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quatic animal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3초

시화호 인공습지 조성 후 조류군집의 변화 (Changes in Bird Community in Artificial Wetlands of Sihwa Lake, South Korea)

  • 허위행;이우신;임신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9-286
    • /
    • 2005
  • 본 연구는 시화호 인공습지 조성 후 이지역에 도래, 서식하는 조류군집의 특성과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조류서식지로서 인공습지의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2000년 5월부터 2002년 1월까지 실시되었다. 조사 기간 동안 관찰된 조류는총 71종이었다. 전반적으로 1차 년도에는 적은수의 종이 적은 개체수로 고르게 관찰되었으며, 2차 년도에는 종 수와 개체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도요$\cdot$물떼새류와 맹금류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시간 경과에 따른 조류의 증가 현상에 대한 원인을 명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로서는 시화호 인공습지지역, 특히 담수 습지는 도요$\cdot$물떼새류 보다 수면성 오리류의 서식에 보다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화호 인공습지는 현재 갈대밭과 담수습지의 단순한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조류가 도래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서식 환경의 다양성을 높이는 습지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1) 계절에 따른 담수 습지의 수위조절,2) 다양한 종의 습지식물이 생육하는 환경을 조성, 3) 일정 면적에 모래밭이나 자갈밭, 초지 등을 조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성장기 잉어(Cyprinus carpio) 사료에 있어서 단백질원으로서의 혈분 첨가효과 (Effects of Dietary Blood Meal as a Protein Source in Growing Common Carp (Cyprinus carpio))

  • 송민헌;이경준;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43-354
    • /
    • 1995
  • 순환여과식 사육수조에서 잉어(Cyprinus carpio) 치어를 사육하면서, 사료 단백질원인 혈분의 첨가 함량에 따라 총 5개 실험군을 3 반복으로 무작위 배치하고 6 주 동안 사육실험을 하였다. 실험사료의 단백질원은 동물성 $20\%$, 식물성 약 $75\%$를 사용하였고, 조단백질 $40\%$, 3,640 kcal/kg을 기준으로 실험실에서 제조하였다 : 사료 1 (100 FMP, control), $100\%$ fish meal protein : 사료 2 (25 BMP), $75\%$ fish meal $protein+25\%$ blood meal protein : 사료 3 (50 BMP), $50\%$ fish meal $protein+50\%$ blood meal protein ; 사료 4 (75 BMP), $25\%$ fish meal $protein+75\%$ blood meal protein ;사료 5 (100 BMP), $100\%$ blood meal protein. 6 주간의 주사육실험 결과, 혈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체량과 사료효율이 증가하였다. 대조군(100 FMP)에 비해 75 BMP와 100 BMP실험군의 증체량과 사료효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3주간의 교차확인실험에서도 100 FMP 대조군보다 100 BMP 실험군에서 높은 증체량과 사료효율을 나타내었다. (P<0.05). 사료의 유인성평가실험은 100 FMP와 100 BMP사료의 유인성을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유인성평가 결과, 초기에는 100 BMP 실험군의 유인성이 100 FMP 대조군보다 낮았으나 2 주만에 큰 차이가 없게 되었다. 본 실험결과, 성장기 잉어 사료의 단백질원으로서 어분단백질을 혈분단백질로 $100\%$까지 대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경제적인 조피볼락용 배합사료 설계 및 평가 (Evaluation of Economical Feed Formulations for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상민;전임기;이창국;임치원;김태진;민진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55-264
    • /
    • 1996
  • 여러 가지 종류의 단백질 원료를 혼합하여 성장이 좋고, 가격이 싼 조피볼락용 배합사료를 개발하기 위해 설계한 사료의 효과를 사육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북양어분 간접식 $29\%$와 갈색 어분 $29\%$ 첨가구를 대조구로 정하고 원료의 필수아미노산 조성을 고려하여 대두박, 콘글루텐 밀, 육분, 혈분, 우모분, 소맥분을 각각 다른 비율로 첨가하여 어분 단백질원인 북양어분과 갈색어분을 $40\%$에서 $65\%$까지 대체한 사료 6종류와 RMP(생사료+분말사료)구를 선정하여 총 8종류의 실험사료를 제조하였다. 33 g 전후의 조피볼락을 실험사료마다 각각 3반복으로 15주간 사육 실험한 결과, 증체율은 사료 2, 3, 4구와 RMP 사료가 대조구와 유의차없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P>0.05). 반면에 사료효율은 RMP구가 가장 높았고, 사료 7이 가장 낮았다. 어체 1 kg 증육시키는데 소요되는 사료원가는 RMP구가 1,332원으로 가장 높았고, 대조구가 539원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사료들은 $452\~498$원으로 비슷하였다. 위와 같이 사료 $5\~7$을 제외한 사료들은 성장효과가 대조구와 유의차가 없어 30 g 이상의 어체에서는 식물성 및 동물성 원료를 적절히 혼합 첨가하면 사료중의 어분을 $55\%$까지 대체 가능하였으며, 양식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생식소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사물질에 의한 메기(Silurus asotus)의 배란유도 (Induced Ovulation in Catfish (Silurus asotus) by GnRH-Analogue)

