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queous medium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033초

잘피 게바다말로부터 폴리페놀 물질(MP-1)의 분리 및 동정 (Identification of Polyphenol Substances (MP-1) from Seagrass, Phyllospadix Japonica Makino)

  • 김해선;박년호;석호영;유상권;우정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0-54
    • /
    • 2022
  • BACKGROUND: Phyllospadix japonica Makino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Zosteraceae. This species is native to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 is found attached to rocks on the seashore. As with all seagrass species, P. japonica is also known to play a major role in protecting the marine environment, and studies on its physiological activities suggestive of its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potentials have been reported. In this study, purification and structural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polyphenol substances derived from P. japonica. METHODS AND RESULTS: An polyphenol substance MP-1 was purified from the 70% aqueous methanol extract of P. japonica using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 ODS column chromatography, and medium-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 The purified MP-1 was identified as rosmarinic aci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60 and a molecular formula of C18H16O8 through electrospray ionization (ESI)-mass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ic analysis.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processes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polyphenol substance derived from P. japonica. Rosmarinic acid, the polyphenol derived from P. japonica identified by this study, is a kind of bioactive substance mainly present in plants. These findings provid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and are valuable for future studies on bioactive substances in seagrass.

Electrochemical Detection of Hydroxychloroquine Sulphate Drug using CuO/GO Nanocomposite Modified Carbon Paste Electrode and its Photocatalytic Degradation

  • G. S. Shaila;Dinesh Patil;Naeemakhtar Momin;J. Manjanna
    • 전기화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31
    • /
    • 2024
  • The antimalarial drug hydroxychloroquine sulphate (HCQ) has taken much attention during the first COVID-19 pandemic phase for the treatment of severe acute respiratory infection (SARI) patients. Hence it is interest to study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and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the HCQ drug. Copper oxide (CuO) nanoparticles, graphene oxide (GO) and CuO/GO NC (nanocomposite) modified carbon paste electrodes (MCPE) are used for the detection of HCQ in an aqueous medium. Electrochemical behaviour of HCQ (20 μM) was observed using CuO/MCPE, GO/MCPE and CuO/GO NC/MCPE in 0.1 M phosphate buffer at pH 7 with a scan rate of 20 to 120 mV s-1 by cyclic voltammetry (CV). Differential pulse voltammetry (DPV) of HCQ was performed for 0.6 to 16 μM HCQ. The CuO/GO NC/MCPE showed a reasonably good sensitivity of 0.33 to 0.44 μA μM cm-2 with LOD of 69 to 92 nM for HCQ. Furthermore, the CuO/GO NC was used as a catalyst for the photodegradation of HCQ by monitoring its UV-Vis absorption spectra. About 98% was degraded in about 34 min under visible light and after 4 cycles it was 87%. The improved photocatalytic activity may be attributed to decrease in bandgap energy and enhanced ability for the electrons to migrate. Thus, CuO/GO NC showed good results for both sensing and degradation applications as well as reproducibility.

소수성 실리카를 안정제로 이용하는 수용액 상에서의 현탁중합법에 의한 폴리스티렌 입자 합성 (Preparation of Polystyrene Beads by Suspension Polymerization with Hydrophobic Silica as a Stabilizer in Aqueous Solution)

