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tium lappa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45초

A Study on Wooung(Burdock, Arctium Iappa, L) Kimchi-Changes in Chemical, Microbial, Sensor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Wooung Kimchi during Fermentation

  • Han, Ji-Sook;Cheigh, Mee-Jeung;Kim, Seong-Joon;Rhee, Sook-Hee;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권1호
    • /
    • pp.30-36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hemical, microbial, sensor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wooung(burdock, Arctium lappa, L)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15$^{\circ}C$, Three types(A, B, C) of wooung kimchi were prepared. Sample A was prepared with basic ingredients, in the other hand, sample B was prepared with all sorts of ingredients. These samples were mixed after salting the sliced burdock with 4% brine for 30min. Sample C was prepared mixing with all sorts of ingredients after blanching the sliced burdock with 2% vinegar solution. pH decreased slowly until 3 day, and then decreased rapidly for 4~7 days in all samples. Total acidity increased gradually in all samples. The changes of pH and total acidity were the sample C and were the greatest in sample B. The reducing sugar contents decreased slowly until 7 day, and decreased rapidly for 8~14 days in sample A and B, and at 10 day in sample C, respectively. The number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otal bacteria of sample B were much greater than those of other sample. In sensory evaluation, sample B exhibited the best scores and sample C showed the worst scores in all characteristics.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in wooung kimchi were identified as ethanol, hexanal, 2-hexenal, disulfide dl- 2-prophenyl, zingiberene and $\beta$-sesquiphellandrene. The relative amounts of hexanal, 1-hexanol and ethanol were decreased, while the relative amounts of acetic acid ethyl ester, 3-htdroxy-2-butanone and acetis acid were increased gradually during fermentation.

  • PDF

우엉 새싹채소의 재배환경 구축 및 항산화 활성 탐색 (Development of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s and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Arctium lappa Sprout Vegetables)

  • 이무열;신소림;박선희;김나래;장영득;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4-311
    • /
    • 2009
  • 우엉 종자를 이용하여 항산화 기능성 새싹채소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엉 종자는 $25^{\circ}C$ 명조건에서 발아가 가장 왕성하였으며, 4일만에 82%가 발아하였다. 발아 종자를 암조건에서 재배한 결과, $20^{\circ}C$에서 길이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다. 녹화처리는 새싹의 길이생장을 억제하였으나, 자엽의 길이 및 부피생장을 촉진하였다. 수확 후 예냉하여 포장한 우엉 새싹채소는 $4^{\circ}C$보다 $10^{\circ}C$에서 저장할 때 저장 기간이 증가되었다. 포장용기의 통기구는 저장 기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0, 1, 2, 3일 녹화처리한 새싹채소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우엉 새싹채소의 radical 소거능 및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는 시판중인 브로컬리, 적채, 완두의 새싹채소 및 콩나물보다 우수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또한 우수하였으며, 특히 3일 녹화시킨 우엉 새싹채소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처리가 길어질수록 우수하였다. 우엉 새싹채소는 우엉의 성체 잎줄기 보다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우엉 새싹채소는 기능성 채소로써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Anti-inflammatory effect of Arctium minus o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 Yang, Hye-Ji;Jang, Min-Hye;Kang, Yoon Joo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5-115
    • /
    • 2019
  • Arctium minus (AM), commonly known as lesser burdock, is a dried fruit (seed) of Aructium lappa L. that belong to Asteraceae. It has been used traditionally as herbal medicine because of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it has been applied to treat various diseases like allergies, skin aging, hyperlipidemia and urinary ston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AM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Pre-treatment of the RAW 264.7 cells with AM considerably inhibited and reduc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also shows suppression of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translocation. In addition, AM treatment considerably reduced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AM has potential to inhibit inflammation through suppressing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via both the NF-${\kappa}B$ and MAPK signaling pathway. We therefore suggest that AM might be effective therapeutics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 PDF

우엉 분말을 첨가한 카스텔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stella with Burdock (Arctium lappa L.) Powder)