  • 권혁추;최낙중;박홍양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05-213
    • /
    • 1996
  • 한국산 메기의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산란유도를 위한 연구로써 GnRH-a의 이용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GnRH-a 처리된 메기의 산란유도율은 어체중 kg당 70 ${\mu}g$에서 $67\%$, 90 ${\mu}g$에서 $86\%,\;120{\mu}g$이상에서는 $100\%$로 나타났다. 호르몬 주사후 산란이 유도되기까지 대체로 $22\~25$시간이 소요되었다. 생식소중량지수(GSI)는 $100\%$의 산란유도율을 보인 120 ${\mu}g/kg$처리된 그룹에서 $23\~30\%$를 pseudo-GSI는 $18\~21\%$로 비교적 높고 고른 분포를 나타냈으며, 산란된 난의 수는 어체중 kg당 $58,000\~65,000$개 였다. 또한 수정률 및 부화율은 각각 $94\%$$81\%$로 나타났다. GnRH-a 처리에 따른 뇌하수체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관찰한 바, 호르몬 주사전 성숙한 암컷 메기의 생식소자극호르몬 분비세포(gonadotrops)는 전자밀도가 높은 $150\~300$ nm 크기의 수 많은 소과립과 $800\~1000\;nm$의 전자밀도가 다소 낮은 소수의 대과립의 존재가 관찰되었다. 한편 호르몬주사후의 gonadotrops에서는 대소 과립들의 현저한 소실과 rER의 현저한 증가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GnRH-a에 의해 생식소자극호르몬의 대량방출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GnRH-a의 사용은 기존의 HCG 및 잉어뇌하수체 분말보다 적어도 $2\~3$ 배이상의 비용절감을 가져와 메기의 인공 종묘 생산에 매우 효과적이고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빈산소 수괴해역 용존산소 환경개선장치 개발과 현장 적용 (Development of a Field Oxygenation Device and Its Practice in the Oxygen Depleted Water Mass)

  • 이용화;김영숙;심정민;권기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9-344
    • /
    • 2010
  • 빈산소 수괴는 산소 부족뿐만 아니라, 용존산소의 결핍에 따른 혐기 상태에서 생성된 황화수소와 암모니아 등 유독가스가 어 패류를 직접 폐사시키거나, 저서생물 군집의 출현종과 개체 수에도 심각한 영향을 마친다. 본 연구에서는 빈산소 수괴가 발생한 해역의 저층 해수를 펌핑하여, 액체산소를 용해시켜 용존산소 농도를 20 mg/L 이상으로 상승시킨 해수를 다시 저층으로 주입하는 장치를 개발하여 그 효능을 검토하였다. 이 장치를 이용하여 해수를 $3.6\;m^2$/min 용량으로 저층에 주입하면서 액체산소를 분당 4.8~26.3 L 범위로 공급할 때, 단시간에 해수 중 용존산소 농도는 7~25 mg/L로 상승하였다. 이때 공급한 액체산소는 해수 중에 90% 이상 용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장치는 산소를 용해시키기 위한 별도의 탱크가 필요 없고, 해수를 수면위로 퍼 올리는 높이가 낮아도 되므로 적은 동력을 이용하여 높은 효율로 고농도의 산소를 저층에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장치는 연안 및 호소의 저층 빈산소 수괴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어 빈산소 수괴 발생으로 인한 양식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coupling Protein 3 in the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Sequence, Splicing Variants, and Association with the AvaIII SINE element

