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GIS

검색결과 555건 처리시간 0.029초

쓰레기매립장 부지선정을 위한 GIS 활용연구 (Applying a GIS to Solid and Hazardous Waste Disposal Site Selection)

  • 김윤종;김원영;유일현;백종학;이현우;류중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5-151
    • /
    • 1990
  • Solid and hazardous waste disposal site selection by using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riteria of site selection are usually defined in accordance with geological, cultur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Unadequate adaptation of these criteria in a site selection may cause serious problem of water and soil polluti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extraction of these criteria consist of a lot of data : geology, geomorphology, hydrogeology, engineering geology, cultural and social information.... GIS could be easily applied to construct of this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 base, and carry out cartography simulation using overlay mapping technique(polygon overlay). ARC/INFO(GIS system) was used for these studies, and AML(ARC/INFO Macro Language) in this system provided more variable and effective methods for cartography simulation. TM(Thematic Mapper) images were used for the evaluation of land cover/use in the studied area, by using ERDAS image processing system.

ArcHydro GIS를 이용한 관개 시스템 네트워크 모델링 (Irrigation System Network Modeling using ArcHydro GIS)

  • 박민지;박근애;장중석;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55-76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농업기반공사에서 구성한 AWDS (Agricultural Water Demand & Supply Estimation System: 농촌용수 수요공급량 산정시스템)를 기반으로 대상지역인 안고용수구역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였다. 또한 이를 ArcGIS Hydro Data Model을 이용하여 유역의 공간객체와 하천 네트워크의 연관성을 부여하여 위상관계을 가지게 하였으며, 24개의 저수지, 18개의 양수장, 28개의 취입보 등 총 70개의 수리시설물의 네트워크를 모델링하였다. 이로 수리시설물의 공간위치를 가시적으로 표현하여 특정한 시설물 파악이 쉬우며, 하천망과 더불어 표현함으로써 순차적인 물수지의 체계를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다.

  • PDF

ArcView를 이용한 고리 원전 주변 육상생태계 평가를 위한 GIS 구축 (Development of GIS for the Food Chain Assessment around Kori Nuclear Power Plant Using ArcView)

  • 강희석;최희주;유동한;금동권;최용호;임광묵;이한수;이창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0권3호
    • /
    • pp.121-130
    • /
    • 2005
  • 고리 원전 주변 지역에서 가상사고 시에 발생하는 핵종 방출 후 토양 또는 농작물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핵종 농도분포를 도식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GIS를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ESRI 사의 GIS 구축용 상용 프로그램인 ArcView를 도입하였다. 미리 고리원전 주변의 북서방향 $20km{\times}20km$ 구역에 대한 1:5000 축적의 지도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표현 대상 농작물 및 방출핵종은 주민의 주식인 쌀과 $^{131}I$로 정하였다. 총 100개의 cell에서 $^{131}I$의 침적량으로부터 토양 및 농작물 부분에 대한 $^{131}I$의 시간에 따른 양을 ECOREA-II코드를 통해 계산하였다. 계산결과를 ArcView에서 미리 준비된 polygon cell의 속성 자료에 각각의 cell id와 일치시켜 데이터 병합(join) 작업을 수행하였다.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낮아지는 $^{131}I$ 농도값을 일관성있는 색상 변화로 나타내기 위해 ArcView의 color lamp에 대한 RGB 값을 조절하였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고리주변의 북서방향 $10km{\times}10km$ 지역에서 $^{131}I$의 침적 후 쌀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131}I$ 농도분포를 일관성있는 색상 변화로 쉽게 구분이 되도록 나타낼 수 있었다.

