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le orchards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초

농업생태계 다양성과 과수원 응애류 해충 종합관리: 이론적 고찰과 미래 전망 (Agro-ecosystem Diversity and Integrated Mite Pest Management in Fruit Orchards: A Review and Future Prospect)

  • 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49-61
    • /
    • 2021
  • 과수에서 초기 해충종합관리(IPM) 모형은 응애류 종합관리를 기반으로 수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근간은 기존 방제체계인 화학적 방제와 호환적인 포식성 이리응애 천적을 접목한 생물적 방제가 작동하는 것에 있었다. 이후로 생태계 종다양성과 해충 개체군 변동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가설과 기작은 과수 생태계에서 응애류 중심의 해충관리에 대한 더 넓은 이해의 폭을 제공하였다. 생태계의 원리를 바탕으로 환경의 개변 또는 변경을 통한 생물적 방제와 해충관리는 농생태공학적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응애류 해충의 관리에 있어서는 재배환경의 변화에 따라 관련된 천적의 다양성이 역동적으로 변동되어 작동하고 있으며, 식식성 응애류의 종 구성도 과원관리 환경에 따라 변화를 보이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사과 IPM의 근간이 되었던 응애류 생물적 방제를 고찰하면서 생태공학적 측면에서 종다양성과 해충관리, 포식성 응애류 종다양성과 응애류 관리, 환경과 응애류의 종 구성 변동 원리에 대하여 기존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재조명하고, 향후 우리나라에서 사과원 응애류의 생물적 방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ACLSV(Apple chlorotic leafspot virus) 감염이 사과 '홍로' 품종의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CLSV-infection on Fruit Quality of 'Hongro' Apples)

  • 김현란;김정수;황정환;이신호;최국선;최용문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145-149
    • /
    • 2004
  • 사과 '홍로' 품종은 품질이 우수하여 재배면적이 증가되고 있는 중요한 품종으로 최근 일부 농가에서 과실 크기가 작아지면서 과육이 딱딱해지고 과즙이 거의 없어지는 소과증상이 발생되고 있어 재배현장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홍로' 품종의 소과증상은 주요 재배지역에서 조사한 결과 조사농가당 홍로품종 재배주수의 평균 12%정도 발생되고 있었으며 ELISA에 의한 바이러스 진단 결과 소과 발생나무에서 고농도의 ACLSV가 100% 검출되었다. 즙액 접종한 C. quinoa에서 ACLSV가 분리되었으며, 접목 접종한 목본지표식물에서도 잎 상편생장 및 줄기괴사 병징을 나타내어 접목전염성이 확인되었다. 소과증상의 원인 구명을 위해 열처리와 생장점배양으로 육성된 바이러스 무독주에 인위적으로 ACLSV 등 바이러스를 접목접종 한 다음 결실된 과실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ACLSV 접종주에서 소과증상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소과증상을 일으키는 주된 요인이 ACLSV 감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국내 육성종인 '홍로' 품종은 ACLSV에 대한 감수성 품종으로 분류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재배 사과과원의 피복작물별 잡초발생 (Weed Occurrence in Organic Apple Orchards by Different Cover Crops)

  • 오영주;송양익;강석범;홍선희;최진호;백원기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1권4호
    • /
    • pp.24-30
    • /
    • 2012
  • 유기 사과과원의 피복작물 선정을 위해 피복작물의 피복율과 시기별 잡초의 발생양상에 대해 조사하였다. 토양의 화학성분은 자연초생구에 비해 들묵새와 화이트클로버가 유기물 함량과 인산 함량이 다소 높게 분석되었다. 피복작물별 잡초 종의 출현은 5월에는 클로버 종류와 청보리, 호밀이 비교적 잡초 종의 출현이 억제되었고 6월에는 호밀이 가장 좋은 효과를 가져왔다. 7월에는 피복율이 낮은 톨페스큐와 켄터키블루그라스에서는 많은 잡초 종이 출현하였다. 유기 사과과원의 발생한 잡초는 총 51종으로 조사되었고 피복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피복식물 보다 키가 크고 광엽인 좀명아주, 명아주, 환삼덩굴 등의 봄철 제거가 필요하다. 잡초의 건물중을 측정한 결과 피복율이 가장 낮았던 켄터키블루그라스에서 대조구와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잡초와 토양과의 관계에 대해 CCA로 분석한 결과 1축에서는 토끼풀과 여뀌가 유기물의 함량과 높은 상과관계를 가지며 명아주는 인산의 함량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팝나무진딧물의 살충제 저항성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Insecticide Resistance Mechanism in the Spiraea Aphid, Aphis citricola (van der Goot))