  • Kim, Soon-Hag;Choi, Cheol-Young;Hwang, Joo-Yeon;Kim, Young-Youl;Park, Chan;Oh, Berm-Seok;Kimm, Ku-Chan;Scott A. Gahr;Sohn, Young-Chang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
    • /
    • 2004
  • A rainbow trout uncoupling protein 3 (UCP3) cDNA clone, encoding a 310 amino acid protein, was cloned and sequenced from a liver cDNA library. Two different splice variants designated UCP3-vl and UCP3-v2, were identified through liver cDNA library screening using rainbow trout UCP3 cDNA clone as a probe. UCP3-vl has 3 insertions in the UCP3 cDNA: the first insertion (133 bp), the second (141 bp), and the third (370 bp) were located 126 bp, 334 bp and 532 bp downstream from the start codon, respectively. UCP3-v2 contained a single insertion, identical in sequence and location to the second insertion of UCP3-vl. UCP3, a mitochondrial protein, functions to modulate the efficiency of oxidative phosphorylation. UCP3 has been detected from heart, testis, spinal cord, eye, retina, colon, muscle, brown adipose tissue and white adipose tissue in mammalian animals. Human and rodent UCP3s are highly expressed in skeletal muscle and brown adipose tissue, while they show weak expression of UCP3 in heart and white adipose tissue. In contrast to mammalian studies, RT-PCR and Southern blot analysis of the rainbow trout demonstrated that UCP3 is strongly expressed in liver and heart. UCP3, UCP3-vl, and UCP3-v2 all contain an Ava III short interspersed element (SINE), located in the 3'untraslated region (UTR). PCR using primers from the Ava III SINE and the UCP3 3'UTR region indicates that the UCP3 cDNA is structurally conserved among salmonids and that these primers may be useful for salmonid species genotyping.

잉어사료에 있어서 피혁분과 육골분의 어분대체원으로서의 평가 (Evaluation of Leather Meal and Meat and Bone Meal as the Fish Meal Replacer in Israeli Carp Diets)

  • 배승철;장혜경;김경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3-161
    • /
    • 1997
  • 본 연구는 잉어 사료의 어분 대체사료원으로서 피혁분과 육골분의 이용 가능성과 어분단백질 대체 범위를 결정하고 잉어용 어분대체품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실험사료의 단백질원으로 동물성으로는 북양어분(White Fish Meal, WFM), 피혁분(Leather Meal, LM), 육골분(Meat & Bone Meal, MBM)을 식물성으로는 대두박(Soybean Meal, SM), 콘글루텐밀(Corn Gluten Meal, CGM)을 사용하였고, 조단백질 함량은 39.5%, 가용성 에너지는 15.3 KJ/g으로 동일하게 맞추었고, 실험사료내의 어분대체 비율은 다음과 같다 : diet 1 (대조구), 100% white fish meal (WFM, control) : diet 2, 75% WFM+25% leather meal (LM) : diet 3, 50% WFM+50% LM : diet 4, 75% WFM+25% meat and bone meal (MBM) : diet 5, 50% WFM+50% MBM. 일주간의 먹이붙임후에 잉어는 각 실험군별 평균어체중 10 g이 되도록 하여 3반복으로 무작위 배치하였고, 첫 번째와 두 번째 4주간의 사육기간이 끝난 8주후에는 평균어체중이 28 g이 되도록 재배치하여 세 번째 4 주간동안 사육하였다. 사료는 1일 3회 어체중의 2.7-4%로 12주간 공급하였다. 첫 번째와 두 번째 4주후 사료 1(대조구)과 2의 증체율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P>0.05), 사료 3, 4, 5는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이와는 달리 세 번째 4주후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전 사료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전어체 일반성분 분석결과, 8주의 수분과 12주의 조지방을 제외하고는 모든 사료구의 일반성분치(수분,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에 있어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실험 결과, 사료내 동물성 단백질원으로 피혁분과 육골분은 충분한 먹이붙임후에 어분단백질의 50%까지 대체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 PDF

