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le orchards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1초

동계전정 지연이 '후지'/M.9 사과나무의 신초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elaying Winter Pruning on Shoot Growth and Fruit Quality of 'Fuji'/M.9 Apple Tree)

  • 권헌중;사공동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9-205
    • /
    • 2022
  • BACKGROUND: The freezing injury by pruning can be reduced by suspending pruning work when severe cold weather (-23 to -49℃) is forecast. Minimum air temperature of the study area, Gunwi region at February 3, 2012 was -21.9℃, and the subzero temperature continued until April 8, 2012.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year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laying winter pruning until full bloom on shoot growth and fruit quality of 'Fuji'/M.9 apple trees. METHODS AND RESULTS: The time of pruning were March 26 for dormant, April 3 for bud break, and May 2 for full bloom. The winter pruning at full bloom significantly reduced fruit weight for two years compared with the control (winter pruning at dormant), and shoot growth was reduced only in the following yea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delaying winter pruning at bud break on soluble solid content, fruit red color, return bloom, and pruning weight for two years compared with the control.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d the delaying winter pruning at bud break of 'Fuji'/M.9 apple tree did not offer any disadvantage over comparable dormant pruning, since the fruit quality was not affected. The delayed pruning at full bloom resulted in decreased fruit weight, though shoot growth, fruit quality, and return bloom were not affected by the delayed pruning. So, the delayed pruning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only for the fruit tree orchards in diseases.

고밀식 사과원에서의 간벌이 '후지'/M.9 사과나무의 영양생장, 생산량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ree Thinning on Vegetative Growth, Yield and Fruit Quality of 'Fuji'/M.9 Apple Trees in the High Density Orchard)

  • 권헌중;사공동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4-111
    • /
    • 2023
  • As apple trees mature, it is important to maintain good light distribution within the canopy to produce marketable fruits. Tree thinning is the selective removal of a proportion of trees growing in the orchard to provide more growing space and a good light environment for the remaining trees.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3 years (14-16 years after planting)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ree thinning on vegetative growth, yield, fruit quality, and blooming in the 14 years old slender spindle 'Fuji'/M.9 apple trees planted with the tree space of 3.2×1.2 m. The trees were placed in a control group (no thinning; 260 trees per 10 a) or a tree thinning group (thinned 50% of the control; 130 trees per 10 a). The tree thinning successfully improved light penetration, yield per tree, fruit red color, and yield efficiency for 3 years, and the tree thinning controlled the occurrence of biennial bearing. However, tree thinning significantly decreased accumulated yield per 10 a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vegetative growth, yield per tree, soluble solid contents, and blooming were not clear by the occurrence of biennial bearing in the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ree thinning was a good method for improving light penetration and preventing biennial bearing in the old 'Fuji'/M.9 high-density apple orchards.

우리나라 과수원 토양의 Paraquat 잔류와 흡착능 (Residue and adsorptive capacity of paraquat in orchard soils)

  • 전재철;김성은;박남일;임성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90-95
    • /
    • 1998
  • Paraquat 토양 잔류량을 사과원, 배원, 포도원 및 복숭아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 과수원은 각 과수별 주산 단지에서 15개소씩을 선정하였다. 한편 과수원별 토양의 paraquat 흡착능을 밀 뿌리 생육 50%를 저해하는 농도(Strong adsorption capacity measured using wheat bioassay, SAC-WB)로 산출하고, 총 SAC-WB (SAC-WB값+paraquat 잔류량)에 대한 paraquat 잔류 수준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과수원 토양 60개소의 paraquat 결합성 잔류량은 평균 6.9 ppm이었다. 잔류량이 가장 높았던 토양은 사과원 토양의 20.2 ppm이었으며, 사과원 토양의 paraquat 평균 잔류량은 다른 과원 토양의 거의 두 배 정도의 높은 경향을 보였다. 잔류량이 높았던 상위 5개소 양에 대한 치환성 잔류량은 0.5 ppm 검출한계 미만이었다. SAC-WB 값은 평균 276.1 ppm이었으며, SAC-WB 값과 점토 함량, 유기물 함량 및 양이온 치환 용량간에는 상관관계를 인정할 수 없었다. 한편 우리나라 과수원 토양의 총 SAC-WB 값 대비 paraquat 잔류 수준은 평균 2.43%이었다.

