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quatic insect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5초

간질(肝蛭)의 중간숙주(中間宿主)인 애기물달팽이에 대한 몇가지 농약(農藥)의 독성시험(毒性試驗) (Toxicity of agricultural chemicals on Lymnaea viridis the intermediate host of Fasciola hepatica)

  • 김상기;이정길;이채용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55-460
    • /
    • 1993
  •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4 agricultural chemicals commonly used in this conuntry were experimentally assessed on Lymnaea viridis the intermediate host of Fasciola hepatica, which in non-target organism of these chemicals. The major habitat of the snail is rice paddies in Korea and many agricultural chemicals are used for weed, fungi or insect control in rice paddies and there is a general concern that certain levels of these chemicals could reach the aquatic ecosystem and possible alter the snail life. Agricultural chemical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two herbicides, an insecticide and a fungicide. The tenth generation of laboratory reared snails were selected and exposed to the varying concentrations(0-100 ppm) of these chemicals. As concentrations and time of exposure increase, the per cent mortality increases(p<0.01). $LC_{50}$(lethal concentration for 50% mortality) values of these chemicals on snail after 96-hour exposure were variable; iprobenfos showed the highest acute toxicity(12.6 ppm), while carbofuran showed the lowest acute toxicity(74.5ppm). Sublethal concentrations of chemicals after 96-hour exposure were also variable ; bentazone showed the highest chronic toxicity(0.81ppm), while carbofuran showed the lowest chronic toxicity(5.04 ppm).

  • PDF

Vaccination of Shrimp (Penaeus chinensis) against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 Ha, Yu-Mi;Gong, Soo-Jung;Nguyen, Thi-Hoai;Ra, Chae-Hun;Kim, Ki-Hong;Nam, Yoon-Kwon;Kim, Sung-K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964-967
    • /
    • 2008
  • Two structural protein genes, VP19 and VP466, of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were cloned and expressed in Sf21 insect cells using a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injection and oral feeding vaccines against WSSV for shrimps. The cumulative mortalities of the shrimps vaccinated by the injection of rVP19 and rVP466 at 15 days after the challenge with WSSV were 50.2% and 51.8%, respectively. For the vaccination by oral feeding of rVP19 and rVP466, the cumulative mortalities were 49.2% and 89.2%,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protection against WSSV can be generated in the shrimp, using the viral structural protein as a protein vaccine.

수생태 독성자료의 정규성 분포 특성 확인을 통해 통계분석 시 분포 특성 적용에 대한 타당성 확인 연구 (The Validation Study of Normality Distribution of Aquatic Toxicity Data for Statistical Analysis)

  • 옥승엽;문효방;나진성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92-202
    • /
    • 2019
  • Objectives: According to the central limit theorem, the samples in population might be considered to follow normal distribution if a large number of samples are available. Once we assume that toxicity dataset follow normal distribution, we can treat and process data statistically to calculate genus or species mean value with standard deviation. However, little is known and only limited studies a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oxicity dataset follows normal distribution or not. Therefore, the purpose of study is to evaluate the generally accepted normality hypothesis of aquatic toxicity dataset Methods: We selected the 8 chemicals, which consist of 4 organic and 4 inorganic chemical compounds considering data availa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species sensitivity distribution. Toxicity data were collected at the US EPA ECOTOX Knowledgebase by simple search with target chemicals. Toxicity data were re-arranged to a proper format based on the endpoint and test duration, where we conducted normality test according to the Shapiro-Wilk test. Also we investigated the degree of normality by simple log transformation of toxicity data Results: Despite of the central limit theorem, only one large dataset (n>25) follow normal distribution out of 25 large dataset. By log transforming, more 7 large dataset show normality. As a result of normality test on small dataset (n<25), log transformation of toxicity value generally increases normality. Both organic and inorganic chemicals show normality growth for 26 species and 30 species, respectively. Those 56 species shows normality growth by log transformation in the taxonomic groups such as amphibian (1), crustacean (21), fish (22), insect (5), rotifer (2), and worm (5). In contrast, mollusca shows normality decrease at 1 species out of 23 that originally show normality. Conclusions: The normality of large toxicity dataset was not always satisfactory to the central limit theorem. Normality of those data could be improved through log transformation. Therefore, care should be taken when using toxicity data to induce, for example, mean value for risk assessment.