  • 송승석;오홍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9-94
    • /
    • 1995
  • ${LC}_{50}$에 의한 살충제 저항성 사험결과 지역에 따라 pirimicarb가 49~830배 phosphamidon이 31~536배, demeton S-methyl이 5~204배의 약제 저항성이 확인됨으로서 사과에 조팝나무진딧물이 포장에서 방제결과가 없는 난방제해충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약제에 따라, 지역에 따라 저항성차가 크게 나타나는 원인을 공시충을 채집한 과수원의 살충제 산포상황을 조사한 결과 저항성이 가장 높았던 예산과 이천-1의 개체군을 채집한 과수원에서는 살충제를 4회 이상산포하였고, 저항성이 가장 낮았던 개체별 esterase 활성을 활성지수별로 분포비율을 비교한 결과 활성지수가 원주는 낮은 곳에, 이천-1과 예산은 높은 곳에 집중적으로 분포하였으며, 효소의 활성지수로써 저항성도를 계산한 결과 원주는 44.5, 이천-1과 예산은 92.0이었고 기타의 개체군들은 약제산포회수가 적어 이 사이에 모두 분포하였음을 알 수 있어 포장에서 약제산포회수가 많을수록 효소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고 저항성비도 높았다. 이들중 광주(조팝나무)를 S크론, 과천(사과)을 R크론으로 하여 AChE의 조해제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pirimicarb는 299.2배, phosphamidon은 186배나 저하되었다. 이로써 약제저항성이 높았던 크론에서 에스테라제의 활성이 높았고, AChE의 감수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보아 조팝나무진딧물의 약제저항성기작에는 적오도 두가지 이상의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Detection of Viruses Infecting Stone Fruits in Western Mediterranean Region of Turkey

  • Yardimci, Bayram Cevik Nejla;Culal-Klllc, Hand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44-52
    • /
    • 2011
  •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in 45 stone fruit orchards in seven districts of Isparta Province located in western Mediterranean region of Turkey important for stone fruit production. Leaf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75 trees showing virus-like symptoms. These samples were first tested by ELISA for five different RNA viruses including Apple mosaic ilarvirus (ApMV), Prunus necrotic ringspot ilarvirus (PNRSV), Prune dwarf ilarvirus (PDV), Plum pox potyvirus (PPV), Apple chlorotic leafspot trichovirus (ACLSV). While no ApMV and PPV infection was found, 46, 24 and 16 samples were tested positive for PDV, ACLSV and PNRSV, respectively, in ELISA showing about 45% of symptomatic trees in the region were infected with at least one of these virus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nine sweet cherry trees were mixed infected with two or three of these viruses and PDV with an infection rate of 26.3% was the most widespread virus in symptomatic trees in western Mediterranean region. Thirty samples were selected and tested by a multiplex RT-PCR (mRT-PCR)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these viruses. While PPV was not detected, more than half of the tested 20 samples were individually or mixed infected with ApMV, ACLSV, PNRSV and PDV. The mRT-PCR results were confirmed by detection of these viruses individually in some of the field samples using RT-PCR with primes specific to each virus. Comparison of ELSA and mRT-PCR results of 30 samples showed that numbers of infected and mixed infected samples as well as infection and mixed infec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T-PCR (20 and 66.7%) than in ELISA (14 and 46.7%). The results confirm that mRT-PCR is more sensitive than ELISA.

우리나라 사과, 배, 포도 및 복숭아 주산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Orchard Soils in Main Apple, Pear, Graph and Peach Producing Area)

  • 이주영;정재훈;김석철;황선웅;이춘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79-84
    • /
    • 2000
  • 주요 과수재배지 토양에 대한 화학적 독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과 239, 배 369, 포도 168, 복숭아 101, 합계 877포장에서 주간 중간지점의 토양을 채취분석하여 토양화학적 특성에 따라 토양비옥도를 구분하였다. 주요 과수 주산단지 토양화학성분의 적정수준 비율은 3.0~65.2%로서 대부분의 과수원이 부적지였으며 토양층위별 화학성분은 하층으로 내려 갈수록 일정하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 시비관리가 동일한 지역에서는 표층토 20cm 깊이의 토양 화학성분 함량만 알면 층토의 성분함량을 추정할 수 있으며 또한 과종별 표토의 토양화학성분함량의 과부족율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농생태계 지렁이 생물지표종 선발 (Selection of Earthworm for Bioindicators in Agroecosystem)