  • PDF

2019년 국내 사과와 배 화상병 대발생과 그 특징 (Outbreak of Fire Blight of Apple and Pear and Its Characteristics in Korea in 2019)

  • 함현희;이경재;홍성준;공현기;이미현;김현란;이용환
    • 식물병연구
    • /
    • 제26권4호
    • /
    • pp.239-249
    • /
    • 2020
  • 2019년 국내의 사과와 배에 화상병이 크게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화상병 발생한 30개 과원을 대상으로 각각의 발생 상황과 농가 면담을 통해 경종적 특징 등을 조사하였다. 화상병은 이미 감염된 지 2년 이상 오래 된 과원에서 대부분 발생하였는데, 이런 원인은 (1) 농가가 병 증상을 정확히 알지 못하여 농작업과 방화곤충 등을 통해 과원 내에서 퍼지게 되고, (2) 방화곤충이나 농작업자 등에 의해 처음 발생 과원에서 주변 과수원으로 확산되었고, (3) 동일 경작자 또는 공동 농작업자에 의해 근거리 또는 원거리로 확산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4) 이런 일련의 과정이 새롭게 확산된 지역에서 반복되다가 농가들이 화상병을 알게 되면서 신고가 증가한 것이 2019년 화상병 대발생의 일련의 원인이라고 추정할 수 있었다. 국내에서 화상병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조기진단을 위한 철저한 농업인 교육과 무병징 식물체에서도 화상병균 진단이 가능한 정량적 검출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큰 열매를 주로 생산하는 국내 재배법에 적합한 약제방제 체계 개발이 필요하다. 화상병 방제에서 가장 중요한 가지의 궤양 증상, 묘목, 양봉장 등의 전염원 관리를 위해서 과원별 병원균의 분자역학연구를 통해 정확한 확산경로를 구명할 것을 제안한다.

사과 과원 무인 제초를 위한 작업 경로 생성 및 경로 제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Path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for Unmanned Weeding Robot in Apple Orchards)

  • 전진택;장호승;양창주;권경도;홍영기;김국환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20권4호
    • /
    • pp.27-34
    • /
    • 2023
  • Weeding in orchards is closely associated with productivity and quality. The customary weeding process is both labor-intensive and time-consuming. To solve the problems, there is need for automation of agricultural robots and machines in the agricultural field. On the other hand, orchards have complicated working areas due to narrow spaces between trees and amorphous terra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robot technology for unmanned weeding work within the department. This study developed a path generation and path control method for unmanned weeding according to the orchard environment. For this, the width of the weeding span, the number of operations, and the width of the weeding robot were used as input parameters for the orchard environment parameters. To generate a weeding path, a weeding robot was operated remotely to obtain GNSS-based location data along the superheated center line, and a driving performance test was performed based on the generated path. From the results of orchard field tests, the RMSE in weeding period sections was measured at 0.029 m, with a maximum error of 0.15 m. In the steering period within row and steering to the next row sections, the RMSE was 0.124 m, and 0.047 m, respectively.

사과 과수원토양(果樹園土壤)과 그 잎중(中)의 중금속(重金屬) 함량간(含量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Heavy Metal Contents of Apple Orchard Lands and its'Leaves)