ArcHydro를 이용한 GIS기반의 관개시스템 네트워크 모델링 - 안고농촌용수구역을 대상으로 - (Network Modeling of Paddy Irrigation System using ArcHydro GIS - ANGO Agricultural Water District -)

  • 박근애;박민지;장중석;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3-83
    • /
    • 2007
  • 농촌지역의 복잡한 물관리 체계를 정립하고 효율적인 용수관리를 위해서는 하천과 농업용 수리시설물의 연계를 통한 관개시스템의 네트워크 모델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분야의 지리정보데이터를 다루도록 개발된 ArcHydro Model을 한국농촌공사에서 개발한 농촌용수수요공급량산정시스템 (AWDS: Agricultural Water Demand & Supply Estimation System)과 연계하여 안성천유역내에 위치하는 "안고"농촌용수구역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모델링을 구현하였다. ArcHydro Model을 이용하여 유역내의 24개의 저수지, 18개의 양수장, 28개의 취입보 등 총 70개의 수리시설물의 공간객체와 하천망간의 연관성을 부여하여 상호간의 위상관계를 가지도록 네트워크 모델링을 하였다. 또한 농촌용수수요공급량산정시스템에 대한 텍스트 결과를 ArcHydro Model을 통하여 수리시설물의 공간위치를 가시적으로 표현함으로서 특정 시설물의 위치파악이 쉽고, 순차적인 물수지의 체계를 이해하기 쉽도록 ArcGIS의 시스템에 메뉴를 추가하여 개발하였다.

  • PDF

GIS 기반 절토 사면 시뮬레이션을 위한 Petri-Net 모델링 (Modeling of Petri-Net for an Simulation of Cut Slope Test on GIS)

  • 이홍로;이재봉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1
    • /
    • 2012
  • 지구 환경 변화에 따른 폭우로 절토 사면 붕괴가 해마다 발생하고 인명과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절토 사면의 붕괴의 평가를 요구한다. 경사면이 절토 시행 전에 시뮬레이션 된다면, 절토 사면의 붕괴를 예측 할 수 있고, 붕괴 사고 시 복구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절토 사면에서 중요한 경사도의 시뮬레이션 방법을 나타낸다. 이것은 패트리넷을 이용하여 모델링되며 디자인되고, ArcGIS를 이용하여 윈도우 XP 환경에서 구현하고자 한다. 그래서 본 논문은 GIS를 이용한 절토와 간척을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시간과 돈을 절약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HyGIS와 SWAT2005 모형의 연계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terface System Coupling SWAT2005 Model with HyGIS)

  • 최윤석;김경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327-1331
    • /
    • 2009
  •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은 대규모의 복잡한 유역에서 장기간에 걸친 다양한 종류의 토양과 토지이용 및 토지관리 상태에 따른 물과 유사 및 농업화학물질의 거동이 토지관리방법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미국 농무성 농업연구소(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RS)의 Jeff Arnold에 의해 1990년대 초에 개발된 유역모델이며, 최근에는 SWAT2005 모형이 개발되었다. SWAT 모형은 SWAT2000 모형을 구동하기 위한 ArcView 3.2a 기반의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널리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SWAT2005 모형과 ArcGIS를 연계 운영하기 위한 ArcSWAT(Winchell et al, 2008)이 개발된 바 있다. 국내에서는 GIS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SWAT2000 모형의 구동 및 입출력 자료의 관리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SWAT2000 모형과 HyGIS(Hydr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연계시스템인 HyGIS-SWAT(김경탁과 최윤석, 2006)이 개발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SWAT2005 모형의 활용성이 높아짐에 따라 HyGIS와 SWAT2005 모형의 연계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서 SWAT2005 모형 구동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개선된 SWAT2005 모형으로 기존의 HyGIS-SWAT을 개선하고자 한다.

  • PDF

지질재해 분석을 위한 GIS 응용연구 (Analysis of Regional Geologic hazards using GIS)

  • 김윤종;김원영;유일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89-94
    • /
    • 1993
  • 지질재해(산사태)를 분석하기 위한 광역지질재해도가 GIS를 이용하여 작성되었다. 산사태를 일으키는 주요 요소인 지형경사, 파괴사면형태, 공극수압, 토성, 지질, 강우량등이 GIS기법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되었으며, 컴퓨터 지도모형연구를 통하여 작성된 최중 지질재해도는 연구지역의 산사태 잠재력과 지면의 안정성을 아주 효과적, 경제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GIS MAP들은 대상지역의 지역개발 정책뿐만 아니라 자연재해 예방등에 아주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금번연구를 위하여 사용된 GIS시스템은 ARC/INFO이며, 영상처리를 위하여는 ERDAS가 활용되었다.

