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quifer flow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 of Partial Flow Reductions on DNAPL Source Dissolution Rate

  • Park, Eung-Yu;ParKer, Jeck C.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8-151
    • /
    • 2005
  • Field-scale DNAPL dissolution is controlled by the topology of DNAPL distributions with respect to the velocity field. A high resolution percolation model was developed and employed to simulate the distribution of DNAPL within source zones. Statistically anisotropic permeability values and capillary parameters were generated for 10${\times}$10${\times}$10 m domains at a resolution of 0.05 to 0.1 m for various statistical properties. TCE leakage was simulated at various rates and the distribution of residual DNAPL in 'fingers' and 'lenses' was computed. Variations in finger and lens geometries, frequencies, average DNAPL saturations, and overall source topology were predicted to be strongly influenced by statistical properties of the medium as well as by injection rate and fluid properties. Model results were found to be consistent with observations from controlled DNAPL release experiments reported in the literature. The computed distributions of aquifer properties and DNAPL were utilized to perform high-resolution numerical simulations of groundwater flow and dissolved transport. Simulation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effect of grout or foam injection in bore holes within the source zone and of shallow point-releases of fluids with various properties on dissolution in DNAPL dissolution rate, even for widely spaced injection poi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measures that induced partial flow reductions through DNAPL source zones can significantly decrease dissolution rates from residual DNAPL. The benefit from induced partial flow reductions is two-fold: 1) local flow reduction in DNAPL contaminated zones reduces mass transfer rates, and 2) contaminant flux reductions occur due to the decrease in groundwater velocity

  • PDF

누수를 포함하는 지하수 유동의 프락탈 모델 적용에 의한 균열 암반 대수층의 수리상수 산출 (Computing Hydraulic Parameters of Fractured Aquifers Using Fractal Model of Groundwater Flow with Leakage)

  • 함세영;임정웅
    • 지질공학
    • /
    • 제4권2호
    • /
    • pp.219-229
    • /
    • 1994
  • 균열 암반내 지하수 흐름은 공간적으로 불규칙하게 분포하는 균열 발달 상태에 영향을 받으므로 균질의 등방성 피압 대수층에 적용이 가능한 Theis식으로는 균열 암반 대수층의 수리지질학적 특성을 똑바로 이해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흐름의 프락탈(Fractal)모델을 발전시킨 누수를 포함하는 프락탈모델의 이론적은 배경 및 수리상수 산출 방법을 제시하고,개발된 모델을 야외자료에 적용시켰다. 상기 모델은 홍천과 유성지역에서 수행된 양수시험 자료에 적용시킨 결과, 동일한 수리상수 값으로 양수정과 관측정에서의 관측된 수위하강 곡선과 이론적인 수위하강 곡선이 잘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홍천 지역과 유성 지역의 시험공 주위의 프락탈 차원은 1.9로 구해졌으며, 이것은 이들 지역의 지하수 흐름이 2차원보다 약간 작은 프락탈 차원을 보인다는 것을 지시한다.

  • PDF

지하수 흐름의 해석해를 이용한 토양진공추출 해석 (Analysis of Soil Vacuum Extraction using Analytical Solution of Groundwater Flow)

  • 김민환;이학;한동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139-145
    • /
    • 2009
  • 불포화지역의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위해 지하수 흐름 해석해를 토양 진공추출 설계에 적용시켰다. 토양 공극 속의 가스 밀도가 압력에 따라 달라지므로 가스나 증기의 흐름을 지배하는 방정식은 비선형이다. 선행 연구자 의해 선형화된 방정식은 지하수 흐름의 지배방정식과 유사하다. 압력대수층과 누수대수층의 압력강하량에 대해서 Massmann의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압력대수층에 대해서는 Massmann에 의해 제시된 Theis의 해를 수정하였으며 Theis의 해를 검증하기 위해 GASSOLVE9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Hantush의 해석해를 이용하여 누수대수층 구조에 대해서 압력 강하량을 계산하여 Massmann의 해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압력강하량에 대해 근사적인 결과를 얻었다.

암반대수층에서의 공내 유량측정기의 고정식 및 이동식 측정방법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Stationary and Trolling Methods of Flowmeter in Fractured Rock Aquifer)

  • 장기영;박학윤;김태희;여인욱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3호
    • /
    • pp.66-74
    • /
    • 2007
  • 공내 유량측정기의 고정식 및 이동식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암반대수층에서의 절리의 수리적 연결성 및 두 측정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고정식 측정방법의 경우 측정구간에서의 지하수의 유출 및 유입을 파악할 수 있어, 관정사이의 수리적 연결성을 해석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이동식 측정방법의 경우 유량측정기의 이동속도로 인해 지하수의 유출 및 유입 경향을 파악할 수 없었으나, 지하수 유출 및 유입이 일어나는 절리의 정확한 위치를 찾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두 측정방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지하수 유동절리의 위치 및 수리적 연결성을 파악하는데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원 수막재배 지역의 물수지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Groudwater Budget in a Water Curtain Cultivation Site)