생물자원의 논 잡초 생물학적 방제 효과와 그에 따른 수서동물과 곤충 종수 및 벼 수량 변화 (Effects of Biocontrol Agents on Weed Control, Abundance of Aquatic Animals and Insects, and Yield in Paddy Rice Fields)

  • 최효정;서상영;최선우;이창규;엄미정;김주희;안민실;최우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3-70
    • /
    • 2023
  • Golden apple snails (Pomacea canaliculat) (GAS) are widely used for weed control in rice cultivation. However, concerns on the ecological risk of invasive GAS species are increasing.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overall impacts of GAS on weed control, abundance of aquatic animals and insects, and rice yield, in comparison with that from other biocontrol agents such as loach (Misgurnus mizolepis) and catfish (Silurus asotus), which are alternatives for biological weed control in rice paddy cultivation. Field experiments included five treatments; control, herbicide, GAS, loach, and catfish. During the rice growth, weed appearance and biological abundance were monitored, and at harvest, the rice yield was determined. Weed control efficiency was the highest for GAS treatment (100%), followed by that for herbicide (95.8%), loach (57.5%), and catfish treatments (31.7%). Insect abundance was considerably decreased in GAS treatment due to heavy weed removal, which affects the habitat of aquatic animals and insects. The amount of rice yield (unit: kg 10 a-1) was in the order of GAS (798.9) > loach (708.1) = herbicide (700.7) > catfish (629.4) > control (496.0). Therefore, considering the weed control efficiency, biological abudance, and rice yield, loach could be a potential alternative for biological weed control in organic rice farming. However, the activity of the biocontrol agents are susceptibl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therefore, further studi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are essential to confirm these findings.

도시림 복원 및 관리 기술의 개발에 관한 연구 - 원식생 복원과 생물다양성 증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for Urban Forest Restoration and Management - Focus on the Restoration of Origin Vegetation and Improvement of Biodiversity -)

  • 김귀곤;조동길;김남춘;민병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7-37
    • /
    • 2000
  • This study aims at restoring urban forest destructed and eliminated by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city development and presenting a direction to manage remaining urban forest ecologically. To this end, an experiment zone where Populus tomentiglandulosa T. Lee were selective cutted and a control zone where Populus tomentiglandulosa T. Lee were kept intact were created in Chongdam Park located in Kangnam-ku, Seoul. Then, the structural changes of herbaceous plant species, the growth of targeted woody plants, and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insect and bird species were examined. The conclusions reac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ake of ecological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 it is good to selective cutting. Although timing, frequency, and methods may vary depending on the features and types of urban forest, the study revealed that selective cutting contributes to the restoration speed of origin vegetation and the enhancement of biodiversity including plants and insects. Second, as for the correlations of selective cutting and the appearance of plant species, the growth of origin vegetation, and insect distribution, the study showed that the impact of meteorological environment such as brightness is much greater than that of soil environment. Third, in order to manage urban forest, tramping pressure needs to be controlled efficiently. The efficient control of tramping pressure would contribute in the appearance of herbaceous plants. It would also be beneficial in promoting biodiversity of birds by removing the impact of people using routes. Fourth, in order to enhance the overall biodiversity of urban forest, diverse environment needs to be provide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upply water that is insufficient in urban forest. Providing habitats such as forest wetland performs an important function to amphibians and birds that require water as well as the appearance of aquatic plants and insects. Therefore, ways to introduce water efficiently should be initiated.

