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ing effect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38초

일체형 강관 파이프루프 시공에 따른 주변 지반의 토압 분포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pressure distribution induced by the integrated steel pipe-roof construction)

  • 심영종;진규남;송기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455-468
    • /
    • 2013
  • 최근 비개착공법으로 지하차도 시공 시 강관을 지반에 압입한 후 강관자체를 철근과 모르타르로 보강하는 다양한 일체형 파이프루프 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체형 파이프루프 공법은 상재하중에 대해 지보강성 효과를 발휘하여 콘크리트 지하차도 구조물에 작용하는 응력을 한층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아칭효과에 의해 주변지반의 연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토압이 변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체형 파이프루프 시공에 따른 주변지반의 토압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 일체형 파이프루프 내측에 시공되는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토압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한차분 수치해석을 통해 파이프루프의 체결 특성을 모델링하고 응력 및 변위거동을 분석하였다. 지반과 구조물의 경계에 인터페이스 요소를 도입하여 지반구조물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체 콘크리트 구조물에 작용하는 연직토압은 파이프루프의 강성과 아칭 작용에 의해 원상태의 연직토압보다 큰 폭으로 감소하여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하차도 구조물의 단면 설계 시 설계하중에 대해 이러한 아칭작용에 의한 연직토압의 감소를 고려한다면 경제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phi$ 지반에서의 아칭현상을 고려한 원형수직터널 토압 : II. 실내 모형실험 (Earth pressures acting on vertical circular shafts considering arching effects in c-$\phi$ soils : II. Lab. Model Tests)

  • 김도훈;차민혁;이대수;김경렬;이인모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29-144
    • /
    • 2010
  • 원형수직터널에 작용하는 토압은 아칭효과로 인해 2차원 일반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토압보다 작으므로 원형수직터널 설계 시 벽체에 작용하는 실질적인 토압의 예측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두 개의 연속된 논문(Companion papers)의 두번째로서 원형수직터널 설계 시 건조한 사질토뿐만 아니라 c-$\phi$ 지반과 다층지반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새롭게 제안된 토압식(김도훈 등, 2009)을 증명하기 위해 대형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안된 모형실험 장비는 단계별 굴착이 가능하도록 제작 벽체의 반경을 변화시켜가며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강사 방법으로 지반을 조성하기 전 건조한 시료에 물을 첨가하고 불포화사질토를 형성시켜 겉보기 점착력을 발현시킴으로써 c-$\phi$ 지반과 다층지반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로서, 단계별 굴착을 모사하였을 때, 아칭효과에 의해 굴착된 지반에서 굴착되지 않은 지반으로 하중이 전이가 일어나는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시에 굴착했을 때의 토압은 예측한 값에 비해 상당히 작게 나타났지만, 단계별로 굴착했을 때의 최종 토압은 동시 굴착 시의 토압에 비해 크게 나타나며 새롭게 제안된 토압식과 잘 일치하였고 c-$\phi$ 지반과 다층지반에서 수행한 실험의 결과도 겉보기 점착력의 효과로 인해 토압의 감소를 보이며 이론적인 값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토지지말뚝의 연직하중 분담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arrying Vertical Loads Over Embankment Piles)

  • 홍원표;이광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285-294
    • /
    • 2002
  • 연약지반상에 제방 성토시 예상되는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을 적극 억지할 수 있는 성토지지말뚝공법은 말뚝두부에 캡을 설치하는 형태에 따라 크게 말뚝슬래브공법, 캡보말뚝공법 및 단독캡말뚝공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공법중 캡보말뚝공법 및 단독캡말뚝공법에서는 성토지지말뚝과 지반간의 상대적인 강성차이로 인해 성토지반 속에 지반아치가 발생하게 되고, 대부분의 성토하중은 발달된 지반아치를 통해 말뚝으로 전달된다. 두 공법에서 발생되는 지반아치의 차이는 그 형태가 캡보말뚝공법의 경우 터널의 형태와 유사하게 2차원적이고, 단독캡말뚝공법에서는 돔의 형태와 유사하게 3차원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 두 경우의 지반아치로 인한 성토지지말뚝의 하중분담효과에 관한 이론식을 각각 유도 제안하여 비교하였으며, 두 이론식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일련의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질토 지반의 원형수직구에 설치된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토압 : 적용성 연구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Cylindrical Retaining Wall of a Shaft in Cohesionless Soils : Study on the Application by Model Test)

  • 천병식;신영완;문경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75-88
    • /
    • 2004
  • 사질토 지반의 원형수직구에 설치된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토압은 축대칭 아칭효과로 인하여 평면변형조건의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보다는 작은 토압이 작용한다. 따라서, 수평 및 연직방향 아칭효과에 의한 토압감소를 고려하고 상재하중, 벽면마찰, 파괴면의 경사각 등 각종 인자의 영향을 적절히 반영하여 원통형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을 예측할 수 있는 토압산정공식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토압공식의 적용성 확인을 위하여 모형실험이 수행되었다. 벽체변위, 벽면마찰, 벽체 형상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모형실험장치가 개발되었으며, 건조한 모래지반에서 깊이에 따른 벽체변형이 일정한 조건의 모형실험을 통하여 각각의 영향인자가 원통형 벽체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에 미치는 영향이 분석되었다. 제안된 토압공식은 모형실험에 의한 토압분포와 유사한 경향을 예측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터널 숏크리트 라이닝 파괴 메커니즘에 대한 수치해석적 고찰 (Numerical Study on Failure Mechanism of Tunnel Shotcrete Lining)