  • 박문수
    • 폴리머
    • /
    • 제30권6호
    • /
    • pp.498-504
    • /
    • 2006
  • 물을 반응매체로 하고 스티렌을 단량체로 하는 현탁중합법을 이용하여 입경이 $1{\sim}20{\mu}m$에 이르는 입자를 합성하고자 시도하였다. 소수성 실리카를 안정제로, azobisisobutyronitrile(AIBN)을 개시제로 선택하였다. 반응은 65에서 $95^{\circ}C$ 사이의 선택된 온도에서 진행하였다. 안정제의 농도는 물에 대하여 0.17 wt%에서 3.33 wt%까지 변화시켰으며, 개시제는 단량체에 대하여 0.13 wt%에서 6.0 wt%까지 변화시켰다. 소수성 실리카의 수용액 내의 분산은 정확한 pH 조절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pH 10에서 최적의 분산을 보였다. 안정제의 농도를 증가하는 경우 초기에는 평균입경이 감소하다 안정제의 농도가 1.67 wt%에서 최소 평균입경을 나타낸 후 증가하였다. 이는 과다한 안정제의 농도로 인한 반응매체 내에서의 이차반응과 이로 인한 입자간의 응집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안정제의 농도 증가에 따른 분자량은 안정제의 농도가 0.13 wt%에서 1.00 wt%의 사이에서는 일정하였으나, 안정제의 농도가 1.67 wt%를 초과하며 증가하였다. 이러한 분자량의 변화는 과다한 안정제로 인한 개시제의 활성 및 효율 저하, 그리고 반응매체 내에서의 이차반응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개시제의 농도 증가 및/혹은 반응온도의 증가는 반응속도와 입경을 증가시켰다. 그 결과, 소수성 실리카를 안정제로 하는 현탁중합반응에서 안정제의 농도, 개시제의 농도, PH 그리고 반응온도의 조절을 통하여 평균입경이 $1{\sim}20{\mu}m$ 영역에 포함되는 구형의 폴리스티렌 입자를 합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s}20cm$에 대해 $0.941{\pm}0.008,\;1.032{\pm}0.004,\;1.049{\pm}0.014$이다. 치료 계획용 시스템과 수 계산에 의한 MU값의 계산 비교결과 7개 기관의 값이 허용오차 범위를 벗어났다. 쐐기를 제외한 8가지 조건에서 계산된 평균 MU값들은 SAD 조건으로 출력 교정된 장비가 SSD 조건으로 교정된 장비에 비해 6 MV 광자선은 3 MU, 10 MV 광자선은 5 MU 정도 더 높았다. 쐐기를 사용할 경우 MU값은 Varian사 장비와 Siemens사의 장비에 따라 다르고 동일 각의 쐐기를 사용할 경우 Siemens사의 쐐기를 사용할 때 MU값이 크다. 결론: 수집된 광자선 빔 데이터를 분석하여 빔데이터의 정확성과 치료계획용 시스템의 계산 정확성을 대략적으로 점검 할 수 있는 기준 값을 제시하였다.동결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 이용된 OPS 동결 방법이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며 이 때가 최상의 교배 적기로 사료되며, 혈장 progesterone농도가 4.0 ng/ml 이상으로 증가한 날(Bay 0)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부터 CI는 혈장 estradiol-$17{\beta}$ peak 후 1일째인 최고치를 나타내었고, CI peak 후 1일째인 Day 0에 혈장 progesterone 농도가 최초로 4.0 ng/ml 이상으로 증가하여 CI가 90% 이상으로 지속된 시기가 최상의 교배 적기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혈장 progesterone농도 측정으로 정확한 배란 시기 및 교배 적기를 판정할 수 있으나, 시설비가 저렴하고 검사 방법이 간단한 질 세포 검사가 Shih-tzu 견에서 발정 주기, 교배

무기이온교환제를 이용한 알카리 금속이온 제거 (Removal of Alkali Metal Ion using Inorganic Ion Exchanger)

  • 하지원;이광복;이시훈;이영우;김종남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2호
    • /
    • pp.423-429
    • /
    • 2008
  • 석탄을 가스터빈에 직접 사용하여 발전 효율을 높이고자 용매추출법으로 회분이 제거된 청정석탄 제조공정이 개발되고 있다. 용매추출에 의해 생산된 청정석탄에는 미량의 알카리금속이온이 들어있어서 연소시에 터빈 날개의 부식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청정석탄 제조공정의 알카리금속이온 제거를 위하여 무기이온교환제인 ${\alpha},{\beta}$-인산금속 산화물들(ZP: $Zr(HPO_4)_2$, TP: $Ti(HPO_4)_2$, ZTP: $ZrTi(HPO_4)_4$, Z1TP3: $Zr_{0.25}Ti_{0.75}(HPO_4)_4$, Z3T1P: $Zr_{0.75}Ti_{0.25}(HPO_4)_4$)과 H-Y 제올라이트를 제조하여 수용액 및 석탄이 용해된 고온의 유기용매(N-methyl-2-pyrrolidone)에서 나트륨 이온 제거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beta}$ 형태의 인산금속산화물들은 모사 수용액($Na^+$ Conc. 100 ppmw)에서 ${\alpha}$ 형태에 비해 높은 이온교환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H-Y 제올라이트에 비해서도 높은 나트륨 이온 제거용량을 보여주었다. 이온교환매체가 고온의 유기용매($Na^+$ Conc. 12 ppmw in NMP)일 경우에는 H-Y 제올라이트의 나트륨이온 제거율은 $300^{\circ}C$까지 90% 이상이었으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50% 가량으로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beta}$ 형태의 인산금속산화물들은 여러 온도조건($250{\sim}400^{\circ}C$)에서 90%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내었고 강산용액을 이용한 재생 후에도 최초 실험과 유사한 나트륨 이온 제거율을 보여주었으며 그 중 가장 높은 제거율을 나타낸 $Zr_{0.75}Ti_{0.25}(HPO_4)_2$는 알카리금속이온 제거공정에 가장 적합한 무기이온교환제로 판단된다.