Artemia nauplii와 Mytilus edulis 유생에 대한 Candida utilis의 먹이효율 (Dietary Value of Candida utilis for Artemia Nauplii and Mytilus edulis Larvae)

  • 김해영;김중균;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8-73
    • /
    • 2009
  • 식물먹이생물인 미세조류를 대체할 수 있는 효모를 개발하기 위하여 빵효모 (S. cerevisiae), C. utilis 및 K. fragilis의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이들 3종류 효모의 세포벽을 제거한 것과 제거하지 않은 것을 Artemia nauplii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그 중 가장 좋은 먹이효율을 보인 C. utilis를 택하여 진주담치 유생을 대상으로 그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또 효모의 먹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 utilis의 세포벽을 약 25%, 50%, 75% 제거하여, 그에 따른 진주담치 유생의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Artemia nauplii의 실험결과 C. utilis는 빵효모나 K. fragilis보다 높은 생존율과 성장을 보였다. Artemia nauplii와 진주담치 유생 실험 모두에서 C. utilis의 세포벽을 제거하여 공급한 실험구는 제거하지 않은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과 성장을 보였다. 또 세포벽을 많이 제거할수록 성장과 생존율은 높은 경향이었다. 세포벽을 75% 제거한 C. utilis를 공급한 진주담치 유생의 생존율과 성장은 대조구인 I. galbana를 공급한 실험구와 유의성이 없었다. 또 세포벽을 75% 제거한 C. utilis를 I. galbana와 50%씩 혼합하여 공급한 진주담치 유생은 I. galbana만을 100% 공급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성장을 보였다(P<0.05). 따라서 세포벽을 75% 제거한 C. utilis는 조개류의 대표적 먹이생물로 알려진 I. galbana를 최소 50% 이상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청주시 환상녹지의 경관 파편화 실태와 지속가능한 녹지관리 방안 모색 (Landscape Fragmentation of Circular Greenspace in Cheongju and Requirements for a Sustainable Development)

  • 김재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9-97
    • /
    • 2012
  • 2002년 그린벨트 해제 이후 청주시 환상녹지에서의 주거지 확대와 주요 간선도로의 확충 등 토지이용의 변화로 인한 경관파편화를 조사하고, 비오톱 조사결과와 비교하여 생물 종풍부성에 미친 영향을 파악해 보았다. 취락확대는 동부 산림구역을 제외한 시가지에 연접한 전 구역에서 이루어졌고, 도로밀도는 지역간 도로의 교차로가 있는 남북 구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관파편화가 종풍부성이나 개체 풍부성에 미친 영향은 동물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조류의 경우 경관파편화 외에 먹이활동이 용이한 수변환경에의 근접성이 중요하게 작용하여 파편화 정도가 높은 남북(N2, N3, N4, S2) 구역에서도 종풍부성이 높게 나타났다. 양서파충류는 조류에 비해 출현 종수의 존간 편차가 거의 없기는 하나, 파편화가 클수록 종풍부성이 낮아지는 경향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청주시의 지속가능한 녹지관리를 위해서는 경관생태에 대한 정보 축적을 기반으로 하여 경관생태계획과 도시계획을 통합 관리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구되고, 다양한 지역사회 구성원의 참여와 또한 인접한 청원군과의 월경 녹지관리 협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양식 동남아산 뱀장어, Anguilla bicolor의 Anguillid herpesvirus-1 (AngHV-1) 감염증 (Outbreak of Anguillid herpesvirus-1 (AngHV-1) infection in cultured shortfin eel (Anguilla bicolor) in Korea)

  • 박성우;정은빈;김동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1-158
    • /
    • 2012
  • 양식 동남아산 뱀장어 Anguilla bicolor에 아가미의 출혈 및 간장의 충혈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의 원인을 조사한 결과 Anguillid herpesvirus (AngHV-1) 의 감염이 확인되었다. 병어는 병리조직학적으로 아가미의 상피세포의 증생과 모세혈관의 출혈, 간장의 공포변성 및 중심정맥의 충혈이 관찰되었다. 병어를 $35^{\circ}C$에 10일간 승온 사육한 결과 아가미의 형태가 건강어의 아가미와 유사한 형태로 회복되었으며, 폐사율도 10%로 승온 처리가 폐사율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