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um Digestible Energy to Protein Ratio in Diets for th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사료의 적정 에너지/단백질 비

  • LEE Jong Yun (Fish Culture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KANG Yong Jin (Fish Culture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LEE Sang-Min (Fish Culture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KIM In-Bae (Department of Aquacultur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이종윤 (국립수산진흥원 어류양식과) ;
  • 강용진 (국립수산진흥원 어류양식과) ;
  • 이상민 (국립수산진흥원 어류양식과) ;
  • 김인배 (부산수산대학교 양식학과)
  • Published : 1993.02.01

Abstract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digestible energy to protein (DE/P) ratio in diets for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45\%$ and $40\%$ protein diets with graded levels of DE/P ratio were fed to average 36g and 80g fish, respectively. The DE/P ratios in the $45\%$ protein diets ranged from 7.4 to 10.0 kcal/g protein, while those in the $40\%$ protein diets varied between 7.5 and 8.9 kcal/g protein. Both in the $45\%$ and $40\%$ protein diets, the changes in the DE/P ratios did not affect either the daily weight gain or the feed efficiency. However daily protein retention, daily energy retention, nutrient utiliza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in carcass varied depending on the DE/P ratios. Thus based on these parameters as criteria, the optimum DE/P ratio for both the $40\%$ and $45\%$ protein diets, estimated to be about 8 kcal/g protein. DE/P ratios more than 8 kcal/g protein, led to the deposition of a large amount of body fat, especially in the viscera. Any protein-sparing effect was not observed with the increase of the energy content in the diets. Apparent digestibility coefficients determined by the indirect method, using $Cr_2O_3$ as an indicator, were around $90,\;98\%\;and\;70\%$, for protein, lipid and digestible carbohydrate respectively, without any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the diets.

조피볼락 사료의 적정 에너지/단백질 비를 구명하기 위해서, 사료의 단백질 함량이 $45\%$$40\%$일 때의 2회에 걸쳐 평균 체중이 각각 36g 및 80g되는 실험어를 대상으로 사육 실험을 실시하여, 사료의 에너지 함량 변화에 따른 조피볼락의 성장, 사료효율, 영양소 축적효율, 어체성분 및 소화율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실험 사료구는 사료의 가소화 에너지/단백질 비(DE/P비)가 단백질 $45\%$ 사료에서는 7.4-10 kcal/g protein이 되도록 6개구를, 단백질 $40\%$ 사료에서는 7.5-8.9 kca1/g protein이 되도록 3개구를 설정하였다. 사료의 에너지 함량은 dextrin과 지질의 함량을 변화시켜 조정하였으며, 단백질원으로는 북양어분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어체 100g 당 일간 증중랭과 사료효율은 단백질 $45\%$$40\%$ 사료에서 모두 사료의 DE/P비 변화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일간 단백질 및 에너지 축적량, 단백질, 지질 및 에너지 축적효율과 어체의 일반성분은 사료의 DE/P비 변화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조피볼락 사료의 적정 DE/P비는 단백질 $40\%$$45\%$ 사료에서 모두 8kca1/g protein으로 추정되었다. DE/P비가 이보다 높은 경우에는 흡수된 가소화 에너지 1Mcal당 단백질 축적량만 점차 감소할 뿐, 일간 증중량, 일간 단백질 축적량, 사료효율 및 단백질 축적효율에는 아무런 개선효과가 없었다. 또한, 사료의 DE/P비가 증가함에 따라 조피볼락의 전어체와 내장의 지질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사료의 에너지 증대효과는 주로 비가식부인 내장에 지질축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산화크롬 $(Cr_2O_3)$을 표식물질로 사용하여 간접법으로 측정한 조피볼락의 단백질 (어분), 지질 및 탄수화물(dextrin) 소화율은 각각 $90\%$, $98\%$$70\%$ 내외로 조성이 다른 각 실험 사료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Keywords