  • 신휴성;신동인;배규진;김동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7호
    • /
    • pp.167-17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터널 붕괴붕락의 유형 중 국부 암괴하중에 의한 숏크리트 라이닝의 파괴특성을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우선, 기존 터널 라이닝 파괴특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암반과 숏크리트체 강성비와 부착강도의 특성에 변화를 주어 총 9가지의 조건을 설정하였다. 각 조건에 대한 블록낙하실험(falling block test)환경에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파괴양상을 고찰해 보고 기존의 이론적 파괴 메카니즘과 비교/평가하여 보았다. 결과적으로, 기존 문헌에서 언급된 4가지 파괴모드(점착파괴(adhesive failure), 직접전단파괴(direct shear failure), 휨인장파괴(flexural failure) 및 휨전단파괴(punching shear failure))가 모두 구현되긴 하였으나, 점착파괴는 항상 타 파괴유형과 동반되어 나타나며, 별도의 파괴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기존 관련 연구에서는 터널공학의 주요개념인 아칭효과에 대해 고려치 않고 단순보 개념하에서 라이닝의 파괴특성을 고찰하였으며, 굴착에 의해 부가되는 라이닝의 초기 축력을 고려치 않고 있다. 이에 대해 터널특성에 부합된 경계조건들을 고려하여 신규 라이닝 파괴모드를 재 고찰하였으며, 곡률이 있는 터널 라이닝조건에서는 크게 두 가지 파괴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c-${\phi}$ 지반에서의 아칭현상을 고려한 원형수직터널 토압: I. 이론 (Earth pressures acting on vertical circular shafts considering arching effects in c-${\phi}$ soils: I. Theory)

  • 김도훈;이대수;김경렬;이용희;이인모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17-129
    • /
    • 2009
  • 원형수직터널에서 3차원적인 아칭효과를 고려한 토압산정을 위해 여러 연구가 수행되었고 실내시험 및 수치해석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으나, 다층지반과 c-${\phi}$지반에서의 적용이 어려웠다. 본연구에서는 c-${\phi}$지반에서의 토압 산정을 위해 c-${\phi}$지반에서 적용 가능한 토압계수 산정식을 구하였으며, 기존 토압식을 수정 제안하였다. 점착력이 토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반을 가정하여 각 경우별로 토압을 산정하여 비교하였으며, 다층지반에서 파괴면을 가정하는 방법으로 토압을 구하였다. 이 논문은 두 개의 연속된 논문(Companion paper)의 첫 번째로서 모델개발을 위한 이론전개를 다루고 있으며, 대형 모형실험에 의한 실증은 두 번째 논문에서 다룰 것이다.

배전급 내뢰설비 시설효과 분석 실증시험설비 구축에 관한 연구 (The Construction of distribution test facilities of lightning protection equipment)

  • 강문호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1-303
    • /
    • 2004
  • In distribution system about 5% of total outage is due to the lightning stroke. In order to reduce the rate of outage occurrence, distribution lightning protection equipments such as a secondary arrester, arching horn and various ground electrodes are developed and installed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y. Therefore it is needed to construct the test facilitie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se equipment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main content of the test facilities of lightning protection equipments. We have completed the field test of distribution lightning protection equipments for example lightning arrester, secondary arrester and arching horn etc.

  • PDF

대칭경사진 벽체의 되메움 수평토압에 관한 연구 (Lateral Earth Pressures on Symmetrical Backslope Walls)

  • 이종규;허경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47-155
    • /
    • 2001
  • 좁은 되메움 공간의 벽체가 연직 또는 한쪽 벽체만이 경사진 경우 수평토압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상당히 진전되어 왔으나, 대칭으로 경사진 경우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되메움 공간의 벽체가 대칭으로 경사지고 벽체간 하부폭이 다를 때 발생되는 수평토압에 관한 거동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모형토조를 사용하여 되메움 공간의 벽체가 대칭으로 경사진 경우 벽체의 경사각, 하부폭, 벽마찰각, 상대밀도를 변화시켜 총 24종류의 모형실험을 수행하였고, 이 결과를 Kellogg(1993)제안식, 벽면경사를 고려한 수정 제안식 및 벽면마찰반력으로부터 구한 수평토압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벽면마찰반력을 고려한 경우 평균연직토압을 적용하였음에도 Arching 효과가 발휘된 실험결과와 가장 근소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정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강성옹벽에 작용하는 주동토압 (Active earth pressure behind rigid retaining wall rotating about the top)

  • 백규호;사공명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07-1112
    • /
    • 2004
  • For a rigid retaining wall with rough face, the practical shape of failure surface and arching effect in the backfill must be considered to acquire accurate magnitude and non-linear distribution of activ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rigid retaining wall. In this study, a new formulation for calculating the active earth pressure on a rough rigid retaining wall rotating about the top is proposed considering the practical shape of non-linear failure surface and arching effects. Accuracy of the proposed equation is checked through comparisons of calculations from the proposed equations with existing model test results. The comparisons show that the proposed equations produce satisfactory results.

  • PDF

Settlement Reduction Effect of Advanced Back-to-Back Reinforced Retaining Wall

  • Koh, Taehoon;Hwang, Seonkeun;Jung, Hunchul;Jung, Hyuk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 /
    • 제6권3호
    • /
    • pp.107-111
    • /
    • 2013
  • In order to constrain the railway roadbed settlement which causes track irregularity, and thus threats running stability and ride quality, advanced Back-to-Back (BTB) reinforced retaining wall was numerically analyzed as railway roadbed structure. This study is intended to improve conventional Back-to-Back reinforced retaining wall as the technology which would reduce the roadbed settlement in a way of constraining the lateral displacement of its prestressed vertical facing and inducing arching effects in roadbed (backfill) placed between masonry diaphragm wall and vertical facing. As a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oadbed settlement was reduced by 10% due to the prestressed vertical facing and embedded masonry diaphragm wall of the advanced Back-to-Back reinforced retaining wal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