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arent Nutrient Digestibility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18초

Utilization of Fat Sources in Pigs Weaned at 21 Days of Age

  • Piao, X.S.;Jin, J.;Kim, J.H.;Kim, J.D.;Shin, I.S.;Han, I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9호
    • /
    • pp.1255-1262
    • /
    • 2000
  • A total of 80 pigs ($5.68{\pm}0.61kg$ BW; 21 d of age)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fat sources in weaned pigs. Pigs were allotted into five treatments based on body weight, in a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Treatments consisted of diets representing different ratio between soy oil or corn oil and tallow; 1) S100 (soy oil 100%), 2) S75 (soy oil:tallow=75:25), 3) S50 (soy oil:tallow=50:50), 4) C75 (corn oil:tallow=75:25), 5) C50 (corn oil:tallow=50:50). During d 0 to 14, pigs were fed diets containing 3,400 kcal ME, 23% crude protein, 1.65 % lysine and for the period of d 15 to 28, pigs were fed diets supplying 3,400 kcal ME, 20.5% crude protein, 1.355% lysine. For d 0 to 14,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G and ADFI were observed among treatments, pigs fed animal-vegetable fat blends gained more than pigs fed the S100. As tallow addition was increased from 25% to 50% replacing soy or corn oil, ADG was improved from 6.32% to 28.38%. In phase II (d 15 to 28) period, ADG, ADFI and FC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For overall period (d 0 to 28), pigs fed 50% animal:50% vegetable fat blends diets consumed more feed and grew faster than pigs fed control diet and 75% vegetable oil:25% tallow groups, but the differences was not significant among treatments. Apparent DM, CP and fat digestibility were increased with time postweaning for each treatmen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igestibilities of total amino acid during overall period. The combination of soy oil or corn oil with tallow produced slightly higher serum triglycerides (TG) and total cholesterol (TC) combination compared with the soy oil alone. In conclusion, tallow:soy (or corn) oil blends diets improved growth rate and the ratio of 50% tallow plus 50% soy (or corn) oil blends diets were favorable for growth and nutrient digestibilities of weaned pigs.

Effects of Probiotic-vitacogen and β1-4 Galacto-oligosaccharides Supplementation on Methanogenesis and Energy and Nitrogen Utilization in Dairy Cows

  • Mwenya, B.;Zhou, X.;Santoso, B.;Sar, C.;Gamo, Y.;Kobayashi, T.;Takahashi,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3호
    • /
    • pp.349-354
    • /
    • 2004
  • The effects of probiotic-vitacogen and galacto-oligosaccharides (GOS) supplementation on methanogesis, energy and nitrogen utilization in replacement dairy cows were evaluated. A basal diet comprising orchardgrass hay, lucerne hay cube and concentrate (2:2:1, DM basis) were fed with or without supplements to four cows at $80g\;DM/kgBW^{0.75}$per day in a $4{\times}4$ Latin square arrangement. The four treatments were; 1) basal diet, 2) basal diet plus 100 g probiotic-vitacogen, 3) basal diet plus 50 g GOS, 4) basal diet plus 50 g GOS and 100 g probiotic-vitacogen. Nutrient apparent digestibility was not altered by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Nitrogen intake was significantly (p<0.001) higher for the two vitacogen-supplemented diets compared to control and GOS supplemented diets. However, vitacogen supplemented diets had numerically higher fecal and urinary nitrogen losses, thereby, having lower nitrogen retention compared to control and GOS supplemented diets. Gross energy intake was also significantly (p<0.05) higher for vitacogen-supplemented diets compared to control and GOS diets, however, due to higher losses in feces, urine, methane and heat, GOS supplemented diet had numerically higher energy retention. There was an 11% reduction in methane emission (liters/day) in GOS supplemented diet compared to control diet. However, the combination of GOS with vitacogen resulted in an increased methane emission. When expressed per unit of animal production (g/kg live-weight gain), methane production tended to be lower in vitacogensupplemented diets compared to control and GOS diets. The supplementation of replacement dairy cows with GOS reduced methane emission (liters/day), while, vitacogen supplementation reduced methane emission per unit animal production. The two feed supplements may contribute to the abatement of methane as a greenhouse gas.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사료의 적정 에너지/단백질 비 (Optimum Digestible Energy to Protein Ratio in Diets for th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종윤;강용진;이상민;김인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9-46
    • /
    • 1993
  • 조피볼락 사료의 적정 에너지/단백질 비를 구명하기 위해서, 사료의 단백질 함량이 $45\%$$40\%$일 때의 2회에 걸쳐 평균 체중이 각각 36g 및 80g되는 실험어를 대상으로 사육 실험을 실시하여, 사료의 에너지 함량 변화에 따른 조피볼락의 성장, 사료효율, 영양소 축적효율, 어체성분 및 소화율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실험 사료구는 사료의 가소화 에너지/단백질 비(DE/P비)가 단백질 $45\%$ 사료에서는 7.4-10 kcal/g protein이 되도록 6개구를, 단백질 $40\%$ 사료에서는 7.5-8.9 kca1/g protein이 되도록 3개구를 설정하였다. 사료의 에너지 함량은 dextrin과 지질의 함량을 변화시켜 조정하였으며, 단백질원으로는 북양어분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어체 100g 당 일간 증중랭과 사료효율은 단백질 $45\%$$40\%$ 사료에서 모두 사료의 DE/P비 변화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일간 단백질 및 에너지 축적량, 단백질, 지질 및 에너지 축적효율과 어체의 일반성분은 사료의 DE/P비 변화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조피볼락 사료의 적정 DE/P비는 단백질 $40\%$$45\%$ 사료에서 모두 8kca1/g protein으로 추정되었다. DE/P비가 이보다 높은 경우에는 흡수된 가소화 에너지 1Mcal당 단백질 축적량만 점차 감소할 뿐, 일간 증중량, 일간 단백질 축적량, 사료효율 및 단백질 축적효율에는 아무런 개선효과가 없었다. 또한, 사료의 DE/P비가 증가함에 따라 조피볼락의 전어체와 내장의 지질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사료의 에너지 증대효과는 주로 비가식부인 내장에 지질축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산화크롬 $(Cr_2O_3)$을 표식물질로 사용하여 간접법으로 측정한 조피볼락의 단백질 (어분), 지질 및 탄수화물(dextrin) 소화율은 각각 $90\%$, $98\%$$70\%$ 내외로 조성이 다른 각 실험 사료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이유자돈, 육성돈 및 비육돈에 있어 게르마늄흑운모의 급여 효과 (Effects of Dietary Germanium Biotite in Weaned, Growing and Finishing Pigs)