PVA-SbQ 수용성 감광성 고분자의 구조와 감도관계 및 칼라 수상관 스크린 공정에의 응용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 of PVA-SbQ Water Soluble Photosensitive Polymer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Process of Color Monitor)

  • 박이순;한윤수;김봉철
    • 공업화학
    • /
    • 제7권2호
    • /
    • pp.379-386
    • /
    • 1996
  • 광 이량화 특성을 나타내는 1-methyl-4-[2-(4-diethylacetylphenyl)ethenyl] pridinium methosulfate(SbQ-A염)를 dimethyl sulfate, terephthalaldehyde mono-(diethyl acetal) 및 4-picoline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SbQ-A염을 PVA와 반응시켜 동일(MW=77,000-79,000g/mol) 분자량을 가진 PVA내 SbQ의 함량이 다른 PVA-SbQ-H 시료 및 SbQ의 함량은 약 1.3mol%로 같으나 PVA의 분자량이 다른 PVA-SbQ-L들을 합성하였다. Gray scale(GS)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PVA-SbQ 수용성 감광성 고분자의 상대감도는 PVA내 SbQ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PVA의 분자량이 낮아질수록 감소하였다. PVA-SbQ-H의 경우 SbQ 함량이 2.63mol%인 시료는 PVA에 ammonium dichromate가 혼합된 기존시료보다 90배 증가된 감도를 나타내었다. PVA-SbQ를 사용하여 형광체 슬러리를 제조하고 사진식각공정을 거쳐 형광체의 미세패턴을 형성하였다. 형광체 슬러리 제조시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cetyltrimethyl ammonium chloride를 첨가제로 사용하면 형광면의 해상도가 증가됨을 알았다.

  • PDF

비정질 루테늄 산화물을 사용한 수계 Supercapacitor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percapacitor Based on Amorphous Ruthenium Oxide In Aqueous Acidic Medium)

  • 최상진;도칠훈;문성인;윤문수;육경창;김상길
    • 전기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1-26
    • /
    • 2002
  • 비정질 루테늄 산화물을 사용한 수퍼캐패시터를 개발하였다. 삼염화루테늄 수화물$(RuCl_3{\cdot}xH_2O)$로부터 제조한 비정질의 이산화루테늄 수화물$(RuO_2{\cdot}nH_2O)$을 사용하여 수퍼캐패시터 전극을 제조하였다. 집전체로는 티타늄 및 STS 304박막에 비해 보다 넓은 전위창을 가지는 탄탈륨 박막을 사용하였다. 제조한 전극과 4.8M 황산 전해액을 사용하여 수퍼캐패시터를 제조하였다. 전극의 비정전용량은 순환전위전류분석에서 미분 최대 값으로 산화 및 환원 과정 각각 710 및 $645\;F/g-RuO_2{\cdot}nH_2O$이었으며, 평균값은 $521\;F/g-RuO_2{\cdot}nH_2O$으로 나타났다. 수퍼캐패시터를 포화카로멜기준전극에 대하여 0.5 V로 protonation level을 조정하고, 충방전 시험한 바, $151\;F/g-RuO_2{\cdot}nH_2O$의 비정전용량을 나타내었다.