  • 김태흥;홍용;최낙중
    • 환경생물
    • /
    • 제27권1호
    • /
    • pp.40-47
    • /
    • 2009
  • 농생태계 시설 재배지와 과수원에서 서식하고 있는 지렁이상을 확인하였는데 채집된 지렁이는 시설 재배지에서 3과 5속 11종, 과수원에서 채집된 지렁이는 3과 4속 12종으로 다음과 같다 공통적으로 채집된 종은 Aporrectodea tuberculata, Eisenia fetida, Eisenia andrei, Amynthas hupeiensis, Amynthas heteropodus, Amynthas koreanus, Amynthas agrestis, Amynthas hilgendorfi, Amynthas sp., Drawida japonica이다. 시설 재배지에서만 채집된 종은 Bimastos parvus이고, 과수원에서만 채집된 종은 Aporrectodea caliginosa, Amynthas corticis이다. 조사지역내 토양의 물리적 환경에서 유기물 함량은 시설 재배지에서 많은 편차를 보였으나 과수원에서는 비교적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경작 단계 별에서 채집된 종수와 개체수는 유기합성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무능약과 유기농단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전국적인 농생태계 지렁이 개체군 조사에서 우점군으로 밝혀진 Amynthas agrestis보다 두 지역 모두 Amynthas heteropodus가 가장 많이 출현하였는데 유기합성농약을 사용한 재배지보다 사용하지 않은 재배지에서 많이 출현하였다. 본 연구 결과 Amynthas heteropodus가 작물재배지의 농생태계 생물지표 후보종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비교적 이 종은 외부 형태적 형질로 안정되게 나타난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에 대한 동시 교미교란제의 현장 적용 기술 (Field Application Techniques of Simultaneous Mating Disruptor Against Grapholita molesta and G. dimorpha)

  • 조점래;박창규;박일권;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09-220
    • /
    • 2018
  • 교미교란(mating disruption, MD) 기술이 사과에 피해를 주는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방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를 동시에 교미교란(simultaneous MD, SMD)하는 기술이 최근에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이 SMD 기술을 현장에 접목하는 데 필요한 요인들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SMD 처리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각 처리 지점에 10 mg의 성페로몬을 여러 가지 밀도로 사과나무에 처리하였다. 처리된 세 농도 가운데 두 나무마다 하나의 SMD 처리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MD 효과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SMD 효과는 왁스 및 polyethylene 제형 모두에서 나타났다. 두 사과나무마다 하나의 SMD 처리 농도로 3월 말에 1회 처리한 경우 수확기까지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에 대해 효과적 교미교란을 유지시켰다. 인근 무처리 과수원에서 SMD 처리 과수원으로 이주하여 들어오는 교미된 암컷의 이입을 막기 위해 울타리 처리 기술이 적용되었다. 암컷 유인제를 개발하기 위해 6종류의 사과 과실 추출물에 포함된 화합물 가운데 terpinyl acetate (TA)가 선발되었다. 서로 다른 TA 농도 처리에서 0.05%가 성충 유인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TA와 설탕을 혼합한 것을 암컷유살제(female attract-to-kill technique, FAKT)라 명명하였다. 사과 과수원 가장자리를 따라 6 m 간격으로 FAKT를 설치한 울타리 처리는 교미된 암컷을 포획하였고, 이들은 난황형성과정을 진행하고 있는 난모세포를 지니고 있었다. FAKT가 가미된 SMD 처리는 높은 MD 효율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SMD 단독 처리에 비해 신초 피해를 현격하게 줄였다.

Outbreak of Phytophthora Rot on Pear Under Environmental Conditions Favorable to the Disease

  • Jee, Hyeong-Jin;Cho, Weon-Dae;Nam, Ki-Woong;Park, Young-Seob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231-235
    • /
    • 2001
  • From April to May 1998, Phytophthora rot on pear, which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before, became an epidemic in the southeast part of the country under abnormally higher temperature and prolonged rainy days. Average temperature was about $3^{\circ}$ higher than in normal years, and 29 days were rainy during the 2 months in the areas surveyed. Over 1,000 orchards estimated at about 270 ha in 19 cultivation areas were infected by the disease, which occurred on all parts of the tree such as leaves, shoots, branches, stems, and flower clusters. Among 43 isolates collected from various locations and plant parts, 41 were identified as Phytophthora cactorum while 2 were identified as P. cambivora based on their mycological characteristics. The representative isolates revealed strong pathogenicity not only to pear but also to apple and peach. Among 23 pear cultivars tested, 7 were estimated as susceptible, 4 were moderate, and 11 were resistant to the pathogen. Results suggest that Phytophthora disease on pear is a potential threat to pear cultivation when environmental factors are favorable to disease development.

  • PDF

사과 '쓰가루' 품종의 과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요인 (Fruit Quality of 'Tsugaru' Apples Influenced by Meteorological Elements)

  • Hyeong-Ho Seo;Hee-Seung Park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18-225
    • /
    • 2003
  • 본 실험은사과원의 위치에 따라 국지기후조건이 다양함을 보여주었으며, 이와 같이 다양한 기후환경은 과실의 품질에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당함량과 anthocyanin 함량은 8월의 평균기온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4월에서 8월까지의 평균기온과 과육의 경도 사이에 일정한 상관이 인정되었으며, 4월에서 8월까지의 최고기온과 Hunter a값 사이에도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이러한 기후조건의 범위는 세포조직학적 특성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온도는 과피층 세포의 수와 크기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사과 주산지의 과실 품질은 기후의 영향을 크게 받아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