  • 태미화;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15-221
    • /
    • 2016
  • 우엉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카스텔라 제조 시 최적 첨가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우엉 분말을 밀가루 대신 10, 20, 30%의 비율로 첨가하여 카스텔라를 제조해서 우엉 분말이 카스텔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우엉 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비중, 카스텔라의 중량 및 굽기손실률은 대조군과 우엉 분말 첨가군 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카스텔라의 높이는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카스텔라의 pH는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한 반면에 당도는 우엉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다. 카스텔라의 crust는 L값과 b값이 우엉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고, a값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였다. Crumb의 L값은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였고 a값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b값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다가 30%에서 다소 증가하였다. 카스텔라의 경도는 우엉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고, 부서짐성,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복원성은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였다. 카스텔라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총페놀 함량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관능검사 결과 껍질색, 속질색, 향미, 단맛, 씹힘성은 대조군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촉촉한 정도에 대한 기호도는 20% 및 30% 우엉 분말 첨가군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10%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국화류 추출물의 항산화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 (Anti-oxidant Proper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Various Extracts from plants in Compositae plants)

  • 강정란;이미경;강상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4호
    • /
    • pp.321-328
    • /
    • 2008
  •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국화류 6종을 대상으로 MeOH 80% 추출물 및 추출물로부터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분획을 이용한 항미생물,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활성효과를 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항균활성의 경우 MeOH 80% 추출물에서는 우방자와 용매분획 중에서는 포공영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우방자의 클로로포름 분획을 중심으로 비극성용매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의 경우 MeOH 80% 추출물에서는 인진호가 93%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용매분획에서는 국화류 6종 모두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분획에서 약 90%에 가까운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들의 용매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던 용매보다는 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활성의 경우 MeOH 80% 추출물에서는 우방자만이 40%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용매별 분획에서는 감국의 부탄올 분획에서 48%, 인진 호의 에틸아세테이트, 물분획에서 각각 39%와 37%로, 대조군인 알부틴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용매 역시 항균활성보다는 극성이 높은 용매에서 활성을 나타내었다. 국화류 6종의 MeOH 80% 추출물 중 우방자만이 항균, 항산화, tyrosinase 저해활성에 고른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용매분획 중에서는 3가지에 고른 활성을 나타내는 공통적 용매분획은 없었다.

백수오, 우엉, 마 추출물 혼합비율에 따른 혈관부착인자 VCAM-1의 발현억제 효과 (Suppression of VCAM-1 Expression in Human Aortic Smooth Muscle Cells Treated with Ethanol Extracts of Cynanchum wilfordii Radix, Arctium lappa L., and Dioscorea opposita)

  • 조영미;송해성;장선아;박대원;신유수;정용준;강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25-53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혈관염증 억제 효능이 입증된 원료인 백수오, 우엉, 마를 혼합하여 혈관염증을 완화시키고 동맥경화의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혼합물이 혈관염증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배합비율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백수오, 우엉, 마 단독투여 및 다양한 혼합비로 혼합물을 제조하여 인간유래 동맥 평활근 세포에 공급하였다. 세포부착인자인 VCAM-1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가장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낸 CADM5 (백수오:우엉:마=2:1:1)을 선택하였다. 선택된 혼합물이 혈관세포에서 얼마나 독성을 나타내는지 실험하였고, 백수오, 우엉, 마 추출혼합물이 혈관염증에 관여된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CADM5처리 결과 염증으로 인하여 증가하였던 ICAM-1과 VCAM-1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또한 CADM5를 처리한 결과 혈관내피세포에서 산화적 손상 및 염증 방어와 관련이 있는 HO-1과 Nrf-2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따라서 CADM5이 염증에 의해 유도된 ICAM-1 그리고 VCAM-1의 발현을 조절하고 산화스트레스의 방어기전을 활성화 함으로써 동맥경화증을 유발하는 혈관염증의 초기단계를 억제하여 항염증 작용에 효과가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비교적 저농도인 32 ㎍/㎖에서 효과적으로 혈관염증 관련 단백질 발현을 조절하였으므로 본 연구를 통해 선택된 CADM5의 혈관염증개선 및 혈관건강개선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우엉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Burdock (Arctium lappa L.) Powder)

  • 태미화;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826-1831
    • /
    • 2015
  • 기능성 소재로서 우엉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제빵 시최적 첨가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우엉 분말을 밀가루 대신 5, 10, 15%의 비율로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면서 우엉 분말이 제빵 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우엉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밀도는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반죽의 pH는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식빵의 굽기손실률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빵 crust의 L, a 값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Crumb의 L값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a, b 값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식빵의 경도, 씹힘성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부서짐성, 탄력성, 응집성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식빵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총 페놀 함량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관능검사 결과 색, 향미, 단맛에 대한 기호도는 대조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낸 반면 촉촉한 정도, 구수한 맛, 씹힘성은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우엉 분말 5% 첨가구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우엉 뿌리의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Anti-thrombo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root of Arctium lappa L.)