  • 김동호;임수길;권오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6
    • /
    • 1989
  • 사과잎중(中)의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을 측정하고 과수원토양과 사과잎중(中)의 중금속함량간(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규명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58개 과수원에서 채취한 사과잎 시료 중(中) Cu, Cd 및 Pb을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과잎중(中)의 중금속 평균함량은 Cu 26,44 (6.23-182.85) ppm, Cd 0.34 (0.07-0.61) ppm, pb 9.47(0.00-225.50) ppm 이었다. 2. 토양(土壤)과 사과잎중(中)의 중금속함량간(間)의 상관관계 분석(分析)에서 Cu와 Pb은 유의성(有意性)있는 정(正)의 상관을 보였고, Cd은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사과 두 품종(品種) 국광과 홍옥 및 기타품종을 분류 비교한 결과 품종간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3.토양과 사과잎중(中)의 중금속함량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IN\;NH_4\;OAC$ (pH 7.0) 침출액 보다는 0.1N HCl 침출액을 토양침출액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높은 유의성있는 정(正)의 상관을 보여서 0.1N HCl이 더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사과 과수원에서 조팝나무진딧물의 살충제 감수성 (Insecticide Susceptibility of Field-Collected Populations of the Spiraea Aphid, Aphis citricola(van der Goot)(Hemiptera: Aphididae) in Apple Orchards)

  • 송승석;오홍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9-264
    • /
    • 1993
  • 사과의 조팝나무진딧물의 수종 약제에 대한 야외 개체군의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1983년부터 1987년까지 사과원에서 피리미카브외 9약종에 대한 약효시험결과 연도별, 지역별에 따라 현저한 감수성 차이를 보였는데, 서울등 4개 지역에서 사과나무에 발생한 진딧물에 대한 약제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지역별로 디메톤에스메칠과 포스파미돈이 차가 크게 있었고, 약제별 {TEX}$LC_{50}${/TEX}을 델타메스린과 크로르피리포스가 10ppm 이하였으며, 디메톤에스메칠, 아세페에트, 포스파미돈, 모노크로토포스, 바미도치온은 103~629ppm이었고, 가장 오래 사용하였던 이피엔과 피리미카브는 1000ppm이상이었다. 또한 약제저항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감수성 크론과 저항성 크론을 침지법으로 처리하여 저항성비를 조사한 결과 포스파미돈은 73배, 파리미카브는 546배의 저항성이 유발되었으며, 감수성 크론과 저항성 크론에대한 효소활성을 $\alpha$-NA를 기질로해서 한천겔 전기영동법으로 효소활성을 조사한 결과 감수성 크론에 비하여 저항성 크론은 E-2, E-5, E-6, E-7의 활성이 현저하게 높았다. 따라서 조팝나무진딧물의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 저하는 에스테라제의 활성도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나 다른 원인도 배제할 수는 없다.

  • PDF

우리나라 사과 과수원의 토양 병해 발생 현황 (Incidence of Soil-Borne Diseases in Apple Orchards in Korea)

  • 이상범;정봉구;장한익;김기홍;최용문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2-138
    • /
    • 1995
  • 우리나라 사과원에서의 토양병 발생현황과 발생실태를 1991년부터 1993년까지 3년간 조사한 결과, 전체 조사주수의 약 8.1%가 각종의 토양 병원균에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병 중 자주날개 무늬병의 발생빈도가 5.1%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흰날개무늬병과 역병의 이병주율은 각각 2.5%와 0.2%로 조사되었다. 자주날개무늬병에 감염된 나무에서는 잎의 황화 및 조기낙엽, 신초생장 억제, 과실 생육 불량 등의 지상부 병징이 관찰되었고, 지하부 뿌리 표면에는 적자색 실모양의 균사나 균사속이 관찰되었다. 감염된 뿌리의 표피는 쉽게 벗겨지고 목질부로부터 잘 이탈되는 특징이 있었다. 흰날개무늬병균에 감염된 나무의 뿌리는 흰색의 균사 혹은 균사막으로 싸여 있으며 이 균사막은 시간이 경과하면 회색 내지 흑색으로 착색되었다. 굵은 뿌리의 표피를 제거하면 목질부에 백색 부채모양의 균사막과 실모양의 균사속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병원균은 목질부까지 부패시키므로 병의 증세가 심하게 나타났다. 자주날개무늬병은 새로 개원한 10년 이하의 과원에서 발생이 많았다. 자주날개무늬병은 왜화도가 높은 대목에서 발병율이 높았으나 흰날개무늬병은 대목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명되었다. 자주날개무늬병은 식양토 과원에서 발생이 많았으며 흰날개무늬병은 사양토 과원에서 발생이 많았다.

