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ives and Information Science

검색결과 599건 처리시간 0.028초

도서관.정보학 그리고 기록학 (The Library, Archives and Information Science)

  • 최정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0
    • /
    • 2004
  • 문헌정보학은 도서관학으로부터 출발했다. 그리고 서구의 전통 있는 명문대학은 학과 명칭을 '도서관학, 기록학 그리고 정보과학'으로 부르며, 도서관과 기록관 그리고 정보관의 자료와 지식정보를 대상으로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그 기본을 소홀히 하고 있어서 이를 환기시키고자 한다.

  • PDF

대학기록보존소의 기능과 조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unctions and Organizations of the University Archives)

  • 김상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9-278
    • /
    • 2000
  • Acquisition and preserv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official records, and archives pertaining to certain subject or regional concern for research are the core mission of the university archives. General types of the organizations are archives room as a part of department; department unit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or special collections); archives and records office as a independent information center of University.

  • PDF

일제 조선총독부의 문서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ves Management of $Chos\v{o}n-chongdokbu$)

  • 김상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6권
    • /
    • pp.113-139
    • /
    • 1994
  • Government archives are basic source materials in the historical study. Whereas, researches on the archives of Choson-chongdokbu have been very scant. Those archives contain information about both colonism of Japan and independent movement of Korea are comparatively well preserved at Government Archives and Record Servi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archives and to evaluate the system of archival management of Choson-chongdokbu. Based on the official gazette and archives of Choson-chongdokbu, this study has revealed the division of archival work, the writing and treatment of official document, compilation and preservation, and the procedure of use and destruc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s have been identified; 1. Archival regulations were prepared by the instructions of Choson­chongdokbu at the early days of its establishment. Inspite of several revisions, its basis was maintained until 1945. 2. Each agency had its own archival department instead of central archives. 3. The archival department of Choson-chongdokbu controlled the archival administration of headquarters and attached agencies. But the secret archives were managed by the secretarial department. 4. The writing and treatment of archives were done by the archival regulation made in 1911. 5. Each agency had set more or less different preservation period. 6. There were three ways of using archives, 1) the in-house reading 2) the loan 3) the transcriptions. The archives passed the preservation period were destroyed in accordance with the related departments.

  • PDF

How Can We Preserve Social Memories?: Exploration of Global Open Archives

  • Gang, Ju-Yeon;Kim, Geon;Oh, Hyo-Jung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7권3호
    • /
    • pp.40-51
    • /
    • 2019
  • Until now, records re-enacting social memories have not been main targets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in Korea. However, people have recently begun to focus on forming and maintaining their memories because these personalized records have started to be recognized as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o preserve social memories by comparing various global open archives. For achieving our research goal, we first established the definition of social memories and records and revealed their characteristics. After then, we selected representative open archives' websites to examine their collection polices and compare them according to several criteria. As a result, we distilled insights based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each archive and discussed considerations in preserving social memories consisting of three phases: analyzing target social memories, establishing collection policies, and collecting actual record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mories and records and also suggests preliminary findings for advanced research to develop practical tools for social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중국 북경지역의 구현당안관에 대한 연구 (A Study of Local Government's Archives in Beijing, China)

  • 한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411-430
    • /
    • 2014
  • 중국의 구현당안관은 해당 구(區)와 현(縣)의 각 기관과 단체 및 개인의 당안과 사료를 수집 관리 및 보존하여 이용에 제공하는 기관이다.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기록관에 대한 해외 사례연구의 일환으로 중국 북경지역의 16개 구현당안관을 조사 분석하였다. 구현당안관의 경영 측면으로 설립현황과 기능 및 기구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으며, 구현당안관의 당안 측면으로 당안의 수집범위와 수집방법 및 소장당안의 특징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중국의 당안의 정보자원화 구축과 국가적 차원의 통합검색 시스템의 구축을 기대하며,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기록관 설립과 운영을 위한 해외 사례로 참고되기를 기대한다.

가톨릭기록정보의 온라인 서비스 현황에 대한 분석 연구 (A Study on Online Services of Catholic Archives)

  • 최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21-342
    • /
    • 2016
  • 가톨릭교회가 소장하고 있는 기록정보는 종교적으로도 중요한 기록물이지만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중요한 기록정보이다. 그러나 대부분 보존에 초점이 맞추어져 기록물 활용은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고 특히 인터넷 환경에서 접근이 용이하게 제공되고 있지 못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현황을 반영하여 가톨릭 분야에서 운영되고 있는 온라인 서비스 현황을 조사하였고 구조와 디자인, 콘텐츠, 인터페이스 영역으로 서비스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톨릭기록정보는 3가지 유형으로 서비스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온라인으로 활발하게 서비스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수준에서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분석되어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계별로 콘텐츠를 개발하여 가톨릭기록정보의 온라인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한국의 기록관리학 연구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 정보학 영역을 중심으로 -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cience in Korea: Focused on the Information Science)

  • 장로사;김유승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7-100
    • /
    • 2009
  • 전통적 종이기록물에서 전자기록물로 중심을 옮기고 있는, 21세기 기록관리 패러다임의 전환은 기록관리학에서 전자적 형태의 기록 정보의 생산, 관리, 보존 및 활용과 관련된 정보학 영역의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8년까지의 기록관리학 관련 5개 학회지에 발표된 연구 성과 중, 전자기록물 및 정보기술을 중심으로 한 정보학 영역의 기록관리학 연구동향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학 영역을 중심으로 한 기록관리학 연구논문은 총 99건이었으며, 양적으로 계속 증가되고 있었다. 연구자들이 선호한 주제영역은 메타데이터, 전자 기록물, 디지털 아카이빙(아카이브), 정보(기록물)공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기록물 정리분류의 원칙과 사례 분석 (A Study on the Arrangement of Archives in China)

  • 김유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97-316
    • /
    • 2003
  • 중국에서는 기록물의 분류를 정리분류와 검색분류로 나누어 활용한다. 본고는 그중 정리분류의 원칙과 내용은 무엇인가, 또 분류의 원칙이 실제 각 당안관의 기록물 정리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요 분류이론서의 내용을 검토하고 나아가 중국 제 2 역사당안관의 민국시기당안의 분류와 전종구성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글을 기획한 목적은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기록학적 분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PDF

Archival Description and Records from Historically Marginalized Cultures: A View from a Postmodern Window

  • Sinn, Dong-Hee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15-130
    • /
    • 2010
  • In the archival field, the last decade has witnessed much discussion on archives' broad responsibilities for social memory. Considering that the social role of archives has stemmed from postmodern thinking suggests a paradigm shift from viewing archives as static recorded objects to viewing them as dynamic evidence of human memory. The modern archives and archivists are products of nineteenth-century positivism, limiting their function to archiving written documents within stable organizations. The new thoughts on the social role of archives provide a chance to realize that traditional archival practices have preserved only a sliver of organizational memory, thus ignoring fluid records of human activities and memory. Archival description is the primary method for users to access materials in archives. Thus, it can determine how archival materials will be used (or not used). The traditional archival description works as the representation of archival materials and is directly projected from the hierarchy of organizational documents. This paper argues that archivists will need to redefine archival description to be more sensitive to atypical types of archival materials from various cultural contexts. This paper surveys the postmodern approaches to archival concepts in relation to descriptive practices. It also examines some issues related to representing historically marginalized groups in archival description who were previously neglected in traditional archival pract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