  • 권오석;김인호;홍종욱;이상환;정연권;민병준;이원백;손경승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355-368
    • /
    • 2003
  • 시험 1은 게르마늄흑운모를 자돈 사료에 첨가하였을 때 자돈의 성장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평균 체중 15.09$\pm$0.18kg의 3원 교잡종 자돈 60두를 공시하여 28일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기초사료에 게르마늄흑운모 무첨가구 (CON; basal diet), 기초사료에 게르마늄흑운모 0.1%(GB0.1), 0.3%(GB0.3), 0.6%(GB0.6), 1.0% (GB1.0) 첨가구로 5개 처리로 하였다. 전체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과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험 2는 육성돈 사료내 게르마늄흑운모의 항생제 대체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평균 체중이 32.47$\pm$0.90kg인 3원 교잡종 육성돈 54두를 공시하여 35일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기초사료에 항생제 무첨가구(NC; basal diet), 항생제 첨가구 (PC; basal diet + 200ppm CTC), 게르마늄흑운모를 0.3% 첨가구(GB0.3; basal diet + 0.3% germanium biotite)의 3개 처리로 하였다.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에 있어서 NC 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PC 처리구와 GB0.3 처리구의 성장율이 각각 17%(385 vs 451, g/d), 14% (385 vs 438, g/d) 높았다(P<0.05). 일당사료섭취량에 있어서 NC 처리구와 비교하여 PC 처리구와 GB0.3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사료효율에 있어서도 NC 처리구와 비교하여 GB0.3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0.323 vs 0.332)(P<0.05). 외관상 건물과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 NC 처리구와 비교하여 PC 처리구와 GB0.3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시험 3은 비육돈 사료내 게르마늄흑운모의 첨가가 성장, 영양소 소화율, 혈장 성상, 등지방 두께 그리고 분내 암모니아 가스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평균 체중이 78.65$\pm$1.32kg인 비육돈 72두를 공시하였다. 시험설계는 기초사료에 게르마늄흑운모 무첨가구 (CON; basal diet), 기초사료에 게르마늄흑운모 1.0% (GB1.0), 3.0% (GB 3.0) 첨가구로 3개 처리로 하였다.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에서는 GB1.0 처리구가 대조구와 GB3.0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0.05), 일당사료섭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가 GB3.0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 0.05).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GB 첨가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P<0.05). 혈장내 Total-cholesterol 함량 변화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게르마늄흑운모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또한, LDL+ VLDL-cholesterol 함량 변화도 대조구와 비교하여 게르마늄흑운모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혈장내 HDL-cholesterol 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게르마늄흑운모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등지방 두께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GB1.0 처리구가 5.4% (27.19 vs 25.71mm)의 감소를 보였고, GB3.0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16.1% (27.19 vs 22.81mm)로 유의적인 감소하였다 (P<0.05). 게르마늄흑운모의 분내 암모니아 가스 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GB1.0 처리구가 64.1% (17.00 vs 6.10mg/kg), GB3.0 처리구가 61.8% (17.00 vs 6.50mg/kg)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결론적으로, 양돈사료내 게르마늄흑운모를 첨가하였을 경우, 자돈에 있어서는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며, 육성돈에 있어서는 항생제 대체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비육돈 사료내 게르마늄흑운모의 첨가는 비육돈의 성장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며, 혈중 Total‐및 LDL+VLDL-chole- sterol 함량을 감소시키며, HDL-cholesterol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등지방 두께가 감소되며, 분내 암모니아 가스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