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quatic Toxicity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29초

환경독성 평가를 위한 좀개구리밥(Lemna gibba)의 성장저해시험법에 관한 연구 (Use of Duckweed (Lemna gibba) Growth-Inhibition Test to Evaluate the Toxicity of Chromate in Korea)

  • 김은주;이성규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6권4호
    • /
    • pp.205-209
    • /
    • 2001
  • Lemna gibba was newly cultured and provided for toxicity tests. In this study, the chromate toxicity tests for Lemna gibba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OECD Lemna growth inhibition test guideline. The test species was Lemna gibba, and the tests were repeated 5 times. To evaluate the toxicity test results, the average specific growth rate, EC50, 95% confidential limit, and variances were calculated. The test performance was analyzed by the doubling time and test statistics. The average values of EC50 data determined by logistic and linear interpolation curves were 25.9 ppm and 35.4 ppm respectively (by chromate concentration). The doubling time of all controls were below 2.5 day, so all tests passed the criteria for the test performance. This study introduced a new test method, Lemna growth inhibition test, which is provided for the hazard assessment of aquatic environment.

  • PDF

Effect of the Chemical Reduction by Ferrous ions on Chromate Toxicity to Daphnia magna

  • Park, Kyeong S.;Man B. Gu;Kim, Sang D.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1년도 춘계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 /
    • pp.122-122
    • /
    • 2001
  • The reaction kinetics of hexavalent chromium with ferrous ions were studi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reduction on the toxicity of chromium to aquatic organisms. The changes in chemical forms of the chromate in the presence of ferrous ions were examined in a bioassay system using Dphnia magna as a test organism. (omitted)

  • PDF

농약의 노출시간에 따른 급성어독성의 변화 (The changes of acute toxicity of pesticides depending on the exposure time to killifish, Oryzias latipes.)

  • 신천철;이성규;노정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4-129
    • /
    • 1988
  • 담수산 어류인 송사리(Oryzias latipes)에 대한 6개 농약의 급성독성을 7일동안 시간의 경과에 따라 측정, toxicity curve를 작성하여 각 농약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급성독성 발현의 현상을 평가하고 48시간 및 96시간 LC50값과 lethal threshold 농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약의 toxicity curve를 중심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급성독성값의 변화를 보면 butachlor가 120시간째, fenobucarb가 48시간째, chlorothalonil이 48시간째 lethalthreshold 농도를 나타내어, 각각 120시간, 48시간만에 급성독성현상이 더이상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발현되지 않으나, 나머지 3개의 농약인 alachlor, diazinon, iprobenfos는 노출 7일 이후에도 계속 급성독성현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6개의 농약에 대한 lethal threshold 농도는 butachlor 0.53 mg/l(0.49-0.57 mg/1), alfachlor 1.15 mg/1>, fenobucarb 10.3 mg/1(9.3-11.4 mg/1), diazinon 6.70mg/1>, chlorothalonil 0.085 mg/1(0.082-0.087 mg/1), iprobenfos 3.42 mg/1>이었다. 결국 노출시간 96시간이내에 독성현상이 발현되어 더이상 치사율이 증가하지 않은 농약은 6개중 2종류뿐이며 나머지 4개중 3개에서는 노출후 7일이 경과하여도 계속하여 독성이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국내 생물종을 이용한 생태독성평가 기반연구 : (I) 어류 (Fundamentals of Ecotoxicity Evaluation Methods using Domestic Aquatic Organisms in Korea : (I) Fish)

  • 남선화;양창용;안윤주;이재관
    • 생태와환경
    • /
    • 제40권2호
    • /
    • pp.173-18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독성시험법 중에서 시험종이 국내에 서식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사용된 노출 기간, 종말점 등 시험 세부 조건을 집약하여, 향후 생태독성 시험법개발 연구를 위한 각각의 생물종별 생태독성 시험법의 적용 가능한 시험 세부 조건별 범위와 생태독성평가기법 구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존에 국내 생물종을 대상으로 국내외에서 수행된 바 있는 독성 시험법에 대한 연구 사례를 검토한 결과, OECD등의 표준시험법에서 추천한 시험종을 대상으로 한 독성자료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표준시험법의 공시어종 이외에도 국내 생물종에 대한 소량의 연구 자료가 있었으나, 대체로 표준시험법을 개별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도는 Carassius auratus < Gasterosteus aculeatus < Oryzias latipes < Misgurnus anguillicaudatus 순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어류독성시험에 있어서 가장 유의해야 할 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국내 생물종을 이용한 생태독성평가 기반이 미약한 현시점에서 보다 체계적인 독성시험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향후 실험 조건과 동일한 시스템 하에서의 생활사 측정 및 그에 따른 노출기간 설정, 본 연구에서 선정한 어류 5종을 대상으로 도출한 생태독성시험기법에 대한 실험 연구를 통한 검증 그리고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많은 국내 시험종 개발 및 그에 따른 실험 조건 규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생물종을 대상으로 한 독성시험기법 및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수계의 실정, 먹이 연쇄를 통한 생물종간의 상호 관련성 등을 고려할 수 있는 국내 시험종 및 그에 따른 시험법 개발을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식품첨가물 E171이 수생물에 미치는 독성 평가 (Toxicity assessment of food additive(E171) in aquatic environments)