  • PDF

수질 모니터링을 위한 유해 물질 유입에 따른 생물체의 행동 반응 분석 및 인식 (Analysis and Recognition of Behavioral Response of Selected Insects in Toxic Chemicals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 김철기;차의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9B권5호
    • /
    • pp.663-67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자동 추적 시스템을 이용하여 카바메이트 계열의 농약인 카보퓨란의 치명적인 투여에 대하여 반자연적인 조건에서 반응하는 깔따구의 움직임을 관찰하였다. 4령기에 있는 깔따구를 $6cm\times{7cm}\times{2.5cm}$ 크기의 서식 장소와 $18^\circ{C}$의 수온, 명기와 암기를 각각 10시간, 14시간의 조건에서 관찰을 하였다. 추적 시스템은 깔따구 몸체의 부분 점들을 탐지하여 추적하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은 반자연적인(semi-natural) 상태에서 진행되었으며 약제 카보퓨란(Carbofuran 0.1mg/l) 처리 전 후 이틀씩 모두 4일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약제의 처리후에 압축된 지그제그 형태로 나타나는 "떨림 현상"과 같은 비정규적인 행동들이 종종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약제 처리된 종들의 행동 변화를 탐지하기 위하여, 웨이블릿 분석이 다른 움직임 패턴들을 특징화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이산 웨이블릿에 기반하여 추출된 파라미터들은 약제처리 전후의 움직임에 대한 다른 유형의 패턴들을 표현하기 위하여 인공 신경망을 통하여 학습되었다. 이러한 웨이블릿과 인공 신경망의 통합 모델은 특징화된 움직임 패턴들의 발생 시점을 탐지할 수 있었으며, 수질 모니터링을 위한 독성 물질의 유입을 자동으로 탐지할 수 있는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을 알 수 있었다.

2종의 수서곤충 Chironomus riparius와 Cloeon dipterum의 유충 성장단계별 molinate 급성독성 비교 (Comparison of Acute Toxicity of Molinate on Two Aquatic Insects, Chironomus riparius and Cloeon dipterum in Different Larval Stages)

  • 김병석;박연기;홍순성;양유정;박경훈;정미혜;김세리;박경훈;예완해;김두호;홍무기;안용준;신진섭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56-261
    • /
    • 2009
  • 우리나라에서 수도용제초제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molinate는 농약성수기에 하천수중 검출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는 농약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molinate의 Chrinomus riparius(깔따구류)와 Cloeon dipterum(하루살이류)의 유충의 성장단계별 급성독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C. riparius의 령기별 molinate의 급성독성을 비교한 결과 1령 유충의 48시간 $EC_{50}$은 7.8 mg/L로 가장 감수성이 높았으며 2령 유충은 25.0 mg/L, 3령 유충은 22.9 mg/L로 나타나 2령과 3령의 감수성은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령 유충의 경우 48시간 $EC_{50}$이 50 mg/L 이상으로 나타나 가장 감수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루살이(C. dipterum) 유충의 경우에도 제일 어린 유충 group의 감수성이 가장 민감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96시간 $EC_{50}$은 14.3~24.1 mg/L범위였다. 결론적으로 수서곤충의 유충 령기별 독성 평가결과 가장 어린 개체가 가장 민감한 것으로 조사되어 독성 시험시 방법과 목적에 맞는 적절한 유충 성장단계를 선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약의 수생태계 위해성 평가에서 우리나라 농수로에 서식하는 대표 수서곤충인 하루살이 유충의 활용 가능성을 제안 하고자 한다.

배내천 중류의 저서성 대형무배유동물에 대한 연구 3. 4계절의 표류 수서곤충

  • 오용남;전태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4호
    • /
    • pp.489-499
    • /
    • 1993
  • 1989년 8월부터 1990년 5월까지 4계절에 걸쳐 낙동강 지류인 배내천 중류에서 drift net를 이용하여 표류하는 수서곤충을 채집하고 저서 채집 결과와 비교하였다. 총 6목 31과 4속 44종 4452개체가 채집되었는데, 가장 많은 종이 채집된 계절은 가을이었으나, 개체수는 Baetis, Pseudocloeon, Eporus, Heptagenia속 등의 하루살이목이 급중한 봄에 가장 높게 채집되었다. 일반적으로 저서 채집보다는 표류 채집에서 적은 종류가 출현하였다. 주요목별로 계절적 출현 양상을 비교해본 결과 파리목은 저서 채집과 표류채집에서 전체적으로 22%의 비율로 유사하게 출현하였고, 하루살이 목은 저서 채집(33%)보다 표류채집(62%)에서 높은 비율로 채집되었으며, 이보다 낮게 출현한 강도래목과 날도래목은 표류 채집보다 저서 채집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겨울을 제외하고는 표류 채집에서 하루살이목에 속하는 Pseudocloeon sp., Heptagenia sp., Baetis sp. 등이 제1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저서 채집에서는 날도래목은 Lepidostoma sp. 와 파리목인 Diamesa sp.등이 제1우점종으로 나타났 다. 일반적으로 collector와 scraperdo 해당하는 1차 소비자들이 많이 표류하였는데, collector는 겨울에 많이 표류한 반면, scraper는 겨울에 상대적으로 적게 표류하였다. 대체로 유속이 느린 곳에 서식하는 shredder나, 2차 소비자인 predatro들은 적게 표 류하였다. Habit group으로서는 clinger와 swimmer들이 많이 표류한 반면 burrower 와 sprawler들은 전반적으로 적게 출현하였다. Clinger는 여름에 상대적으로 적게 표류하였고, Swimmer는 봄에 많이 출현하였다.

