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36초

Cryptographic Service Provider(CSP) 모듈의 개인키/비밀키 노출 취약점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Private Key and Secret Key Disclosure Vulnerability in Cryptographic Service Provider(CSP) Module)

  • 박진호;박진호;임을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61-70
    • /
    • 2007
  • Windows 운영체제는 응용프로그램이 쉽고 편리하게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도록 CSPs(Cryptographic Service Providers)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 응용프로그램은 CryptoAPI(Cryptographic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다양한 CSP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CryptoAPI와 CSP 모듈 사이에서 함수로 전달되는 파라미터의 분석을 방지하기 위해 핸들을 이용한 안전한 데이터 접근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롭게 제시한 메모리 역추적 기법을 통해 위와 같은 보안기법에서도 개인키/비밀키와 같은 중요한 데이터가 노출되는 취약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 PDF

Research on Application of Service Design Methodology in IOT Environment

  • Kim, Byung-Taek;Cho, Yun-S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3-6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and quantitative analysis on user's perceived privacy, security, and user satisfaction when providing visualization information about objects and service provider behaviors that users can not perceive in internet service process. Through previous research, we have examined the importance of privacy and security factors as a key factor to be consider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Internet of things. In addition, service blueprint, which is one of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ies to examine the flow of service usage in providing Internet service of things, was examined. In the flow of things internet service utilization, it is found that the things that are out of the user's cognitive area and the behavior of the service provider take up a large part.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the trust of the Internet service securit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experience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the security visualization information about the behavior of the object and the invisible service provider in the non-contact aspect of the user and the object.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we conducted experiments and questionnaires on the use of virtual objects' internet environment and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m.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visual information feedback on non - contact and invisible objects and service provider's behaviors had a positive effect on user's perceived privacy, security,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we conclude that it can be used as a service design evaluation tool to eliminate psychological anxiety about security and to improve satisfaction in internet service design.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a great help for the research on application method of service design method in Internet environment of objects.

소규모 소매유통업체를 위한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서비스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SP Service Model for Small Retailer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 김경민;이숙경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5권1호
    • /
    • pp.21-41
    • /
    • 2008
  • The development of POS (Point of Sales) systems for small retailers according to their needs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to improve their competitive advantages. However, their financial statuses hinder the adoption of the tailored POS systems. Viewing ASP as a viable solution to provide tailored POS systems for the small retailers, this study develops ASP POS service models for the small retailers. First, this study elicits ASP POS requirements of the small retailers in the following areas: merchandising, pricing, store design and display, customer service, advertising and promotion and personal selling. Then, the requirements are clustered and the clusters are analy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tailers. Then, ASP service models are proposed according to the needs and profiles of the retailers.

  • PDF

ASP/SaaS 서비스의 핵심 성공요소 발굴에 대한 연구 (Study on Critical Success Factors of ASP/SaaS Services)

  • 임규관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5-45
    • /
    • 2009
  • 국내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산업은 지난 10년 동안 정부 주도하에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급 성장하였다. 그러나 최근 ASP 서비스 업체의 지속적 적자 및 이용업체의 가입 정체 등으로 ASP 산업이 침체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ASP 시장 규모 및 시장성장률의 BCG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핵심 서비스 군을 도출하고 이 서비스 군을 대상으로 집중 인터뷰(Focused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핵심 성공 요소를 파악하여 ASP 산업의 활성화 방향과 차세대 ASP로 지칭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e-Business 환경에 있어서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의 서비스 품질(Service Quality) 요인에 관한 연구

  • 최재영;박지훈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7-390
    • /
    • 2001
  • e-Business는 최근 IT산업에서 가장 빈번히 등장하는 화두이다. 인터넷이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함에 따라 기존의 오프라인 시스템들의 인터넷과 연동이 추구되고 있다. 인터넷과의 연동은 단순한 정보의 공유뿐만 아니라 지식, S/W, E/W 등의 거의 모든 IT자원들에 대한 공유를 촉발시키고 있다〔1〕. 1990년대 정보기술 아웃소싱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가져왔다. 최근 새로운 종류의 아웃소싱 비즈니스 모델인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s)의 등장으로 정보기술 시장의 주요 이슈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아직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수요층의 인식부족, 효과에 대한 확신 부족 등과 같은 여러 걸림돌이 있지만 e-Business의 핵심영역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ASP는 e-Business관련 소프트웨어 및 어플리케이션을 배송하는 하나의 방식이다. 즉, ASP는 e-Business를 가능하게 하는 Enabler라고 볼 수 있다〔3〕. 본 연구는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이하 ASP)의 서비스 품질의 차원을 분류하여 고객에게 보다 중요한 품질 요인을 찾기 위한 측정의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Framework for ASP service

