amount of soil erosion in burned area were surface runoff and unit rainfall, as 0.6305 of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The factors in unburned area shown in order to surface runoff, sand content, bulk density and unit rainfall, as 0.7879 of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 PDF

호우이동을 고려한 DAD 분석방법 (DAD Analysis on Storm Movement)

  • 김남원;원유승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5호
    • /
    • pp.437-448
    • /
    • 2004
  • 수문학 교과서를 통해 널리 알려진 기존의 유역중심 DAD 분석방법은 유역면적이 작거나 호우이동이 거의 없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계산이 비교적 간단하다. 그러나, 태풍과 같이 호우이동이 뚜렷한 경우에는 DAD 관계를 명확히 표현하기 어려우며, 특히 유역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면적강우량의 오차도 증가하므로, 분석자의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역중심 DAD 분석방법의 단점을 보완코저 호우중실 DAD 분석방법을 개발하였고, 객관적인 DAD 분석결과를 얻기 위해 이를 프로그램화하였다. 관측강우량을 이용하여 기존의 방법과 비교ㆍ검토를 수행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평균면적강우량을 보다 적절하게 표현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전국단위 호우분석(1969년부터 1999년까지 약 130여개 호우)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유역중심 DAD 분석결과와 비교ㆍ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