오메프라졸과 메글루민의 복합체 형성과 안정성 (Complexation of Omeprazole with Meglumine and its Stability)

  • 이계주;김성욱;도기찬;박종범;황성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7권4호
    • /
    • pp.253-263
    • /
    • 1997
  •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of omeprazole (OMP) and meglumine (MEG), a complex was prepared by freeze-drying method in ammoniacal aqueous medium at room temperature and subjected to IR, DSC, and 1H NMR analysis. In addition, the stability of the complex was tested by accelerated stability analysis, and the dissolution rate of both powder and enteric coated was determined pellet by paddle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 IR, DSC, and $^{1}H$ NMR studies indicate the formation of inclusion complex between OMP and MEG probably by electrostatic forces as $[OMP]\;[MEGH]^+$ form in a stoichiometric ratio (1:1) of OMP : MEG. ii) The dissolution rate of enteric coated OMP-MEG complex pellet in simulated enteric fluid was 90.6% in 10 minutes, which may satisfy the requirement for the regulation of dissolution. iii) OMP-MEG complex were decomposed according to pseudo 1st order kinetics: while the decomposition of OMP showed a rate constant $(k_{25^{\circ}C})$ of $5.13{\times}10^{-4}{\cdot}\;day^{-1}$, a half-life$(t_{1/2})$ of 1,350 days, a shelf-life$(T_{90%})$ 205 days and an activation energy of 23.53 kcal/mole. OMP-MEG complex inhibited a rate $(k_{25})$ of $2.92{\times}10^{-4}{\cdot}\;day^{-1}$, a half-life$(t_{1/2})$ of 2,373 days, a shelf-life $(T_{90%})$ of 306 days and an activation energy of 20.18 kcal/mole. iv) OMP was stabilized markedly by the formation of OMP-MEG complex between OMP and MEG, and the humidity increased the stability of OMP-MEG complex by decreasing the decomposition rate$(k_{50^{\circ}C})$ from $1.27{\times}10^{-2}{\cdot}\;day^{-1}$ at 31% R.H. to $2.54{\times}10^{-2}{\cdot}\;day^{-1}$ at 90% R.H.

  • PDF

TBP 용매추출에 의한 잔존 우라늄 제거공정 평가 (Evaluation of A Removal Process for the Residual Uranium from the Simulated Radwaste Solution by Solvent Extraction with TBP)

  • 이일희;김광욱;임재관;권선길;유재형
    • 공업화학
    • /
    • 제9권2호
    • /
    • pp.232-237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19계 성분 원소들이 함유된 모의 방사성 용액으로부터 미량 잔존하고 있는 U을 분리하기 위한 최적 조건 설정 및 연속공정으로의 구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공정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TBP에 의한 용매추출 공정을 선정하여 총 18단 2조의 연속식 용매추출 장치인 혼합정치조를 이용하였다. U, Np, 및 Tc의 추출율은 각각 99.2%, 32.1%, 및 99.9%이며, 기타 원소들은 1~4% 전도가 추출되었다. U의 경우 다성분계 회분식에서 얻어진 Nd나 Fe와 같은 공존원소의 영향으로 인하여 U이 약 80% 정도만이 추출된다는 기존 보고를 능가하는 것으로, 이는 다단 연속추출 장치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 같다. 그리고 Np의 추출율 감소는 질산용액에 존재하는 다양한 산화가 상태에 기인하며, Tc의 경우는 Tc과 공존하고 있는 Zr 또는 U과의 착물 형성에 의해 추출율이 증가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유기상으로 추출된 모든 원소들은 0.01M의 질산에 의해 99% 이상이 수용상으로 역추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TBP에 의한 잔존 U 제거 공정은 별 문제가 없다. 다만 Np이 추잔상과 U 생성물로 각각 분배되어 있으므로 방사성 핵종의 확산방지 측면에서 이를 한 공정에서 총괄 처리할 수 있는 공정 개발이 요구된다.