  • Go, Cheol-Young;Sohn, Joo-Chan;Baik, Jong-Myeong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CALS/EC KOREA
    • /
    • pp.477-482
    • /
    • 2001
  • Under rapidly changing business surrounding, companies need information systems to keep their competitive powers and forecast business surroundings beforehand. In these trends, interests of ASP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service is increasing because of the advantage for efficiency to maintain a system and an inexpensive investment to build a system, and this service is rapidly spreading to many parts from simple functions to ERP system. In this research, we argue about these problems and about administrative framework technology for efficient ASP service of ERP system.

  • PDF

'선한 사마리아인 법'에 따른 민사책임의 감경 - 응금의료에 관한 법률 제5조의2을 중심으로 - (Exemption from Civil Liability in the Good Samaritan Law)

  • 김천수
    • 의료법학
    • /
    • 제15권2호
    • /
    • pp.31-60
    • /
    • 2014
  • In this paper the good Samaritan civil liability is argued. In many cases some damage could be caused by an emergency medical service. In such situations the degree of duty of care taken by the service provider would be alleviated depending upon the degree of emergency. Then the service provided by anyone not carrying any duty to do so could be generally ruled by the 'Korean Civil Act' Article 735. This article is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affairs in urgency. The application of this article means the mitigation of civil liability of the service provider. If the service provider not carrying any duty to provide it "has managed the affairs" of the service "in order to protect the" victim "against an imminent danger to the latter's life", the provider "shall not be liable for any damages caused thereby, unless he acted intentionally or with gross negligence". Korea has another rule applied in such a situation, that is the Korean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Article 5-2. This article is established for the exemption from responsibility for well-intentioned emergency medical service. It could be referred to as the Good Samaritan law. It provides: "In cases where no intention or gross negligence is committed on the property damage and death or injury caused by giving any emergency medical service or first-aid treatment falling under any of the following subparagraphs to an emergency patient whose life is in jeopardy, the relevant actor shall not take the civil liability ${\cdots}$" In this paper the two articles is compared in the viewpoints of the requirements for and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them respectively. The 'Korean Civil Act' Article 735 is relatively general rule against the the Korean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Article 5-2 in the same circumstance. Therefore the former could be resorted to only if any situation could not satisfy the requisites for the application of the latter. In this paper it has suggested that the former article be more specific for the accuracy of making decision to apply it; and that the latter be revise in some requirements including the victim, the service provider, and the service.

  • PDF

위치 기반 광고를 위한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플랫폼의 설계 (Design of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Platform for Location-Based Advertising)

  • 유재준;최혜옥;이종훈;박덕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531-534
    • /
    • 2002
  • 위치 기반 광고란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PC 등 위치 획득이 가능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를 하는 것으로 위치 추적이 가능한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부가정보를 서비스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LBS, Location Based Services)의 한 종류이다. 최근의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과 휴대폰, PDA 등 모바일 단말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하여 LBS 는 유무선 인터넷의 응용 및 그를 이용한 부가 가치 창출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며, 특히 위치 기반 광고는 LBS 시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광고는 광고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광고 ASP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플랫폼에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LBS 플랫폼을 참조하여 위치 및 시간에 따라 광고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 목록을 얻고,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SMS, Short Message Services)를 사용하여 위치 기반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 ASP 플랫폼을 설계한다. 이를 위해 광고 ASP 플랫폼이 제공하여야 하는 기능과 위치 기반 광고의 처리 흐름을 분석한다.

  • PDF

USN 응용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아키텍처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rvice architecture for USN application service)

  • 신극재;김용운;유상근;김형준;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015-1022
    • /
    • 2010
  •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환경은 상황 인식 컴퓨팅을 통해 센서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정보를 응용 서비스들에게 전달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국내 서비스 환경은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서비스 플랫폼 아키텍처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처리하는 제공자간의 표준 서비스 플랫폼 아키텍처 연구는 미약한 수준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센서 응용 및 미들웨어 부분에서의 표준화된 플랫폼 기술을 위해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의 SWE(Sensor Web Enablement)를 구성하는 관련 표준 분석 및 국내 표준 연구 분석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아키텍처 제안 및 기존 국내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제공자 측면의 각 콤포넌트 설계 및 구현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