  • 송인규;김강희;윤학원;박준우
    • 환경생물
    • /
    • 제41권1호
    • /
    • pp.41-53
    • /
    • 2023
  • 식품첨가제로 주로 사용되는 이산화타이타늄 혼합물인 최근 E171은 체내 축적 및 유전 독성을 야기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어, 현재 규정 개정을 통해 E171의 식품첨가물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E171의 인체 위해성 연구는 많이 진행된 반면, E171의 환경생물에 미치는 독성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우려되는 잠재적 독성물질인 E171의 환경적 위해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생태계를 대표하는 물벼룩(Daphnia magna)과 제브라피쉬(Danio rerio)를 대상으로 나노물질의 특성을 반영한 최신 표준문건을 활용하여 기존 시험법의 한계점을 보완한 최적의 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독성시험 결과, 실제 환경적 현실성을 고려한 농도범위의 E171에 노출된 물벼룩에서 유영저해가 발생했지만, 어류의 경우 치사나 이상행동개체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산화스트레스 관련 분자생물학적 분석 결과, E171이 물벼룩과 어류에 모두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이의 방어작용으로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항산화효소 관련 유전자의 발현 여부는 생물종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E171은 실제 환경적 현실성을 고려한 농도에서 수생물에 산화스트레스를 유도할 수 있으나, 생물체의 종류에 따라 가시적인 독성의 정도와 산화스트레스 관련 유전자 발현에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시험법의 한계점을 보안한 최적의 독성시험을 통해 E171이 수생물에 미치는 위험성을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는 E171의 환경 위해성 평가를 위한 과학적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조피볼락과 참돔 유어에 대한 암모니아 독성 비교 (Comparison of Acute Toxicity of Ammonia in Juvenile Rockfish and Red Sea Bream)

  • 조성환;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29-435
    • /
    • 1998
  • 조피볼락 초기 사육시 발생하는 대량 폐사 원인의 하나로 수질악화를 들 수가 있다. 수질악화의 주요원인이 되는 어류의 주요대사물인 암모니아에 대한 조피볼락의 내성을 참돔과 비교, 분석하였다. 사육수조 내에 통기를 시키지 않을 경우 산소 부족에서 오는 스트레스로 큰 어체가 작은 어체에 비해 암모니아 독성에 대한 내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피볼락의 경우, 용존산소량이 높을 때 (통기를 시킬 때), 6 시간이나 96 시간에서의 $NH_45^+$의 반수치사농도가 용존산소량이 낮을 때 (통기를 시키지 않을 때)보다 높아서 수중의 용존산소량이 암모니아 독성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보였다. 또한, 조피볼락과 참돔의 96 시간에서의 $NH_4^+$ 와 비이온화된 $NH_3$ 의 반수치사농도 결과를 비교해 볼 때, 조피볼락은 참돔에 비해 암모니아에 대한 내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연안 어시장에서 유통되는 별복(Arothron firmamentum)과 밀복류(Lagocephalus spp.)의 독성 (Toxicity of Puffer Fish, Arothron firmamentum (Byeolbok) and Lagocephalus spp. in Korea)

  • 김지회;손광태;목종수;김주경;조미라;심길보;이태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09-314
    • /
    • 2008
  • The toxicity of five species of puffer fish, Arothron firmamentum (Byeolbok), Lagocephalus gloveri (Heukmilbok), L. wheeleri (Eunmilbok), L. inermis (Minmilbok) and L. lunaris (Milbok), collected from fish markets in Korea, was determined using a mouse bioassay. In A. firmamentum, the proportion of toxic specimens containing >10 MU/g was 87.5% in the ovaries, and 10.0% in the skin; no toxicity was detected in the muscle, fin, liver, intestine and gallbladder using the mouse bioassay. The highest toxin levels were found to be 87 MU/g in the ovaries, and 13 MU/g in the skin. Toxic specimens containing >10 MU/g were not detected from samples taken from any of the organs in L. wheeleri and L. inermis. In L. gloveri, most specimens were found to be non-toxic, but toxin levels of 11-72 MU/g were detected from within the skin, fins, and intestines in one specimen. In L. lunaris, the proportion of toxic specimens was 50.0% in the ovaries, and 7.1% in the gallbladder; no toxicity was detected in the other organs by the mouse bioassay. The highest toxin levels were 75 MU/g in the ovaries, and 14 MU/g in the gallbladder. Therefore, the toxicities of edible muscle and skin in the five species of puffer fish marketed in Korea were found to be within acceptable levels for human consumption.