  • 장선우;정일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6호
    • /
    • pp.1259-1267
    • /
    • 2015
  • 우리나라에서는 기존에 경험하지 못한 농촌의 지하수 개발문제가 새로운 도전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른바 수막재배(Water Curtain Cultivation : WCC)라 불리우는 동절기 농업활동이 주된 이슈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인 충북 청원군 수막재배지역내 충적대수층의 물수지를 검증하기 위해 3차원 유한차분모형인 MODFLOW를 구축하였다. 세계적인 추세인 학제간 융합방식을 현장규모에 맞게 도입한 지하수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특히 정밀한 지하수 함양량의 입력을 위해 SWAT모형을 이용한 소유역 지하수 함양량을 계산하였으며 양질의 현장자료를 기반으로 모형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검보정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표는 하천의 보와 배수 시스템과 같은 인위적인 경계조건하에서 지하수 양수가 진행될 때 하천과 대수층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모의하는 것이다. 또한 부지내의 누적 물수지의 계절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지하수 고갈과 회복량을 정량화할 수 있었다.

충남지역의 지하수개발에 관한 조사 (Research on the Ground Water Developement in the Region of Choong Nam Province)

  • 민병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827-1831
    • /
    • 1969
  • Resulties of research on the capacity of ground water of 994 concrete-pipe-wells and 97 infiltration-gallerys in ground-water-developement-works region executed from March to Julyin 1969, in Choong Chung Nam Do, and research on the quality of ground water for 88 wells for home-use around of River Geum Area, are as fellows: (1) Thickness of aquifer is no more than 2.85m averagely even at river-overflowed plain, alluvial plain and valley plain area that are estimated to contain ground water mostly. And so, it is guessed that ground water capacity is not much especially. (2) Soil of aquifer of the above area is sand or gravel and it is estimated to be good for ground water developement and its mean permeability coefficient is bout $2.5{\times}10^{-3}$(m/sec), and its porosity is about 33.9%. (3) The quality of ground water is good for irrigation water exception of delta plain area. Warm water plan is to need for irrigation water when water temperature is less than 19 degrees below zero. (4) Prospect of ground water developement, judging from quality and quantity, expects to lay infiltration gallery under the ground at river bed in order to utilize under-flow-water of river bed, river-overflowed plain, alluvial plain and valley plain that ground level is less than 50m. (5) Collectable water volume of under-flow-water of river bed is about 450 to $750m^3/day$ to be able to irrigate 3ha to 5ha of the cultivated land in case that infiltration gallery length is 50m and its depth is about 5m. (6) Collectable water volume at river-overflowed plain, alluvial plain and valley plain area, is estimated $150m^3/day$ to be able to irrigated 1ha of the cultivated land.

  • PDF

다중 환경추적자를 이용한 제주도 지하수 유동 및 수질 특성 분석

  • 고동찬;김용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38-141
    • /
    • 2004
  • The environmental tracers tritium/helium-3 (3H/3He) and chlorofluorocarbons (CFCs) were investigated in ground water from Jeju Island, Korea, a basaltic volcanic island. The apparent 3H/3He and CFC-12 ages were in relatively good agreement in samples with low concentrations of terrigenic He. Ground water mixing was evaluated by comparing 3H and CFC-12 concentrations with mixing models, which distinguished old water with negligible 3H and CFC-12, young water with piston flow, and binary mixtures of the two end members. The ground water CFC-12 age is much older in water from wells completed in confined zones of the hydro-volcanic Seoguipo formation in coastal areas than in water from the basaltic aquifer. Comparison of major element concentrations in ground water with the CFC-12 age shows that nitrate contamination processes contribute more solutes in young water than are derived from water-rock interactions in non-contaminated old water. Chemical evolution of ground water resulting from silicate weathering in basaltic rocks reaches the zeolite-smectite phase boundary. The calcite saturation state of ground water increased with the CFC-12 apparent (piston flow) age. In agricultural areas, the temporal trend of nitrate concentration in ground water was consistent with the known history of chemical fertilizer use on Jeju Island, but the response of nitrate concentration in ground water to nitrogen inputs follows an approximate 10-year delay. Based on mass balance calculations, it was estimated that about 40% of the nitrogen applied by fertilizers reached the water table and contaminated ground water resources when the fertilizer use was at the highest level.

  • PDF

유도침투량의 정량화를 위한 해석모형과 수치모형의 분석 (Analysis of Analytical Models and Numerical Model for Evaluating Induced Infiltration Rate)

  • 이도훈;이은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301-31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하천-대수층 계에서 수치모형과 두 종류의 해석모형을 적용하여 유도침투량 곡선을 유도하여 비교하였으며, 투수계수의 이방성비 및 지하수 유입 방향이 유도침투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유도침투량 곡선은 단순한 그래프 형태로 표시되며, 유도침투량, 양수량, 하천과 우물사이의 거리, 유동 지하수 유입량 등의 4가지 인자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유도침투량의 결정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검토된 조건 아래에서 Wilson 해석모형과 FEWA 수치모형의 유도침투량 곡선은 근사적으로 일치하였으며, 투수게수의 이방성비는 유도침투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방법과 도출된 결과들은 유도침투 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양수우물의 계획 및 설계, 용수공급 우물의 수질관리에 필요한 유도침투량과 양수량의 최적 결정에 적용될 수 있다.