  • PDF

논 서식 물땡땡이과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Scavenger Beetles (Hydrophilidae) in Korean Paddy Field)

  • 한민수;방혜선;김명현;강기경;정명표;이덕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27-433
    • /
    • 2010
  • 논을 포함한 주변의 일시적 또는 연속적인 정수지를 가지는 논생태계는 다양한 수서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함으로서 국가 생물다양성 확보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수로정비, 경지정리 등에 의해서 서식환경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일어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논생태계 내에 출현하는 수서곤충 중에서 상위 포식자 역할을 하고 있는 물땡땡이류의 전국 분포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논 내에서 총 15종의 물땡땡이류가 확인되었다. 그중 전국적으로 애넓적물땡땡이(98.6%)와 점물땡땡이(87.7%)가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대부분의 물땡땡이류는 경지정리가 이루어진 들에 위치한 논(33.7%)보다는 곡간에 위치한 논(5.0%)에서 출현빈도가 높았다. 한일넓적물땡땡이(1.4%), 등볼록물땡땡이(2.9%) 및 새가슴물땡땡이(4.3%) 3종은 곡간과 들 모든 지역에서 낮은 출현빈도를 보였다. 잔물땡땡이, 애물땡땡이, 알물땡땡이, Berosus elongatulus, 점박이물땡땡이, 뒷가시물땡땡이 및 북방물땡땡이 7종은 지역 특이적 분포 특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종들은 향후 기후변화를 포함한 농업환경변화에 따른 논생태계 생물의 변화를 연구함에 있어서 좋은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금강에 서식하는 꺽지(Coreoperca herzi)의 식성 (Studies on the Feeding Habits of Korean aucha perch, Coreoperca herzi in the Geum River,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72-478
    • /
    • 2017
  • 꺽지의 식성 분석을 위해 금강에서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 채집을 하였고 크기는 전장이 38~70 mm, 71~109 mm, 110 mm 이상 등 3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먹이생물은 수서곤충에 속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잠자리목(Odonata), 강도래목(Plecoptera), 딱정벌레목(Coleoptera), 파리목(Diptera), 날도래목(Trichoptera) 등과 어류 이었다. 꺽지는 수서곤충을 주로 섭식하였고 개체수에 있어 98.8%, 생체량은 55.8%, 상대중요성 지수는 97.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식성은 육식성이었으며 먹이 섭취 특성과 형태는 Keenleyside의 분류를 적용하면 육식포식자(stalker)에 속하였다. 꺽지의 주요 먹이원은 하루살이류, 파리류, 날도래류 등이었고 잠자리류, 강도래류, 딱정벌레류, 어류 등은 희소하게 섭식하고 있었다. 꺽지는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섭식한 먹이의 생체량에 있어 하루살이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날도래류와 어류가 증가하는 먹이 전환이 발생 하였다. 딱정벌레류와 파리류는 큰 변동이 없이 일정하였다. 전반적으로 꺽지는 먹이생물의 구성이 계절에 따라 큰 변화는 없었다. 하천에 있어 꺽지의 자연증식과 서식지를 복원할 경우 주요 먹이원인 하루살이류, 파리류, 날도래류 등이 다량 서식할 수 있도록 조성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