진해만 해역에서 지중해담치 (Mytilus galloprovincialis)의 마비성패독 독화 양상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of Mediterranean mussels from Jinhae Bay in Korea)

  • 손명백;김영수;김창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66-372
    • /
    • 2009
  • This study looked at toxicity of Mediterranean mussels, Mytilus galloprovincialis, which had accumulated paralytic shellfish toxins (PST) from early March to late May 2005 at Jinhae Bay, Korea. Alexandrium sp. was observed in low densities (< 1,000 cells/L)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in March, increased rapidly in April, declined rapidly and disappeared in May. Although low densities of Alexandrium sp. were observed in March, mussel toxicity exceeded regulation level ($80{\mu}g$ STXeq. /100 g). Peak PSP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toxicity in the mussels occurred during high Alexandrium sp. cell densities in April. Mussels toxicity decreased with decline of Alexandrium sp. cell density. Major toxin components identified were $GTX_1$, $GTX_4$, followed by $C_1$, $C_2$, $GTX_2$, $GTX_3$ and neoSTX. Trace or sporadic toxin components were STX, $GTX_5$, $dcGTX_2$, $dcGTX_3$ and dcSTX. Toxin component analysis from the middle to end of the study showed that $11{\beta}$-epimers ($GTX_{3,4}$, $C_2$) were converted into $11{\alpha}$-epimers ($GTX_{1,2}$, $C_1$) and started to determine STX.

Synergistic Effects of Dietary Vitamins C and E on Methylmercury-Induced Toxicity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Park, Gunhyun;Yun, Hyeonho;Lee, Seunghan;Taddese, Fasil;Bai, Sungchul C.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143-149
    • /
    • 201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ynergistic effects of vitamin C and E on methylmercury (MeHg) toxicity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a $3{\times}3$ factorial design, 9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three different vitamin C (0, 200 or 400 mg/kg diet in the form of l-ascorbyl-2-monophosphate) and vitamin E (0, 100 or 200 mg/kg diet in the form of dl-${\alpha}$-tocopheryl acetate) levels with the Hg toxicity level (20 mg/kg diet in the form of MeHg) were formulated. Triplicate groups of fish averaging $2.3{\pm}0.05g(mean{\pm}SD)$ were fed one of the 9 diets in a flow through system for 8 weeks. Fish fed 400 mg vitamin C/kg diet with 100 or 200 mg vitamin E/kg diet showe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weight gain (WG) than did fish fed the other diets. Fish fed 400 mg vitamin C/kg diet at all vitamin E levels and those which fed vitamin C and E equally at a rate of 200 mg/kg diet showe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feed efficiency (FE), specific growth rate (SGR)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PER) than did fish fed the other diets. Fish fed 200 and 400 mg vitamin C/kg diet exhibited significantly (P < 0.05) lower Hg concentration in their muscle as well as kidney than did fish fed the other diets. Therefore,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d that the synergistic effects of these two vitamins on MeHg toxicity by supplementing dietary vitamin C (200 and 400 mg/kg diet) with vitamin E (100 and 200 mg/kg diet) in juvenile olive flounder.

Chemical Contamination and Toxicity of Sediments from the Gunsan Coast, Korea

  • Lee, Wan-Seok;Choi, Minkyu;Hwang, Dong-Woon;Lee, In-Seok;Kim, Sook Ya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5권3호
    • /
    • pp.241-250
    • /
    • 2012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butyltins (BTs), nonylphenol (NP), and fecal sterols concentrations in sediments were investigated from Gunsan coast of Korea to evaluate organic pollution from anthropogenic activities. Sediment toxicity was also examined by bacterial bioluminescence toxicity test (Vibrio fischeri). The concentrations of 16 PAHs in sediments ranged from 67.9 to 425 ng/g dry wt; BTs ranged from 2.79 to 14.1 ng Sn/g dry wt; NP ranged from 20.7 to 2171 ng/g dry wt; and coprostanol, a fecal sterol, ranged from 7.60 to 245 ng/g dry wt. Effective concentration 50% ($EC_{50}$) of sediments ranged from 0.38 to 23.8 mg/mL. Most of the chemicals were present at levels lower than or comparable to the previously reported values from Korea. However, NP levels in the present study were in the high range of levels reported from the Korean coast, and 40% of the measured samples exceeded screening and ecotoxicological values of NP suggested by the Netherlands and Canada. This suggests that an ongoing source of NP is a serious concern in the Gunsan coast. High levels of contaminants were found in the proximity of potential sources, such as the outfall of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for NP, an anthracite-fired power plant for PAHs, and ports for BTs, fecal sterols, and sediment toxicity. This indicates that Gunsan coast has various potential sources of marine sediment contamin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