  • PDF

홍수유출해석을 위한 운동파기반의 분포형모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Kinematic Wave-based Distributed Model for Flood Discharge Analysis)

  • 박진혁;허영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5호
    • /
    • pp.455-46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격자강우량과 격자기반의 수문정보와 연계하여 홍수기 유출량의 시공간적 분포를 파악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운동파(kinematic wave)이론에 근거한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은 홍수기동안의 지표흐름과 지표하 흐름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 분포를 모의할 수 있으며, 전처리과정으로서 ArcGIS 혹은 ArcView등의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형에 필요한 ASCII형태의 입력 매개변수 자료들을 가공하였다. 또한 후처리과정으로서 모형의 수행결과인 유역내의 유출량 분포 등을 GIS상에서 나타낼 수 있도록 ASCII형태로 출력하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남강댐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을 500m의 정방형 격자로 분할하고 수계망을 통하여 유역 출구까지 운동파이론에 의해 추적 계산하였으며, 수문곡선 비교결과 재현성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GIS 기반 지가산정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 (Integrated Simulation System of GIS and ANN for Land Price Appraisal)

  • 문태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0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내 필지 단위의 지가산정과 그 결과의 시각적 표현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현재 필지별 공시지가는 건교부의 ALPAS 프로그램으로 매년 산정 되지만, 시스템이 매우 번잡하고, 도시공간분석과 도시계획을 지원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해 개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가계산을 위해 뉴럴네트워크(Neural Network)이론을 도입하였으며, Matlab 4.0 어플리케이션으로 계산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계산 결과의 공간표현을 위해 ArcView GIS를 도입하였으며, 두 어플리케이션의 통합은 DDE(Dynamic Data Exchange)방식으로 통합하였다. 이는 Matlab을 서버로 설정하고, ArcView를 클라이언트로 설정함으로써 가능하였다. 사례연구는 진주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ArcView창의 메뉴에서 동명을 선택하면, Matlab에서 해당 동의 네트워크 모형을 구축하고, 필지 속성자료로 네트워크를 교육한다. 그 다음 ArcView 창에 고도제한, 미관지구, 도로 및 공원지정에 의한 지가 변동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버튼을 추가하여, 자동적으로 계산과 결과의 시각화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은 부수적인 보완을 거친다면, 도시계획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Planning Support System)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 PDF

GIS를 이용한 지하수개발 설계지원 시스템 (The Support System for Groundwater Development Design using GIS)

  • 김만규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207-225
    • /
    • 2001
  • 이 연구는 지하수개발사업 기초설계에 앞서, 타당성분석을 지원하는 GIS 기반의 지하수 사업 기초설계지원 시스템을 개발함이 목적이다. 시스템 환경은 Server/Client 환경으로 구축함으로써 지하수관련 자료를 효율적이고, 과학적으로 관리·분석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GIS S/W ArcView3.2, RDBMS ORACLE, Spatial DataBase Engine인 ArcSED 그리고, 지하수모의조작 프로그램으로는 WHPA와 AQTESOLV 등을 사용했으며, 그래픽 사용자 프로그램(GUI) 개발언어는 ArcView 전용언어인 Scripts를 이용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하면, 신규개발 예정관정에 대하여 WHPA를 이용한 모의양수 결과물을 GIS로 가져오고, 기설관정 영향반경과의 중첩 여부, 오염원 등과 비교하여 지하수관정개발사업의 허가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신설관정의 적정 지하수취수량을 판단함으로써 지하수관정 개발사업 및 기초설계를 지원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이 시스템의 산출물을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도면 및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인터/인트라넷을 이용하여 DB를 공유하는 2-Tier 시스템으로서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농림부와 농업기반공사 등 지하수 관련 부처들이 전사적으로 지하수관련 자료를 공유할 수 있으며, 정확성과 신뢰성 그리고 최신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