  • PDF

이중유제법에 근거한 미립자 제조 공정 중 단백질의 분산매로의 전이 양상 (Patterns of Protein Leaching to Dispersion Medium during W/O/W Double Emulsion-Based Microencapsulation Processes)

  • 조미현;최수경;사홍기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4권5호
    • /
    • pp.369-377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protein leaching to an external phase during an ethyl acetate-based, double emulsion microencapsulation process. An aqueous protein solution (lactoglobulin, lysozyme, or ribonuclease; $W_1$) was emulsified in ethyl acetate containing poly-d,l-lactide-co-glycolide 75:25. The $W_1/O$ emulsion was transferred to a 0.5% polyvinyl alcohol solution saturated with ethyl acetate $(W_2)$. After the double emulsion was stirred for 5, 15, 30, or 45 min, additional 0.5% polyvinyl alcohol $(W_3)$ was quickly added into the emulsion. This so-called quenching step helped convert emulsion microdroplets into microspheres. After 2-hr stirring, microspheres were collected and dried. The degree of protein leaching to $W_2$ and/or $W_3$ phase was monitored during the microencapsulation process. In a separate, comparative experiment, the profile of protein leaching to an external phase was investigated during the conventional methylene chloride-based microencapsulation process. When ethyl acetate was used as a dispersed solvent, proteins continued diffusing to the $W_2$ phase, as stirring went on. Therefore, the timing of ethyl acetate quenchi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degree of protein microencapsulation efficiency. For example, when quenching was peformed after 5-min stirring of the primary $W_1/O$ emulsion, the encapsulation efficiencies of lactoglobulin and ribonuclease were $55.1{\pm}4.2\;and\;45.3{\pm}7.6%$, respectively. In contrast, when quenching was carried out in 45 min, their respective encapsulation efficiencies were $39.6{\pm}3.2\;and\;29.9{\pm}11.2%$. By sharp contrast, different results were attained with the methylene-chloride based process: up to 2 hr-stirring of the primary and double emulsions, less than 5% of a protein appeared in $W_2$. Afterwards, it started to partition from $W_1\;to\;W_2/W_3$, and such a tendency was affected by the amount of PLGA75:25 used to make microspheres. Different solvent properties (e.g., water miscibility) and their effect on microsphere hardening were to be held answerable for such marked differences observed with the two microencapsulation processes.

산약(山藥)이 생쥐의 기아 stress 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oscoreae Rhizoma on the Change of Corticosterone Level and Rectal Temperature induced by Starvation Stress in Mice)

  • 민남기;이태희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6-85
    • /
    • 2006
  •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oscoreae Rhizoma(山藥) on the change of the corticosterone and the rectal temperature(直腸溫渡) of the mice induced by starvation stress(創戰 스트레스). Methods : After administration of Dioscoreae Rhizoma (0.25g/kg, 0.5g, 1.0g/kg, 3g/kg) three times, mice were starved. The corticosterone and rectal temperature were measured after 36.5 hours starvation stress. Results : The plasma cortiosterone levels in the S-2, S-3 and S-4 group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P<0.01) after 36.5 hours starvation stress. and rectal temperature was decreased in the control goup comparing with the normal group, but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Dioscoreae Rhizoma treated group. Conclusion : it might be recognized that Dioscoreae Rhizoma has preventive-effect against starvation stress and also it might be needed further study in various viewpoints. Objectives : This study was disegned to elucidate the short term effect of Rossa rugosae Radix o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of 3T3-L1 Preadipocyte. Methods: 3T3-L1 preadipocytes obtained from Korean Cell Line Bank were cultured in a D ulbecco’ s modified eagle medium(MEM) culture solution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FBS) and various concentrations of aqueous extract of Rossa rugosae Radix.. The short term effect of the extract of Rossa rugosae Radix o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of 3T3-L1 preadipocytes were investigate after treatment for 24 hours by measuring MTT. Oil Red 0 and latate dehydrogenase activity.. Results: The Rossa rugosae Radix extract inhibited significantly the proliferation of 3T3-L1 preadipocytes and tended to increase latate dehydrogenase activity in the media of differentiated 3T3-L1 preadipocytes & matured 3T3-L1 preadipocytes. the extract also inhibit the lipid accumulation of differentiated 3T3-L1 preadipocytes & matuered 3T3-L1 preadipocytes.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Rossa rugosae Radjx extract inhibited the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of 3T3-L1 preadipocytes. suggesting that Rossa rugosae Radix has anti-obesity effect: however further in vivo study is needed to demonstrate its pharmacological eff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