  • PDF

황철석 광산 광미댐에서의 지하수흐름 경로탐지를 위한 물리탐사 적용 (Application of Geophysical Methods to Detection of a Preferred Groundwater Flow Channel at a Pyrite Tailings Dam)

  • 황학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30권2호
    • /
    • pp.137-142
    • /
    • 1997
  • 호주 남부 부룩캉가지역의 폐광된 황철석광산의 광미댐 (Tailings Dam)에서는 광미와 지하수의 반응으로 황산이 형성, 배출되어 주변의 토양, 하천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산성 폐수에 의한 환경오염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광미댐을 통하여 흐르는 지하수의 흐름경로를 파악하고 이를 감소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하수면 깊이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지하수의 주 흐름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 유용광물 탐사에 주로 사용된 물리탐사방법들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물리탐사방법으로는 시간영역 전자탐사 (TEM), DC 전기비저항탐사 그리고 자연전위 (SP)탐사법들이 사용되었다. SP법에 의하여 측정된 자연전위들은 매우 작았으며, SP자료해석만으로 주 지하수흐름의 경로규명이 어려웠다 TEM과 DC전기비저항 자료해석을 통하여 지하수면의 깊이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었으며, DC 전기비저항법은 주로 10m내의 천부 대수층 구분에 유용한 반면에 TEM법은 성부구조 결정에 더욱 좋은 분해능을 보였다 TEM과 DC탐사자료들의 복합역산 (Joint Inversion)은 각각의 역산 (Inversion)보다 정확한 지전기적 (Geoelectric) 단면도를 제공하였으며, 물리탐사에 의하여 결정된 지하수면 깊이들은 각 측점에 설치된 관측공에서 피에조미터 (piezometer)에 의하여 측정된 지하수 수위와 거의 일치하였다. 모든 TEM 및 DC탐사 자료해석을 통하여 산출된 지하수 수위도는 탐사지역의 남동부에서 약 1m의 가장 얄은 수위를 나타나며, 반면에 가장 깊은 심도 (약 17 m)의 지하수 수위는 탐사지역의 북서부에서 위치하였다. 또한, TEM 및 DC탐사 자료해석에 의하여 산출된 탐사지역내의 대수층의 전기비저항 분포도에서는 높은 전기전도도의 대수층은 광미댐의 북동부에 존재하며, 가장 낮은 전기전도도를 갖는 대수층은 댐의 남동부에 분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부터 오염이 되지 않은 신선한 (전기비저항이 높은) 지하수 유입의 근원은 광미댐의 남동부에 있음을 시사한다.

  • PDF

SWAT-MODFLOW를 활용한 남한강 복하천유역의 지하수 모의 평가 (Groundwater evaluation in the Bokha watershed of the Namhan River using SWAT-MODFLOW)

  • 한대영;이지완;장원진;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1호
    • /
    • pp.985-997
    • /
    • 2020
  • SWAT (Soil Water Assessment Tool)-MODFLOW은 준분포형 연속강우유출모형과 분포형 지하수 모형을 결합한 모델이다. 본 연구는 남한강에 위치한 복하천 유역의 지하수에 대해 SWAT과 SWAT-MODFLOW의 모의결과를 비교평가 하였다. 두 모델간의 비교에 앞서 각 모델은 유역 내 흥천 수위 관측소의 일별 유출량 자료와 율현 지하수위 관측데이터의 9년(2009 ~ 2017년)의 자료로 보정 및 검증되었다. SWAT의 경우 기저유량과 감수위에 영향을 주는 GW_DELAY, GWQMN과 ALPHA_BF를 이용하여 보정하였고 그 결과 결정계수(R2)는 0.70, Nash-sutcliffe 모델효율(NSEQ, NSEinQ)은 각각 0.73, -0.1을 나타냈다. SWAT-MODFLOW의 경우는 토양속성별 대수층 수리전도도(K, m/day), 비저류량(Ss, 1/m), 비산출량(Sy) 및 유효토심(m) 자료가 추가로 적용되었다. 동일 기간의 모의 결과 R2, NSEQ, NSEinQ는 각각 0.69, 0.74, 0.51을 나타냈다. 특히, SWAT-MODFLOW 적용결과 대수층의 수리지질학적 자료 입력을 통해 저유량 모의가 상당히 개선되었다. SWAT과 SWAT-MODFLOW의 총 유출량은 각각 718.6 mm, 854.9 mm이며 기저유량은 각각 342.9 mm, 423.5 mm로 산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