  • PDF

장수군의 해발고도별 '홍로' 사과원의 미기상 및 생육기 비교 (Comparison of Growth Period and Local Climate for 'Hongro' Apple Orchards Located at Different Altitudes in Jangsu-Gun)

  • 송주희;서병선;최동근;최인명;강인규;곽성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
    • /
    • 2013
  • 전라북도 장수지역 사과 재배지의 지형적 특성과 '홍로' 사과 재배지를 고도 별(해발 330m, 500m, 670m)로 선정하여 기온, 강수량 및 일조시간 등 국지기후 환경의 차이를 비교 하였다. '홍로' 사과 재배지의 평균기온은 해발 330m, 500m, 670m 지대에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1.0{\sim}3.0^{\circ}C$/100m 정도씩 낮아지고, 특히 '홍로' 사과가 개화하는 4월 중의 최저기온은 해발 330m와 500m, 670m 지대에서 각각 $4.26^{\circ}C$$2.86^{\circ}C$, $0.39^{\circ}C$로 낮았다. 착색 성숙기인 9월의 평균기온은 해발 330m, 500m, 670m 지대에서 $20.6.^{\circ}C$, $18.7^{\circ}C$, $14.5^{\circ}C$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온도는 낮아졌다. 고도 별 연간 강수량은 1,234~1,438mm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많아지는 경향이었고 6월~8월 사이에 고도별로 827~933mm로 강우가 집중되었다. '홍로' 사과 생육기중 총 일조시간은 고도 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고도 별 미기상 환경의 차이로 인해 발아기는 고도가 올라갈수록 4~5일간의 차이로 늦어졌고, 개화기는 2~3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홍로'사과의 만개기는 330m와 670간에 12일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과피색을 기준으로 적숙기는 고도 330m는 9월 7~10일이었고, 500m는 이보다 5~8일 늦었고, 670m는 330m보다 13~14일이 늦었다.

사과의 역병: II. Phytophthora cactorum과 P. cambivora에 의한 사과 과실역병의 발생 (Phytophthora Diseases of Apple in Korea: II. Occurrence of an Unusual Fruit Rot Caused by P. cactorum and P. cambivora)

  • 지형진;조원대;김완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5-151
    • /
    • 1997
  • 1996년 5월 하순부터 7월 초순사이 경북 안동, 의성, 충북 청원 지방의 30개 이상의 사과 과수원에서 어린 과일에 역병이 대발생하였는데, 발병된 과수원에서는 이병주열과 이병과율이 각각 10~90%와 1~15% 정도였다. 이병된 어린 과일은 연한 갈색 혹은 진한 갈색으로 썩고 단단하였으며 병반은 건전부위로 경계가 불명확하게 확산되었다. 어린 잎이나 신초 역시 역병균에 감염되면 반점이나 수침상 혹은 마름 증상 들을 심하게 나타내었는데 이들로부터 총 39개 역병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중 Phytophthora cactorum으로 동정된 25개 균주는 모든 발생지역에서 분리되었으나 P. cambivora로 동정된 나머지 14개 균주는 안동지역에서만 수집되었다. P. cambivora 균주의 유성생식형은 모두 A1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의 균학적 특성은 본문에 자세히 기록하였다. 본 실험에서 Koch의 가설이 증명되었으며, 두 균 모두 사과뿐 아니라 배와 복숭아의 어린 가지와 과일에 강한 병원성을 보였고 여러 채소과일에는 병원성이 없거나 아주 미약하였다. 사과 어린 과일 역병의 대 발생은 국내에 기록된 바가 없으며, 특히 P. cambivora에 의한 사과 과일역병의 발생은 세계적으로도 보고된 바 없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