  • 김미선;이예슬;손호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27-734
    • /
    • 2014
  •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우엉 지하부의 혈전 관련 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자, 우엉의 ethanol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혈액응고 저해 활성,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 및 in-vitro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우엉 추출 수율은 10.94%로 다른 식용 및 약용식물보다 높았으며, ethanol 추출물의 경우 total polyphenol 함량은 5.01 mg/g으로 낮았으나, 694.53 mg/g의 높은 총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의 경우, n-hexane, ethylacetate(EA), n-butanol 분획 수율은 각각 1.62, 0.42 및 5.98%로 나타났으며, 물 잔류물은 85.38%였다. 우엉 시료들의 혈액응고 저해활성을 TT, PT, aPTT를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에서는 유의적인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EA 분획에서 강력한 TT, PT, aPTT 연장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농도 의존적 혈액응고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물 잔류물에서는 내인성 혈액응고인자 활성화에 의한 aPTT 감소효과를 확인하여 혈전생성 촉진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평가의 경우, 우엉 ethanol 추출물 및 분획물들은 임상에서 사용하는 항혈소판제인 아스피린보다 강력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EA 분획은 정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아스피린의 2배 이상의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EA 분획물은 DPPH 음이온, ABTS 양이온, nitrite에 대해 우수한 소거능 및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우엉 추출물과 분획물들은 0.5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에 대한 특이한 용혈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 결과들은, 우엉 EA 분획물이 천연물 유래의 안전한 항혈전제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증숙 및 볶음처리에 따른 우엉차의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of burdock (Arctium lappa L) tea depending on steaming and roasting treatment)

  • 권유리;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46-65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엉의 활용성 증진을 위하여 우엉차를 제조하였으며 기호성과 기능성 증진을 위하여 증숙 및 볶음 처리에 따른 우엉차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색도는 증숙처리하여 건조한 우엉차(SHD)보다는 건조 후 볶음 처리를 한 HDR과 증숙 후 건조하여 볶음처리한 SHDR에서 높은 황색도를 나타냈다. pH는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탁도에서는 증숙처리 후 건조한 우엉차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총당의 경우 볶음 처리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다. 우엉차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위해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을 실시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볶음 처리를 하였을 때 활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증숙 처리보다는 볶음처리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엉차의 관능적 특성으로는 색, 향, 단맛, 떫은 맛, 구수한 맛 및 종합적 기호도를 평가하였으며 증숙처리 후 건조한 구간보다 볶음처리 시 떫은맛이 감소되고 단맛, 구수한 맛이 향상되었고, 풍미, 색상 및 종합적 기호도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우엉차 제조 시 열처리는 기능성 및 기호도가 증진시켜 품질의 향상에 영향을 주며 증숙과 볶음 공정을 적절히 적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부동화 스트레스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도두(刀豆), 우방근(牛蒡根) 복합물의 면역증진 작용 (Enhancement of Immune Activities of Canavalia gladiata & Arctium lappa complexes in immobilization stress mouse model.)

  • 이지은;노성수;김한영;김근회;김승형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3
    • /
    • 2017
  • Objective : Soybeans of Canavalia gladiata(CG) and root of Arctium lappa(AL) have been reported to have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effect. However, the immunoregulatory mechanisms of its combinational prescription remain a matter of considerable debate. In the curr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CG and AL and its combinational prescription(CG+AL) regulate immune system using chronic immobilization-stress mouse model. Methods : C57BL/6J mice fixed for 2 hours into immobilization tube after CG, AL, CG+AL oral administration after 2 hours daily for 21 days. After every experiment has ended the C57BL/6J mice were sacrificed on 22 days. The production of Serotonin and Cortisol, lgA were observed by ELISA method, The proportion of immune cells such as T/B cell and macrophage, NK cell were measured by FACS. Then, Real-time PCR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mRNA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IL-1beta, IL-6, TNF-a) and T cell activation cytokines(IL-2, IL-10, IFN-gamma, IL-12p35 / p40). Result : When chronic immobilization-stress mouse model were treated with CG+AL(1:4), the expression of mRN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Inflammatory cytokines(IL-1beta, IL-6, TNF-a). While, the levels of mRN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immune T cell activation cytokines. Additionally, CG+AL(1:4) combinational prescription group enhanced immune cells such as T/B cell and macrophage, NK cell. Furthermore, the Immuno-fluorescence result of brain tissue can confirm that CG+AL(1:4)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he BDNF expression. Conclusion : These result suggest that CG+AL(1:4) combinational prescription has Immune System enhancement via stress-mediated immunoc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